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운용시스템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RFID-based Multi-Robot Management System for Maximizing Operational Efficiency (운용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RFID 기반 멀티 로봇 관리 시스템)

  • An, Sang-Sun;Shin, Sung-Oog;Lee, Jeong-Oog;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526-529
    • /
    • 2008
  • 로봇의 응용과 활용분야는 현 산업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현재 싱글로봇의 효율적인 운용을 넘어 전체적인 공간탐색 효율 극대화와 넓은 공간에서 싱글 로봇간의 중복적인 공간 탐색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화된 멀티 로봇 운용 기법은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각되고 있다. 멀티 로봇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멀티 로봇 시스템의 각 싱글 로봇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당 할 수 있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멀티 로봇의 업무 할당과 중복 탐색 최소화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홈로봇(home robot)과 RFID 시스템을 이용한 멀티 로봇 운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로봇들의 Localization, Navigation 및 Mapping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RFID를 활용하고 최적의 공간 할당을 위하여 홈로봇이 각각의 싱글 로봇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제안된 멀티 로봇 시스템은 싱글 로봇 시스템과 비교하여 시스템 운영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싱글 로봇의 상태와 주변 상태를 고려한 fault-tolerance를 제공함으로써 로봇 운용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시스템과 기존 시스템들을 비교하고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Path Planning of a Mobile Robot with Vision System Using Fuzzy Rules (비전 시스템을 가지는 자율주행 이동로봇을 위한 퍼지 규칙을 이용한 경로 계획)

  • 김재훈;강근택;이원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219-22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미지의 환경에서 이동로봇의 자율 주행이 가능하도록 비전 시스템과 퍼지규칙을 이용한 경로 설정과 장애물 회피를 위한 알고리즘을 소개 하고자 한다. 한편 원격지에서도 로봇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통한 원격운용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로봇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소벨 연산자를 이용한 장애물의 윤곽선 추출과 퍼지규칙을 이용하여 경로 계획과 장애물 회피를 위한 알고리즘을 생성하였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이동 로봇을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에서도 제안된 알고리즘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rvice Robot Control based on User Created Contents (User Created Contents 기반 서비스 로봇 제어의 개발 연구)

  • Na, Seung-kwon;Choi, Seok-Im;Pyeon, Yong-Kug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9 no.4
    • /
    • pp.311-317
    • /
    • 2015
  • This paper is a study on how to develop service robots can easily complex software development services robot control system. User created contents based on the robot control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robot drive control circuit, a sensor data processing, the status, the monitoring systems and modular system to configure the service robot operation screen from a user perspective and that can control the service robot operation As in the text-based features that can be operated to have freedom to the robot control service content. In addition, the user has the advantage that changes position by the development as well as user created contents desired by the user operating the robot control GUI (graphic user interface) also changes are possible. As a result, the service robot operator to offer a way to make the service robot can be conveniently presented in a user's point of view how to enable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robot.

obstacle detection and Unmanned driving management system in Drivable Area (주행영역 내의 장애물 탐지 및 무인주행 관리 시스템)

  • Buem-jun Kim;Hyeong-gi Jeon;Kyoung-hee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87-289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무인주행로봇에 적용할 수 있는 장애물 탐지 및 주행지역 이탈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웹캠과 같은 일반적인 카메라를 활용하여 촬영되는 공간에서 무인주행로봇을 운용할 영역을 선정하고 운용영역내의 장애물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제안 시스템은 카메라 위치 기준으로 촬영되는 버드뷰에서 무인주행로봇의 운용영역을 설정하고 탐지된 장애물의 정보를 제공하여 무인주행로봇의 주행에 있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행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 Station and Unmanned Ground Vehicle using Emergency Operation Technique in Combat Field Situation (전장 환경에서의 비상 운용기법을 활용한 무인지상로봇과 원격통제장치 개발)

  • Lee, Jun-Pyo;Cho, Chul-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4
    • /
    • pp.225-233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mote control st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various combat field situation in order for operating multiple unmanned ground vehicles. Our remote control station is capable of sending a variety of messages designed for carrying out the skillful movement for collaborate among unmanned ground vehicles, gathering the information related with combat field situation, and completing the assigned missions which are described by operator in advanc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al, we develop the sophisticated remote control station and conduct a great many remote operating tests for multiple unmanned ground vehicles.

