• 제목/요약/키워드: 리기다소나무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2초

침엽수재(針葉樹材) 수피(樹皮)의 물성(物性) (The Material Properties of Coniferous Barks)

  • 정대성;민두식;김병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59-65
    • /
    • 1985
  • 충청지역(忠淸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주요(主要) 침엽수림(針葉樹林) 수피이용(樹皮利用)의 개선(改善)에 필요(必要)한 기초(基礎)를 얻고자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및 낙엽송 수피(樹皮)의 일반적(一般的) 조성분(組成分)과 수피율(樹皮率) 및 발숙량(發熟量)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피(樹皮)는 목재(木材)에 비(比)하여 추출물(抽出物)과 lignin 함유량(含有量)이 많다. 그리고 잣나무수피(樹皮)는 낙엽송, 소나무 및 리기다소나무보다 alcohol-benzene 추출물량(抽出物量)이 가장 많았다. 또한 pentosan 함유량(含有量)은 목재(木材)에 비(比)하여 수피(樹皮)가 일반적(一般的)으로 적지만 낙엽송수피(樹皮)에서는 도리어 많았다. 2) 수피(樹皮)의 pH는 3.5~4.1의 범위를 보이고 일반적(一般的)으로 목재(木材)보다 더 산성(酸性)이었다. 그리고 수피(樹皮)의 회분(灰分) 함유량(含有量)은 1.98~2.78%로 목재(木材)에 비(比)하여 월등히 많았다. 3) 수피율(樹皮率)은 원목체적(原木體積)의 13.9~19.8%를 점(占)하고 있으며 수피(樹皮)의 발숙량(發熟量)은 목재(木材)보다 높았다. 그리고 수종별(樹種別) 수피(樹皮)의 발숙량(發熟量)이 높은 순(順)으로는 잣나무(5,504 kcal/kg),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및 소나무이었다.

  • PDF

경기도(京畿道) 광릉(光陵) 리기다소나무임분(林分)의 지상부(地上部) 탄소저장량(炭素貯藏量) 변화(變化) (Change of Aboveground Carbon Storage in a Pinus rigida Stand in Gwangnung, Gyunggi-do, Korea)

  • 김춘식;정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74-780
    • /
    • 2001
  • 경기도 광릉 중부임업시험장내 임목밀도와 지위가 다른 31년생 리기다소나무임분올 대상으로 3개의 $20{\times}10m$ 조사구를 선정하고 5년 동안(1997~2001) 각 부위별 탄소량 및 탄소 년 증가량을 조사하였다. 각 부위별 탄소함량은 잎>가지>수피>줄기>임상>토양 0~15cm>토양 15~30cm순 이었으며 탄소저장량 및 년 증가량은 임목밀도와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임목밀도의 경우 지위가 높은 지역이 탄소저장량과 증가량이 높았으며 유사한 지위의 경우 임목밀도에 의해 탄소저장량 및 년 증가량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사된 임분의 임목뿌리를 제외한 리기다소나무임분의 총탄소 저장량은 140,600kgC/ha으로 임목 61%, 토양 31%, 임상 8%로 나타났다. 고사목이 많이 발생하였던 2001년도를 제외한 년 평균 탄소 증가량은 3,233kgC/ha/yr로 줄기>가지>수피>잎 순이었다. 31년생 리기다소나무임분의 탄소저장량 및 년 증가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유사한 지위에서는 임목밀도가 높은 것이 지위에 차이가 날때는 임목밀도 조절에 의한 생장량 증가가 탄소흡수능력을 증진 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국산 주요 간벌 소경재의 무결점재에 대한 휨특성 (Flexural properties of dear specimens made from small diameter thinned trees)

  • 차재경
    • 임산에너지
    • /
    • 제22권1호
    • /
    • pp.44-48
    • /
    • 2003
  • 국산 간벌 소경재인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소나무(Pinus densifora Sieb. et Zucc), 일본잎갈나무(Larix kaemferi Carr) 및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로 만든 무결점재에 대한 휨특성을 조사하였다. 휨강도와 탄성계수는 수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비중이 큰 상수리나무가 가장 큰 휨강도와 탄성계수를 나타냈으며, 비중이 작은 일본잎갈나무가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휨탄성계수와 휨강도는 응력파 탄성계수와 양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응력파 탄성계수에 의해 휨 특성 예측이 가능하였다.

