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류

Search Result 26,386,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Evaluation of several erosion models for analysis of debris-flow (토석류 유동 해석을 위한 침식모형 평가)

  • Lee, Seungjun;An, Hyunuk;Kim, M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5-295
    • /
    • 2020
  • 산 경사면에서 발생한 토석류는 지형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다. 특히, 도심지역에서 발생된 토석류는 유동 및 퇴적과정에서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토석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 예측을 위한 여러 수치모형들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소개된 바 있다. 최근엔 토석류의 유동과정 및 피해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침식과 연행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침식모형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침식 및 연행작용을 구현해 분석하는 것은 아직 제한적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에서 개발된 수치모형으로 침식 및 연행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Deb2D 모형을 활용하여 다양한 침식모형을 적용하여 토석류의 유동을 분석하고 피해규모를 예측하고자 한다. Deb2D 모형은 2차원 수치해석 모형으로 적응형 격자를 기반으로 토석류를 구현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선 유동학적 모형으론 Voellmy 모형을 선택하고, 침식모형으론 Sovilla, Frank 그리고 Medina 모형을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2011년 우면산에서 발생한 일련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토석류의 유동과 피해규모를 구현했으며 수치모형의 정확성 판단을 위해 현장 조사를 통해 얻어진 토석류의 피해 범위, 총퇴적량 그리고 특정 지점에서 관측된 최대 퇴적 높이 및 최대 속도를 비교자료로 활용했다. 특히, 연구지역의 토석류 발생 전·후 DEMs(Digital Elevation Models)을 통해 공간에 따른 침식 깊이 자료를 얻어, 이를 Deb2D 모형을 통해 분석된 결과와 비교·분석했다.

  • PDF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debris flow damage area using FLO-2D (FLO-2D를 이용한 토석류 피해지역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Jo, Hang Il;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29-229
    • /
    • 2022
  • 우리나라의 지형 특성상 국토의 약 64%가 산지 지형이며 최근 10년 기준으로 연평균 강우량의 약 51%인 651.9mm가 여름철에 집중되고 있으며,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태풍에 의한 영향으로 산사태와 토석류에 의한 생활권 주변의 도로나 주택가에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 토석류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재해 발생 예상지역이나 피해 정도 및 규모에 대한 예측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토석류 수치모의를 통해 토석류의 피해지역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 미탁으로 인해 토석류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을 대상으로 토석류 피해지역을 해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차원 토석류 해석이 가능한 FLO-2D를 적용하여 토석류의 이동, 퇴적 및 하류부 피해해석을 수행하였다. 피해지역의 수치지도와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FLO-2D 모형을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이 하류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토석류 유동특성을 분석하여 피해지역의 실측자료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형을 통해 모의된 부분과 피해면적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Study on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진해만의 해수유동에 관하여)

  • Lee, Jong Wha;Bong, Jong-Han;Han, Sang Joon
    • 한국해양학회지
    • /
    • v.9 no.2
    • /
    • pp.19-30
    • /
    • 1974
  • Curre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in Jinhae Bay area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February 1974. The data were synthetically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were studied.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area is a reversing tidal current type and the Semi- diurnal tidal current is predominant. The ebb current begins at about high water time and the strongest current occurs at about 3 hour after high water. The flood current begins at 0.2-1.0 hour before low water and the strongest current occurs at about 3-4 hour after low water. The main ebb current flows to SE direction with the maximum welocity, about 100cm/sec and the lood flows to NW with the maximum velocity, about 70cm/sec. Generally, the ebb current in Jinhae Bay is more predominat than the flood current except at the west and the north coast area of Gadeog-do where the flood current is more predominant.

  • PDF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대구, 마산, 광주, 제주지역 학교급식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분석)

