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제주산 로즈마리와 라벤더(Rosmarinus officinalis L., Lavandula angustifolia Mill.)로부터 추출한 essential oil과 hydrosol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and the Hydrosol Extracted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Lavandula angustifolia Mill. Produced in Jeju)

  • 전덕현;문정용;현호봉;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3호
    • /
    • pp.141-146
    • /
    • 2013
  • 제주도에서 생산된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Mill.) 두 종의 허브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 성분을 GC-MS로 분석하였다.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에는 ${\alpha}$-pinene (40.96%)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라벤더 에센셜 오일에는 camphor (34.44%)가 가장 높았다. 로즈마리 하이드로졸에는 verbenone이 (45.31%)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라벤더 하이드로졸에서는 camphor (67.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로즈마리와 라벤더 에센셜 오일과 하이드로졸의 항산화 효능을 검증해 본 결과, 두 종류의 에센셜 오일 모두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e^{2+}$ ion 킬레이팅 활성을 나타냈으나, alkyl 소거능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이 라벤더 에센셜 오일보다 우수한 반면, $Fe^{2+}$ ion 킬레이팅 실험에서는 라벤더 에센셜 오일이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보다 더 우수했다. 로즈마리, 라벤더 하이드로졸 모두 alkyl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나, 라벤더 하이드로졸만이 $Fe^{2+}$ ion 소거능을 나타냈다. 특히 $H_2O_2$에 의해 유도된 Fibroblast와 HaCaT에서의 세포독성 실험에서 하이드로졸이 에센셜 오일보다 우수한 세포사멸 억제능을 나타냈다.

제주산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항염 및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Jeju rosemary essential oil against skin flora)

  • 김소희;이미란;김창수;김정미;부희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44-756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산 자생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항염 및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은 물 증류법으로 추출하였다.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와 $PGE_2$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Western blot 실험을 통해 이들을 생합성하는 효소인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와 IL-6의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내성균주 각 2종을 포함한 S. epidermidis 3종, P. acnes 3종에 대한 항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paper disc법에서 저해환이 관찰되었고, MIC, MBC 실험을 통하여 균생육 저해와 사멸를 확인하였다. 위의 실험 결과로부터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항염증, 항균 효능을 확인 하였으며 향후 화장품 및 스킨케어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특성과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품질특성 및 풍미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semary and Clove Essential Oils on Quality and Flavor Compounds of Fried Korean Native Chicken Thigh Meat)

  • 오수민;정유성;이상록;이희정;김동욱;추효준;신동진;장애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43-159
    • /
    • 2023
  • 본 연구에서 사용된 클로브 에센셜 오일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보다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 제조 과정 중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첨가는 일반성분, pH, TBARS와 관능적 특성에 있어 유의적인 효과를 줄 수 없었다. 0.005CB를 제외한 모든 에센셜 오일 첨가 처리구는 Control보다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고 0.005CB에서는 높은 픽업률을 보였다(P<0.05).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지방산 조성을 측정한 결과,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과로 인하여 0.005CB와 0.01CB는 Control보다 높은 수준의 arachidonic acid를 나타내었다.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특정 풍미성분들이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에 마스킹 되었고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능력을 통해 몇몇 pyrazine류의 물질들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 데이터는 향후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제조한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저장성 연구에 있어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에센셜 오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ssential Oils for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ii)

  • 박창은;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31-437
    • /
    • 2018
  • Acinetobacter baumannii는 광범위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으로 인해 감염된 환자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적색 경보 병원체로 분류됩니다. 이 연구에서 다제 내성 A. baumannii(MRAB)의 18가지 임상 분리 균주에 대해 일부 에센셜 오일(티트리, 로즈마리, 라벤더 오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Carbapenemase 선별을 위한 Hodge 시험법은 A. baumannii의 20 가지 균주가 모두 imipenem에 내성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다제 내성 미생물의 확인은 VITEK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였다. 에센셜 오일의 항균 활성은 MRAB에 대한 디스크 확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디스크 확산 방법에서 tee tree는 라벤더 오일에 비해 억제 크기가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로즈마리는 항균 효과가 없었다. 티 트리 오일은 가장 일반적인 인간 병원균 및 MRAB 감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대체 천연 제품으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제 내성 A. baumannii의 항균 효과를 입증했으며, 미래에 천연 에센셜 오일을 사용하는 손 소독제와 같은 항균제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농도별 로즈마리 오일 흡입이 노인의 기억력, 집중력 및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osemary Oil Inhalation on Memory, Attention and Autonomic Nerve System on the Elderly by Different Concentration)

  • 양인숙;박명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6-67
    • /
    • 2019
  • 본 연구는 농도별 로즈마리 오일 흡입에 따른 기억력, 집중력, 및 자율신경계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65세 이상 노인에게 아몬드 캐리어 오일 흡입군(대조군), 10% 로즈마리 오일 흡입군(실험군 A)과 100% 로즈마리 오일 흡입군(실험군 B)으로 각 오일을 시향지에 묻혀 5분간 흡입하도록 하였고 기억력, 집중력 및 자율신경계 반응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총 89명의 자료는 SPSS win 24.0를 이용하여 반복측정 ANOVA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기억력 평가인 즉각 회상(F=.42, p=.656), 지연 회상(F=.45, p=.639) 재인 검사(F=1.45, p=.242)와 집중력 평가인 숫자 바로 외우기(F=1.53, p=.223)와 숫자 거꾸로 외우기(F=.46, p=.636)에서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자율신경계 반응 결과, 교감신경 활성도(LF)(F=.19, p=.828), 부교감신경 활성도(HF)(F=.37, p=.694), 자율신경계 활성도비(LH/HF)(F=1.39, p=.256), 수축기 혈압(F =.37, p=.694) 및 이완기 혈압(F=1.25, p=.291)에서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아몬드 캐리어 오일, 10%와 100%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 5분간 흡입은 65세 이상 노인의 기억력, 집중력, 자율신경계 반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렌딩 에센션오일의 항균효과 증진 (Improved Antibacterial Effect of Blending Essential Oils)