  • PDF

가칭 리기다소나무 거부병 (Studies on the bacterial stem-dry-rot of pinus rigida mill)

  • 이구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47
    • /
    • 1963
  • 1. A Kind of Bacillus, which was seemed to be pathogenic, was isolated from Pinus rigida planting. 2. The bacillus were grown well on the Agar-Bacto-Beef media (pH 7.4) at $30^{\circ}C$. C for 24 hours. 3. The soil infection for the one year old seedling was the best inoculating method in this experiment. 4. Almost of all characteristics were simillar between isolated and reisolated bacillus. 5. The author should like to call temporarily the name of this bacterial disease Stem-rot of pinus rigida Mill.

  • PDF

곰솔, 리기다소나무 및 소나무의 Monoterpenoids (The Monoterpenoids in Pinus tyhunbergii, Pinus rigida and Pinus densiflora)

  • 강호남;김종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23-328
    • /
    • 1997
  • The monoterpenoids are analysed in leaves and fallen leaves of Pinus species (P. thunbergii, P.. rigida. P. densiflora.). The amount of total monoterpenoids of P. thunbergii was always the highest, and then those of P. rigida and P. densiflora were orderly decreasing (P<0.05). The major monoterpenoids of P. thunbergii, P. rigida and P. densiflora are ${\beta}-pinene$, comphene and sabine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easonal variation in monoterpenoids composition (P>0.05), but the concentrations of fenchone and bornyl acetate were varied (P<0.05).

  • PDF

조경수에 발생되는 병해-수지가 많이 흘러나오는 푸사리움가지마름병

  • 이상현
    • 조경수
    • /
    • 통권106호
    • /
    • pp.23-24
    • /
    • 2008
  • 최근 소나무류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은 외국의 경우 pitch canker(수지궤양병)라 불리며, 그 유래는 가지, 순, 노출된 뿌리에 발생한 궤양에서 많은 양의 수지가 흘러나오는데서 이름 지어 졌다.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도 도입된 리기다소나무에서 이 병이 발견되었으며, 점차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은 미국의 남동부지역 플로리다에서 1946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조림지, 종자원 묘포장에서 만성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병으로 1976년 이후 이병은 지역적인 질병에서 국가적이고 범세계적인 중요 질병으로 발달하였다.

  • PDF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의 수간류 및 수관통과우의 화학적 성질 (Chemical Properties of Stemflow and Throughfall in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Stands)

  • 이상덕;이명종;주영특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81-185
    • /
    • 2001
  • 경제개발과 함께 중화학 공장의 건설, 화력발전 그리고 자동차 등에 의한 화석연료의 급격한 사용의 증대와 인구의 도시 집중화는 공업지역 등 대도시 지역에 있어서 급격히 대기오염을 증대 시켰다. 황산화물의 농도는 도시와 공업지대에서 증가하고 있고, 질소산화물의 오염은 넓은 지역으로 이동하여 직ㆍ간접적인 대기오염의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중략)

  • PDF

리기다소나무의 수용추출액이 무 종자의 발아과정에서 단백질과 동위효소 패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Pinus rigida on Protein and Isozyme patterns during Radish Germination)

  • 김용옥;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71-777
    • /
    • 1998
  • Aqueous extracts of Pinus rigida changed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f total proteins and of hydrolytic enzymes such as peroxidase, esterase and amylase during the germin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When the extract treatment was finished, at the late stage of radish germination, aqueous extracts of P. rigida had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24 KD and 60 KD proteins. the extract induced new isozyme bands, indicating concomitant activity of peroxidases, esterase activities were stimulated in the cathodic region. The activity of amylase was enhanced by the extra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