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로봇교육프로그램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Programmable Avatar Robot For Algorithm Education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가능한 아바타 로봇)

  • 유경종;강기준;이부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1133-1136
    • /
    • 2002
  • EasyLab은 다양한 부류의 학습자에게 기본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제공하여, 창의성과 논리성 계발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학습자는 EasyLab을 통해 자신이 의도한 바를 알고리즘화 시켜 프로그래밍하고, 그 코드를 USB로 연결된 아바타 로봇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로봇은 프로그램화된 코드에 의해 반응을 하게 되고, 학습자는 자신의 의도와 비교, 연구, 반복할 수 있다. EasyLab은 초보자가 학습하기 쉽도록 GUI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알고리즘 교육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Programming Instruction Robot System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용 로봇시스템 설계 및 개발)

  • Moon, Chae-Young;Kim, Se-Min;Ryu, Kwa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477-480
    • /
    • 2012
  • In this study an programming instruction robot system using smart phone was designed and development. The system In this study is by direct programming using smart phone and program written using smart phone through a bluetooth module behavior is to be transferred to the robot control circuit. In this plac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the robots in education and training means you can the robot's motion and, therefore, the results of students of programming through a smartphone is beyond the limits of the existing educational programming education.

  • PDF

Design of Robot Instruction Program for Lower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초등 저학년 로봇교육 프로그램 설계)

  • Kang, Ho;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29-1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문제해결력 증진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미래 사회의 핵심이 될 로봇에 대한 초등학교 저학년용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값 비싼 교구 없이 일반학교와 영재교육의 심화과정 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1학기 분량으로 재량 수업시수 17차시 의 분량으로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학습내용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Perception of the Robo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로봇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현장의 인식 조사)

  • Park, Choon-Ae;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87-192
    • /
    • 2006
  • 21세기는 로봇의 시대라 불릴 만큼 전 세계적으로 획기적인 기술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나아가 미래에서는 로봇이 일상생활 속의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은 명백한 일이다. 이에 로봇에 대한 기초 지식과 그것을 다루기 위한 기본 능력의 배양을 위한 교육이 초등학교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로봇교육은 선진국에 비해 걸음마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로봇교육을 보다 충실하게 운영할 수 있으며 시대적 및 교육적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 현재 초등학교단계에서 이루어지는 로봇교육에 대한 운영 현황을 분석한 후 교사, 학부모, 학생들의 로봇교육에 대한 인식을 고찰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의 로봇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The Robo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choolwide Enrichment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학교전체 심화학습 모형에 기반한 초등로봇교육 프로그램)

  • Lee, YoungJun;Seo, YoungMi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5 no.5
    • /
    • pp.33-41
    • /
    • 2012
  •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have many opportunities to find their abilities and talents. However, informatics education in Korea does not target the enti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pportunities for informatics education are given only to some students. Unlike possibilities to find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nd science gifted students, opportunities to find informatics gifted students are very limited. This study aims to solve current problems through a robo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M(Schoolwide Enrichment Model). Using modified curriculum and school enrichment cluster, robot programming education is implemented at the pilot school. The result shows that robo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M improved creative potentia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A Study on Contents of Robot Education Curriculum (로봇 교육과정 단계별 학습내용에 관한 연구)

  • Kim, 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3
    • /
    • pp.443-452
    • /
    • 2014
  • In this study, robot curriculum was developed to fulfill systematic robot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or literature research, robot curriculum cases in the UK, the US, and Korea were surveyed to choose and organize robot education contents. The robot curriculum developed is categorized into five areas-robot basic course, sensor, structure/motion, control, and problem-solving-and consist of four step-robot experience, robot creation, robot exploration, and robot control. Stepwise learning contents reflected difficulty and sequence to let students experience intensive repetitive activity. This study will lay the foundation for applying systematic robot education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stud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robot curriculum.

Development of Elementary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WeDo Robot (WeDo 로봇 활용 초등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weon, Soonhwan;Park, Jung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8a
    • /
    • pp.335-340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creating an environment for maker education programs for robot and SW educ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ker education programs for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Based on the preceding maker education model, the OMCSI model was developed for the lower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and based on this, five WeDo-utilized elementary maker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From April 1, 2020 to October 30, 2020, the results of applying the elementary school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WeDo Robot 2.0 to 10 second graders of 10 Elementary School in Gyeongsangnam-do are as follows. The average increased by 3.40 points (t=-2.378, p=0.034) and the average increased by 3.30 points (t=-2.329, p=0.040). The average was also increased by 3.40 points (t=-2.458, p=0.038). Finally, it rose to 3.70 points (t=-2.449, p=0.037) for its reasoning ability. That is, all four sub-elements of computing thinking had a significant probability of 0.04,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ores of pre-post computing thinking. Therefore, the Elementary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WeDo robots has worked very effectively to improve students' computing thinking skills.

  • PDF

Development of mathematics program based on STEM the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educational robot (STEM기반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수학 학습프로그램 개발)

  • Kim, Eun-Jung;Nam, Dong-Soo;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127-130
    • /
    • 2012
  • 수학은 기초학문으로서 합리성과 창의성을 기르는 중요한 과목이다. 하지만 학생들에게는 어렵고 두려운 과목으로 되어가는 게 현실이다. 한편 STEM은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서로 융합하여 과학, 수학, 공학, 기술 등의 과목에 흥미도를 높이기 위한 대안적 교육이다. STEM교육의 도구로 로봇이 효과적인 것으로 연구되어 있다. 따라서 STEM 기반의 로봇교육을 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고자 수학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A Perception on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169-17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 조사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하여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프로그램과 예비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교사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로봇이 흥미, 자신감,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였고, 문제 해결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과 직접 구현하면서 만들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해가 쉽다고 말하였다. 반면에 로봇이 조립과 분해가 어렵고,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점, 부품 관리의 어렵다는 점, 조작이 어렵다는 점때문에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이러한 부정적인 의견 때문에 로봇을 수업에 활용하지 않겠다는 예비 교사가 더 많았다. 마지막으로 예비 교사가 로봇 활동은 개별 활동보다 조별 활동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Using Robo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Kim, Jeong-R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4 no.12
    • /
    • pp.209-216
    • /
    • 2019
  • In view of the educational effects and social changes of software education, equal opportunities for software education are needed regardless of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studies on software education for general student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studies on softwar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obot education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ing robot-enabled software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meaningful in terms of expanding software education opportunities for all. In addition, the robot-bas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is easy to motivat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low task concentration, short-term memory, and low sociality. Significant changes will be made not only in terms of management capacity, but also in terms of self-efficacy and conf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