  • Lim, Hyeon-Sook;Ko, Yang Sook;Shin, Dongsoon;Heo, Young-Ran;Chung, Hae-Jung;Chae, In-Sook;Kim, Hwa Young;Kim, Mi-Hye;Leem, Dong-Gil;Lee, Yeo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8
    • /
    • pp.1303-13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odium (Na) and potassium (K) content of school meals served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in Korea. In this study, 872 kinds of school meal dishes were collected from twelve elementary and twelve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four different cities in Korea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The dish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staple dish, subsidiary dish, and dessert. Each main category was further sub-classified into 4 kinds of staple dishes, 15 kinds of subsidiary dishes, and 5 kinds of dessert dishes. The Na and K content of dishes were then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The Na content of individual dishe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ranging from 9 to 2,717 mg/100 g. Among the staple dishes, cooked rice contained relatively less Na, but other staple dishes such as a la carte, noodle, and rice-gruel contained considerably high amounts of Na. Regarding the subsidiary dishes, the Na content of salad was low, but those of Jangachi, stir-fried dishes, and kimchi were considerably high. Among the dessert dishes, beverages, fruit, and milk/dairy products contained relatively low amount of Na, while rice cakes and baked goods, and snacks contained noticeably high amounts of Na. Unlike the Na content, the K content between the dishes did not show much variability. Cooked rice and rice cakes contained relatively low amounts of K, similar to other dishes, and ranged from 104 to 220 mg/100 g. The Na/K ratio was especially high in rice cakes and Jangachi, while of the ratio in beverages, milk/dairy products, salad, and fruit were pretty low. The total content of Na and K and the Na/K ratio of elementary school meals were 974 mg, 378 mg and 2.7, respectively, and those in junior high school meals was 1,466 mg, 528 mg and 3.0. The results show that most school meals provide a significant amount of Na but significantly small amounts of K, as suggested by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Comparison of the levels of energy intake from dish and food groups by gender and age among Korean obese adults: data obtained from the 2013-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비만 성인의 성별·연령군에 따른 총 에너지 섭취 대비 식품군·음식군 에너지 섭취비율: 2013-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 Cheongmin Sohn;Woori Na;Chaeryeon Kim;Seunghee Choi;Oh Yoen Kim;Jounghee Lee;Mi Ock Yoon;Myoungsook Lee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5 no.6
    • /
    • pp.670-683
    • /
    • 2022
  • Purpose: To provide the primary data on dietary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we analyzed the intake rate of food groups and dish groups according to obesity and ag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SE, 2013-2018).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21,184 adults aged 19-64 years, obtained from the KNHANSE 2013-2018. The 24-hour recall was performed and the food groups were classified into six representative food groups (grains, meat·fish·eggs·legumes, vegetables, fruits, milk and dairy, and oil and sugar), and 'alcohol' and 'others'. The dish group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twenty-four types. Results: The normal group included 9,004 subjects (42.5%), while the obese group had 12,180 subjects (57.5%). The food group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obesity were grains (p < 0.001), meat/fish/egg/legumes (p < 0.001), and vegetables (p < 0.001);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male and female. Comparing the intake rate of food groups and dish groups targeting only the obese group according to age, the food groups showing significance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normal group were grains (p < 0.001) and vegetables (p < 0.001),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intake in both genders. Considering the dish groups, significant increases were determined for stews (p < 0.001), seasoned vegetables (p < 0.001), and kimchi (p < 0.001) in male, and for rice (p < 0.001), seasoned vegetables (p < 0.001), kimchi (p < 0.001), and rice cakes (p < 0.001) in fema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intake ratio of food and dish groups differs by age in obese adults. We believe that our results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forming dietary guidelines for obese adults in the future.

Similarity on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대상별 유사성)

  • Joo, Il-Yeob;Cho, Kwang-Rae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53
    • /
    • pp.137-15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imilarity on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such as firearms, swords, shells, bullets, explosives in 16 regions of Korea in 2011,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in 2011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such as (1) 'cluster 1' including firearms, swords, shells and explosives, (2) 'cluster 2' including bullets. Second, the multidimensional scales on the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in 2011 were firearm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4/4), sword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4/4), shell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4/4), bullets located in the center left corner(3/4), explosives located in the higher right corner(1/4). Third, the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in 2015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such as (1) 'cluster 1' including firearms, swords, shells and explosives, (2) 'cluster 2' including bullets. Forth, the multidimensional scales on the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in 2015 were firearm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4/4), swords located in the higher right corner(1/4), shells located in the higher right corner(1/4), bullets located in the center left corner(2/4), explosives located in the center right corner(4/4).

  • PDF

Removal of Contaminants Using Natural Purification Method by Sheet Flow (박층류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오염물질의 제거)