  • 권필승;김대중;박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6-262
    • /
    • 2017
  •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인 에센셜 오일은 인체에 약리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농성 질환과 병독성 질환 비뇨기계통 감염에 나올 수 있는 병원성 세균 Staphylococcus aureus (그람양성알균), Escherichia coli (그람음성막대균), Pseudomonas aeruginosa (그람음성막대균, 극성단모균)을 대상으로 천연 허브 오일 중에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는 라벤더(lavender), 티트리(tea tree), 로즈마리(rosemary), 멜리사(melisa) 4종류의 단일 오일과 비교해, 티트리와 로즈마리, 멜리사를 블렌딩하였을 때 항균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디스크 확산법에서 블렌딩 오일(티트리, 로즈마리, 멜리사)의 경우 단독의 허브오일보다 S. aureus에서18 mm, E. coli 에서 22 mm 와 P. aeruginosa는13 mm의 우수한 항균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블렌딩 오일의 경우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분석에서 S. aureus, E. coli 에서는 0.3125%에서, P. aeruginosa는 1.25%에서 성장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블렌딩 오일이 Oxacillin과 로즈마리, 티트리보다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증명되어 단독의 허브오일보다 블렌딩 오일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허브의 블렌딩을 활용하면 다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천연보존제와 건강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에 활용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천연 에센셜 오일의 주요 구성물질 분석과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Major Compound Analysis and Assessment of Natural Essential Oil on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 신유현;김현정;이진영;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44-13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산업에 이용 중인 천연 에센셜 오일 8종(라벤더, 티트리, 로즈마리, 주니퍼베리, 편백, 싸이프러스, 시더우드, 파인)을 가지고 물리 화학적 분석과 생리활성 및 항균효과를 실험하였다. 라벤더오일의 경우 에스테르 성분인 linalyl acetate가 48% 함유되어 있었으며, 5,000 ppm의 농도에서 22.36%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티트리 오일의 경우 0.5% 농도에서 43.94%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항균효과 또한 뛰어났다. S. aureus, S. epidermidis, S. mutans, C. albicans 균에 각각 6, 3.5, 6.5, 5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우수한 품질의 에센셜 오일임이 확인되었다. 편백 오일의 경우 pH가 2.64로 가장 산성도가 높았으며, 세스퀴테르펜 성분이 19.20%로 확인되었다. 시더우드 오일의 경우 샘플 중 비중과 굴절률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성분의 99.73%가 세스퀴테르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5,000 ppm 농도에서 39.68% 항산화능을 보였다. 특히 1% 농도에서 P. acnes, P. ovale, C. albicans 균에 각각 3.5, 6, 6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탁월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반면 세스퀴테르펜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교적 항산화능도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산화 성분 유무에 따라 항산화능이 결정된다고 판단되며, 마찬가지로 항균력 또한 테르펜의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균성분의 유무에 따라 항균력이 결정된다고 사료된다.

라벤더, 로즈마리, 레몬밤을 이용한 생쥐의 아토피피부염모델에 대한 효과 (The Effect of Essential Oil on Atopic Dermatitis Model of NC/Nga Mice)

  • 한선희;서영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3호
    • /
    • pp.219-22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lending oils on atopic dermatitis (AD) model of NC/Nga mice. Methods: Adult NC/Nga mice were assigned to 1 of 3 groups: control group (C, n=8), experimental group [AD-induced group, blending oil-treated group (E=8, 8)]. Mice in the E group were given a treatment of blending oils such as Lavender, Rosemary and Lemon Balm (LRL) for 2 sessions (every day) for 6 days. Results: The AD-induced mice with LRL blending oils treatmen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epidermal thickness, number of mast cells and degranulation, expression of TNF-${\alpha}$ and scoring of sensual assessment. Conclusion: LRL blending oils may be a putative resource for the cure of or treatment of AD by the diminution of AD-pathological factors such as the epidermal thickness, the number of mast cells and degranulation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TNF-${\alpha}$.

라벤더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 나노에멀션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Lavander and Rosemary Essential Oil Nanoemulsions)

  • 김민수;이경원;박은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6-263
    • /
    • 2017
  • Purpose: Essential oils are secondary metabolites of herbs and hav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However, their applications for food protection are limited due to the hydrophobic and volatile natures of essential oils. Methods: In this study, essential oil nanoemulsions of rosemary and lavender were formulated with non-ionic surfactant Tween 80 and water using ultrasonic emulsification, and their antibacterial effect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nanoemulsions were evaluated against 12 strains of 10 bacterial species, and significant antibacterial effects were observed against four Gram-positive and four Gram-negative bacteria but not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Shigella sonnei. In the disc diffusion test, the diameter of the inhibition zone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nanoemulsions. Using cell turbidity measurement,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of the nanoemulsions, which is the lowest concentration reducing viability of the initial bacterial inoculum by ${\geq}99.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nanoemulsions. The largest bactericidal effects of lavender and rosemary essential oil nanoemulsions were observed against S. enterica and S. aureus, respectively. Conclusion: Nanoemulsion technique could improve antibacter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nanoemulsions by increasing th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essential oils. Our findings shed light on the potential use of essential oil nanoemulsions as an alternative to chemical sanitizers in food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