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ilarity on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대상별 유사성

  • 주일엽 (중부대학교 경찰경호학부) ;
  • 조광래 (중부대학교 경찰경호학부)
  • Received : 2017.11.11
  • Accepted : 2017.12.11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imilarity on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such as firearms, swords, shells, bullets, explosives in 16 regions of Korea in 2011,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in 2011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such as (1) 'cluster 1' including firearms, swords, shells and explosives, (2) 'cluster 2' including bullets. Second, the multidimensional scales on the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in 2011 were firearm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4/4), sword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4/4), shell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4/4), bullets located in the center left corner(3/4), explosives located in the higher right corner(1/4). Third, the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in 2015 were divided into two clusters, such as (1) 'cluster 1' including firearms, swords, shells and explosives, (2) 'cluster 2' including bullets. Forth, the multidimensional scales on the types of illegal weapon self-report in 2015 were firearms located in the lower right corner(4/4), swords located in the higher right corner(1/4), shells located in the higher right corner(1/4), bullets located in the center left corner(2/4), explosives located in the center right corner(4/4).

본 연구는 전국 16개 지역별로 총기류, 도검류, 포탄류, 실탄류, 폭발물류 등 불법무기 자진신고 현황을 연구대상으로 2011년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유형별 유사성, 2015년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유형별 유사성을 파악하고 변화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유형별 군집은 '군집 1'은 총기류, 도검류, 포탄류, 폭발물류 등 4종의 불법무기가 포함되며, '군집 2'는 실탄류 1종의 불법무기가 포함된다. 둘째, 2011년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유형별 다차원척도는 총기류는 우측 하단(4/4분면), 도검류는 우측 하단(4/4분면), 포탄류는 우측 하단(4/4분면), 실탄류는 좌측 중앙부(3/4분면), 폭발물류는 우측 상단(1/4분면)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년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유형별 군집은 '군집 1'은 총기류, 도검류, 포탄류, 폭발물류 등 4종의 불법무기가 포함되며, '군집 2'는 실탄류 1종의 불법무기가 포함된다. 넷째, 2015년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유형별 다차원척도는 총기류는 우측 하단(4/4분면), 도검류는 우측 상단(1/4분면), 포탄류는 우측 상단(1/4분면), 실탄류는 좌측 중앙부(2/4분면), 폭발물류는 우측 중앙부(4/4분면)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법무기 자진신고의 유형별 유사성을 규명함으로써 국가 안보와 국민 안전에 기여하는 기초를 제공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를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11). 2010 경찰통계연보.
  2. 경찰청 (2016a). 2015 경찰통계연보.
  3. 경찰청 (2016b). 2016 경찰백서.
  4. 김창호.주철현 (2008). 경호경비 관련 주요범죄에 대한 실태분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6, 65-79.
  5. 김효윤 (2017).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어린이 도서관 별치 자료에 대한 인지 거리 연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노호래 (2014). 해적사건 대응을 위한 무장경비원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1, 293-326.
  7. 이순아.강희석.이상묵 (2017). 프랜차이즈 분식점의 브랜드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23(2), 11-22. https://doi.org/10.20878/cshr.2017.23.2.002
  8. 이봉한 (2015). 총기사용범죄에 대한 법적 규제의 방향, 입법과 정책 7(1), 257-279.
  9. 천선경 (2016). 분할법을 활용한 범주형자료의 다차원척도법.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2017). 법률 제14839호(시행 2017.7.26.).
  11.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2017). 대통령령 제28215호(시행 2017.7.26.).
  12. 최판호 (2017). 항공사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부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16). Fact Sheet : Preventing Gun Violence.
  14. Catherine A. Theohary (2016). Conventional Arms Transfers to Developing Nations, 2008-2015,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