  • Kim, Myounghwan;Lee, Du Han;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1-451
    • /
    • 2018
  • 박층류 자연정화공법은 수로의 폭을 넓히고 수심을 낮추어 박층류를 조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천을 정화하는 공법이다. 박층류가 조성되면 낮은 수심에서 상대적으로 느린 유속 조건이 형성되며 이 때 박층부에 침전된 오염물질은 자갈층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에 의해 산화 분해되어 제거된다. 박층류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는 생물막의 형성, 생물 산화를 위한 용존산소량 등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며, 박층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수심 10 cm, 유속 30~50 cm/s 의 조건이 적절하다. 본 연구에서는 박층류에 의한 자연정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인시 오산천 일부 구간 고수부지에 사석자갈을 이용한 박층류 자연정화공법이 적용된 차집수로를 설치하고, 오산천으로 유입되는 농수로의 물을 공급하여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항목은 T-N, T-P, COD, DO 등이며, 측정 결과 박층류 자연정화 수로를 유출부에서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유입부에서보다 저감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Blood Flow on the Formation of Cerebral Aneurysms (혈류 유동이 뇌동맥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오지순;이계한;변홍식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1 no.6
    • /
    • pp.567-573
    • /
    • 2000
  • 뇌동맥류는 뇌혈관의 일부가 풍선처럼 부풀어나는 혈관계 질환이며 뇌동맥류의 파열은 사망이나 심각한 후유 장애를 야기한다. 뇌동맥류의 다양한 발생 원인 중 혈관 내부의 혈류의 유동이 중요한 인자로 의심된다. 뇌동맥류의 형성에 미치는 혈류역학적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내경동맥에서 발생한 환자의 내경 동맥류 CT 사진을 이용하여 내경동맥류 모델을 제작하고, 모델 내부의 혈류유동장을 입자영상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동맥류가 발생한 내경동맥류 모델에서는 동맥류 원위부 목(distal neck)쪽과 반대쪽 내경동맥 벽에서 전단응력이 높게 나타났다. 동맥류 발생에 미치는 혈류역학적 인자를 규명하기 위해 동맥류를 제거한 내경모델을 제작하여 맥동유동에서 내부 유동장을 측정하였다. 심실수축기 동안 휘어진 내경동맥의 바깥쪽 벽에서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이 관찰되었으며 심실이완기 초반에도 이는 계속 유지되었다. 내경 동맥 내부의 부차적 유동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동맥류 발생 위치에서 혈관 축과 수직인 평면의 유동장이 측정되었다. 혈관 단면에서는 휘어진 혈관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시계방향의 와류가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혈관벽 바깥쪽과 시계방향으로 90도 정도 지역에서 전단응력이 높게 나타났다. 혈류 유동 특성과 동맥류 발생위치를 비교해 보면,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이 관찰되는 위치와 부차적 유동에 의해 전단응력이 크게 나타난 지역은 동맥류의 발생위치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혈류의 혈관벽 부딪힘과 부차적 유동에 의한 전단력이 동맥류 발생의 혈류역학적 요인으로 의심된다.

  • PDF

Analysis of Rainfall Triggering Debris Flow Using HyGIS-GRM (HyGIS-GRM을 이용한 토석류 유발 강우 특성 분석)

  • Park, Jung-Sool;Kim, Kyung-Tak;Choi,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17-1321
    • /
    • 2010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함에 따라 토석류 발생면적과 피해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강우는 토석류의 유발 뿐 만 아니라 토석류 발생규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발강우에 대한 분석은 향후 토석류 대응을 위한 경보기준이나 대책의 설계목표를 설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김경석, 2008) 누가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및 선행 강우량 등의 강우 특성과 토석류 발생과의 관계를 제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를 유발하는 강우 특성을 레이더 강우와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특정 격자안에 토석류 발생부가 많이 포함될수록 강우에 의한 영향이 컸을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항공사진을 이용해 취득한 발달 단계별 토석류 맵핑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지점강우를 이용하여 조건부 합성방법으로 보정된 1 km 해상도의 레이더 보정강우와 GIS와 연계된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HyGIS-GRM을 이용하여 격자별 강우량을 산정하고 강우특성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토석류는 흐름누적수가 0인 능선부위에서 대부분 발생하였으며 발생부 포인트가 많이 포함될수록 2~3시간 동안의 강우강도가 매우 크게 제시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Blood Flow Characteristics in the Abodminal Aortic Aneurysm (대동맥류 내부 혈류 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 오태헌;김상욱;이계한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5
    • /
    • pp.601-608
    • /
    • 1999
  • 동맥의 일부분의 팽창하는 동맥류는 높은 사망률을 야기하는 혈관계 질환이다. 동맥류의 발생 및 파열에는 동맥류 내부의 혈류의 유동에 의한 혈관벽 전단 응력 및 압력이 주용한 원인 중 하나로 의심되고 있다. 복부대동맥류 내부의 혈류 유동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 동맥류의 최대 확장부가 복부동맥의 1.5배, 2배인 유리 모델을 제작하였다. 정상류 상태에서 다양한 레이놀즈수에 대해서 속도 및 난동도를 입자영상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경계층 박리로 인한 재순환 부분이 끝나는 재부착점은 동맥류 최대 확장부 후부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위치는 레이놀즈수의 변화에 따라 바뀌었다. 축방향 속도의 난동은 최대 확장부 후부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이 위치에서 난동에 의한 부가적 응력이 크며 혈관벽 구조변화가 발생하리라 예측된다. 동맥류 내부의 압력분포는 수치해석에 의해 계산되었다. 동맥류 내부 압력은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커졌으며 압력은 동맥류 최대 확장부 후부에서 발생하는 재부착점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동맥류 최대확장부 후부는 압력이 최대값을 가지며, 전단력의 변화 및 난동이 큰 지역이므로 동맥류의 파열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으로 예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