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MC's Robot Path Analysis and Design Using Simulation and Sequential patterns (시뮬레이션과 순차 패턴을 이용한 FMC의 로봇 경로 분석 및 설계)

  • Kim, Sun-Gil;Lee, Hong-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806-80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FMC의 로봇 경로 분석 및 설계를 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FMC의 로봇 패턴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이용해 최적의 로봇 경로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형적인 FMC를 시뮬레이션으로 설계하고 설비에서 신호를 추출 해 순차 패턴 마이닝을 이용해 로봇의 최적 이동 경로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신호의 패턴을 이용한 분석 방법은 로봇의 경로 설계를 도출하기가 용이하여 최적의 경로를 설계하여 FMC에 적용한 결과 기존보다 총 처리량의 증가와 총 처리시간 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이 방법은 FMC 뿐만 아니라 로봇이 있는 모든 생산라인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robot controller using 3D simulation (3차원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로봇 제어기의 개발)

  • 문진호;설용태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50-152
    • /
    • 2001
  • 본 연구는 3차원 그래픽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6축 다관절 로봇의 제어기를 개발함으로써 이를 사용하는 산업현장의 작업자에게 로봇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로봇을 조작함에 있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개발한 제어용 S/W는 산업용 로봇에 대한 시뮬레이션 기능과 방위표시기능 둥을 포함하며, 편리한 GUI로 사용자의 편의성과 작업시간의 단축 둥을 개선하였다. 또한 개발된 제어기의 S/W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추가/변경할 수 있는 유연성도 있다.

Bezier Spline을 이용한 Weaving Mot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선체 블록 내 용접 로봇의 시뮬레이션

  • 정원지;송태진;김기정;김대영;김재량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3-213
    • /
    • 2004
  • 최근 작업장에서 용접을 위해 로봇을 도입하는 사례가 많다. 단순한 장소뿐만 아니라 선체 블록 내와 같은 제약된 장소에서도 로봇을 많이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로봇의 다양화와 고기능화가 더욱더 요구되고 있다. 로봇의 용접을 위한 위빙 궤적은 용접 품질과 생산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러나 로봇을 도입하여 열악한 작업 환경에서 유연한 동작을 적용하기에는 말은 시행착오와 비용이 소요된다. 그래서 용접 로봇의 도입 이전 단계에서 위빙 궤적이 작업 환경에 맞게 로봇에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중략)

  • PDF

3D Simulation Study of Biped Robot Balance Using FPE Method (FPE 방식을 활용한 이족 로봇 균형 유지 3차원 시뮬레이션 연구)

  • Jang, Tae-ho;Kim, Youngshik;Ryu, Bong-J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4
    • /
    • pp.815-819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balance of a biped robot applying Foot Placement Estimator (FPE) in simulation. FPE method is used to determine a stable foot location for balancing the biped robot when an initial orientation of the robot body is statically unstable. In this case, the 6-DOF biped robot with point foot is modelled considering contact and friction between foot and the ground. For simulation, the mass of the robot is 1 kg assuming the center of robot mass (COM)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obot body.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COM is 1 m. Robot balance is achieved applying stable foot locations calculated from FPE method using linear and angular velocities, and the height of the COM. The initially unstable angular postures, $5^{\circ}$ and $-5^{\circ}$, of the robot body are simulated. Simulation results confirm that the FPE method provides stable balance of the robot for all given unstable initial conditions.

3D Simulation of Maze Solver Micromouse using MEL Script (MAYA의 MEL Script로 구현한 미로찾기로봇 3D시뮬레이션)

  • Kim, Min-soo;Lee, Im-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201-20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공간을 시각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MAYA의 MEL Script를 통해 미로 찾기 로봇을 3D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AYA에서는 생성된 개체에 대해 X-Y-Z 좌표정보를 적용하고 이 수치를 개체의 속성 값으로 제공한다. 이를 이용하여 랜덤한 미로 맵을 완성하기 위한 규칙으로 행렬을 생성하고 이 행렬의 인덱스와 값에 따라 X-Y-Z 좌표정보를 적용하여 개체를 생성하면 랜덤한 미로 맵이 완성된다. 그 후 길을 찾기 위한 규칙에 의해 이동하는 로봇의 X-Z좌표정보를 각 프레임 별로 저장하여 재생 시키면 미로 찾기 로봇 시뮬레이션을 눈으로 확인 가능하다. 사람이 직접 번거롭게 임의의 미로 맵 을 생성하지 않고 로봇이 없어도 간편하게 미로 찾기를 구현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시뮬레이터는 미로 찾기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PDF