Development of OPRoS based robot component interoperability evaluation system (OPRoS 기반 로봇 컴포넌트 상호 운용성 평가 시스템 개발)

  • Jeong, Bong-won;Song, Byong-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215-218
    • /
    • 2016
  • The robot performs with combined various functional equipments organically. OPRoS (Open Platform for Robotic Services) is a framework to prov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to develop an equipment in the form of the component parts to various institutions and developers and to combine them. To ensure the reliable operation of the robot, the developer should test the component can be coupled reliably with other components developed by other developers. First of all, that the search to find components to be coupled with the component meaningfully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nteroperability evaluation system which can find components to be meaningfully coupled with the component to be evaluated.

  • PDF

우리별 위성의 자세 제어 시스템

  • 김병진;이현우;성단근
    • ICROS
    • /
    • v.3 no.2
    • /
    • pp.34-40
    • /
    • 1997
  • 우리별 1, 2호의 제작과 운용을 통하여 위성 설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다. 소형 위성이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을 비교적 쉽게 이해하고 우리별 3호 설계에 많은 밑 바탕이 되었다. 4년 동안의 위성 운용 경험은 새로운 시스템 제작에 있어 많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방법을 제공해 주었다. 자세 제어적인 측면에서 볼 때 우리별 3호는 매우 진보적인 구조와 성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계속적인 시스템 분석과 실험을 통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작업이 요구된다.

  • PDF

수중 다중 로봇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

  • Yeo, Tae-Gyeong;Hong, Seop;Jeon, Bong-Hwan
    • ICROS
    • /
    • v.16 no.1
    • /
    • pp.23-34
    • /
    • 2010
  • 대부분의 다중 로봇(Multi-robots) 시스템은 환경적으로 단일로봇의 운용을 포함하지만, 수많은 연구가들은 제시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하여 로봇 그룹이 협력함으로써 나타나는 잠재적 장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미지의 해성 탐사(Exploring), 물체 일기(Object pushing), 그리고 유독성 폐기물 첨소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로봇을 사용하기 보다는 소형이며 간단한 다수의 로봇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A RFID-Based Cleaning Multi-Robot System in Indoor Environments (실내 환경에서 운용 가능한 RFID 기반 청소 멀티 로봇 시스템)

  • An, Sang-Sun;Shin, Sung-Oog;Lee, Jeong-Oog;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775-778
    • /
    • 2007
  • 로봇의 응용과 활용분야는 현 산업의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현재 싱글로봇의 효율적인 운영을 넘어 넓은 공간에서 중복적인 공간 탐색을 최소화하기 위한 멀티 로봇 운영 기법은 중요한 연구 주제 중에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멀티 로봇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멀티 로봇 시스템의 각 싱글 로봇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당 할 수 있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멀티 로봇의 업무 할당과 중복 탐색 최소화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앙 서버와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청소 멀티 로봇 운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로봇의 localization, navigation 및 mapping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RFID를 활용하고 최적의 청소 공간 할당을 위하여 중앙 서버가 멀티 로봇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청소 멀티 로봇 시스템에서는 싱글 로봇과 비교하여 효율적인 로봇의 운영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각 싱글 로봇의 상태와 주변 상태를 고려한 fault-tolerance를 제공함으로써 로봇 운영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 PDF

Specification of a software architecture and protocols for automated VLSI manufacturing system operation (자동화된 VLSI 생산 시스템 운용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 및 프로토콜 설계)

  • Park, Jong-Hun;Kim, Jong-Won;Kwon, Wook-Hyun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3 no.1
    • /
    • pp.94-100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된 VLSI 제조 시스템 환경에서의 로트 조정기 및 범용 셀 제어기의 구축에 필요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구조 및 프로토콜을 제시하였다. 반도체 제조 시스템의 운용 제어 활동은 로트 조정기와 범용 셀 제어기가 상호 협조적으로 통신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모형화 되었으며, 로트 조정기는 하나 이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셀 제어기에 작업을 의뢰하는 클라이언트로서 작동된다. 반도체 제조 시스템의 운용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이 개념적인 구조와 전략 만을 다루었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생산 설비 뿐만 아니라 물류운반 장치의 제어를 위하여 상세한 수준에서의 설계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특징으로는 설비 구성, 로트 형태, 일정 계획 규칙 등의 변경에 대한 동적 재구성 가능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안된 설계는 상용화된 프로세스 통신 기능을 사용하여 구현이 용이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