Pyro platform comparison for effective education of robot programming (효과적인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Pyro 플랫폼 비교)

  • Song, Ju-Won;Woo, 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272-275
    • /
    • 2010
  • 인간이 하기 힘들거나 번거로운 작업은 지능형 로봇이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 설계, 구현 단계에서 실제 로봇을 사용하기 어려워 시뮬레이션 환경이 많이 사용된다. 실제 로봇을 사용할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개발에 실패하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위험부담이 크다. 그러므로 위험부담을 줄이고 개발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실제 구성될 환경과 동작 환경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환경이 로봇 제어 프로그램 개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Pyro는 교육과 개발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로봇에 대한 세부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제어 프로그램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어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적합한 로봇 개발 플랫폼이다. 본 논문에서는 Pyro에 대해서 알아보고 Pyro 플랫폼들을 비교해본다.

A Study On design & implementation of the intelligent robot simulator which is connected to an URC system (URC시스템과 연계한 지능형 로봇 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Nam, Sang-Yep;Lee, Hyo-Young;Kim, Suk-Joong;Kang, Yi-Chul;Kim, Keun-Eun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v.44 no.4
    • /
    • pp.11-18
    • /
    • 2007
  • Concept of URC does "with me wherever when, and the robot" which provides necessary service to me can be simply defined. This paper uses URC technology and various robots are implemented with a design. That is, we are going to implement that a user controls a virtual robot by communication between URC server with a design. We used an intelligent robot simulation tool, and a developer was easy, and it was intelligent, and we were connected to active URC server, and modeling did a system for simulation to be able to do an URC robot usefully. It was connected to an URC system and various robots and environments were composed with 3D, and, in this paper, a design and implementation did an intelligent robot simulation system so that it was possible by various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simulation. The URC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URC server were based on a Planet v.1.2 ; Network Protocol, CAMUS(Context-Aware Middleware for URC Systems); URC Server, SAM(Service Agent Manager) v.1.2 ; Service API module developed in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Development of A Sketch-Based Robot Simulation Tool (스케치 기반 로봇 시뮬레이션 도구 개발)

  • Aoki, Hiroyuki;Shim, Jae-Kwoun;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2
    • /
    • pp.57-66
    • /
    • 2012
  • It is the advantage of robot programming to improve the learners' interest. However, the drawback is existed in the fact tha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problem lies in the hardware factor or programmed logic when an error takes plac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simulation tool which assists learners to concentrate on the problems not relating to robot assembling but to robot program. It aims to enable beginners make a sketch of their ideas and examine their logic through simulation. Therefore, an Etoys-based robot programming tool is developed to allows user to download and execute the simulated program into an assembled robo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easy activity of sketch-based simulation can support learners to understand how the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are applied in daily life such as an automatic door system.

  • PDF

Development of Multi-Robot Simulator using LTL Synthesis (LTL Synthesis를 이용한 다중 로봇 시뮬레이터 개발)

  • Kim, Sunghae;Kwon, Ryoungkwo;Kwon, Gih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19-1222
    • /
    • 2012
  • Synthesis 기술은 요구사항을 입력 받아서 자동적으로 시스템을 생성한다. 그러므로 생성된 시스템에 대한 추가적인 테스팅과 검증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연어가 아닌 특별한 형태의 논리식으로 요구사항을 기술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변환되었는지, 누락된 요구사항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Synthesis 기술을 로봇 계획 분야에 적용하면 다중 로봇의 작업 계획도 단일 로봇과 동일한 형태로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의 LTLMoP 시뮬레이터는 단일 로봇의 시뮬레이션만을 지원해서 다중 로봇의 시뮬레이션은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 로봇들의 작업 계획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LTLMoP 시뮬레이터를 확장하였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MSF Intelligent Robot Simulation with Problem Solving (문제해결능력을 가진 MSF 지능로봇 시뮬레이션 개발 연구)

  • Kim, Tae-Ho;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839-840
    • /
    • 2009
  • 지능 로봇 분야의 발전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여러 환경에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로봇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능 로봇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을 받아들이기 위한 센서 조작이 반드시 필요한데, 비용 면이나 생산량의 한계 등의 이유로 이러한 센서들을 일반 교육자, 학생이 접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3D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다중 센서를 이용한 문제해결 로봇을 구현하는 개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만약 3D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손쉽게 센서의 생성과 조작이 가능하다면 지능 로봇 연구분야, 특히 지능로봇 교육분야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