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렙틴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19초

도라지 종자 추출물의 처리가 제2형 당뇨 db/db 마우스의 혈당개선에 미치는 효과 (Improvement of bloo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ic db/db mice using Platycodon grandiflorum seed extract)

  • 김태영;김석중;임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1-88
    • /
    • 2020
  • PGSE의 혈당조절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제2형 당뇨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8주간의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고농도 PGSE(600 mg/kg)의 투여는 경구 포도당 내성 및 혈당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p<0.05), 당화혈색소도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시켰다(p<0.05). 또한, 혈청 인슐린과 렙틴 농도 역시 대조군과 비교하여 PGSE 고농도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GSE 투여는 db/db 마우스의 골격근에서 인슐린 의존적 세포신호전달경로를 유의적으로 활성화시켰으며, AMPK 인산화를 촉진시키고, 골격근내 포도당 흡수를 위한 GLUT4의 세포막으로의 전이를 대조군 대비 약 1.7배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할 때 PGSE는 항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교 남학생의 체지방률에 따른 렙틴, 인슐린 및 혈청지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s of Leptin, Insulin and Serum Lipids of Primary School Boys Depending on %Fat)

  • 서국은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26-232
    • /
    • 2002
  • 남자 비만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지방률에 따른 경도비만(%fat 20∼24.9%), 중도비만(25∼29.9%), 고도비만 (30%이상)으로 분류하여 인슐린, leptin 및 혈청지질을 분석·평가하였다. 인슐린은 고도비만 초등학생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leptin은 경도비만 초등학생들에 비해 중도비만 초등학생들과 고도비만 초등학생들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C는 경도비만 초등학생들에 비해 고도비만 초등학생들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체지방률이 높을수록 HDL-C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TG는 고도비만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LDL-C는 체지방률이 높아질수록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만 초등학생들 중에서도 체지방률에 따라서 인슐린, leptin, T-C 및 T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비만을 관리 하는데 있어서 체계적이고, 세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성인여성의 체지방률에 따른 영양소섭취, 렙틴, 아디포넥틴, 코티졸 및 인슐린농도 (Nutrient Intake, the Concentrations of Leptin, Adiponectin, Cotisol & Insulin by the Body Fat Content of Women)

  • 이순례;배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14-723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intakes, serum hormones (leptin, adiponectin, insulin), salivary cortisol and ${\alpha}$-amylase of middle-aged women by the percentage of body fat (% fat). Subjects were assigned to 3 groups by body fat (%) group I (27.5%), group II (32.5%), group III (37.7%). WHR of group II (0.9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group I, III (0.95) (p < 0.05). Nutrient intakes were not different among 3 groups. Serum leptin levels of group III ($16.53{\mu}g/ml$) were higher than in group I ($10.07{\mu}g/ml$), group II ($12.24{\mu}g/ml$) (p < 0.05). Salivary cortisol levels of group II ($0.39{\mu}g/dl$) were higher than in group I ($0.17{\mu}g/dl$) and group III ($0.15{\mu}g/dl$) (p < 0.05). Adiponectin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AS (r = -0.29)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 = 0.27). Insulin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r = -0.33), Zn intake (r = -0.3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WHR (r = 0.31). The overall anthropometric indices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leptin levels. Salivary cortisol levels were positively corelated with WHR (r = 0.28), total cholesterol (r = 0.31), MDA (r = 0.29) and intakes of SFA (r = 0.35) and MUFA (r = 0.3). Salivary amylas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nutrient intakes (energy, CHO, fat, cholesterol. Fe, SFA, MUFA, Zn, Na, vitamin $B_2$, r = 0.24-0.5)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 = -0.3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1) WHR would be a helpful index in the assessment of metabolic risk diseases. 2)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tress exposure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상엽 에탄올가용분획의 글루코스전달체, acetyl-CoA 카복시라제 및 렙틴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ri Folium Ethanol Soluble Fraction on mRNA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s, acetyl-CoA carboxylase and leptin)

  • 류정화;육창수;정성현
    • 약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89-597
    • /
    • 1998
  • Effects of Mori Folium Ethanol Soluble Fraction (MFESF) on mRNA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s,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leptin were examined in db/db mice. 500 and 1000mg/kg dose for MFESF (designated by SY 500 and SY 1000, respectively) and 5mg/kg dose for acarbose were administered for 6 weeks. Quantitations of glucose transporters (GLUT-2 and GLUT-4), ACC and leptin mRNA were performed by RT-PCR and in vitro transcription with co-amplification of rat ${\beta}$-actin gene as an internal standard. Muscular GLUT-4 mRNA expression in MFESF-treated groups were increased dose dependently. On the other hand, MFESF caused the GLLT-4 and leptin mRNA expressions in adipose tissue to decrease dose dependently, which means that triglyceride synthesis in adipocytes might be decreased and consequently signals adipocytes to inhibit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leptin. Hepatic ACC mRNA expression in MFESF-treated groups was also decreased. and this may result in lowering of serum triiglyceride level. In contrast, liver GLUT-2 mRNA expressions in MFESF-treated and acarbose groups were increased. Higher rate of glucose uptake into hepatocytes is known to inhibit a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PEPCK)-catalyzed reaction, which is a rate-limiting step in gluconeogenesis.

  • PDF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마우스에서 산마늘 잎추출물의 항비만효과 (Allium victorialis Leaf Extract Prevents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in Mice)

  • 구세광;정인권;전우현;김주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0-286
    • /
    • 2011
  • 본 실험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마우스에서 산마늘 잎 메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체중변화, 사료섭취량변화, 렙틴과 아디포넥틴 수치변화, 난소주위 지방무게 변화 측정과 지방세포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메트포민을 체중당 250 mg 투여한 약물대조군과 비교평가 하였다. 비만유발을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13주간 공급하였으며, 고지방식이 공급 7일째에 증류수(비만대조군), 메트포민(약물대조군), 산마늘 잎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하였다. 비만대조군은 확연한 비만이 유발되었으며, 산마늘 잎 메탄올 추출물(62.5, 125, 250 mg/kg) 투여군에서는 이러한 비만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산마늘 잎 메탄올 추출물은 비만유발 마우스에서 비만개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나아가 인체에서도 유의한 비만개선작용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사춘기 여중생의 혈청 렙틴, 지질, 골대사 지표 및 영양 섭취 상태와의 관계 (The Study of Relation among Serum Leptin, Lipids, Bone Metabolism Marker and Nutrient Intakes of Middle-school Girls)

  • 이다홍;배윤정;승정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3-19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ptin, lipids, bone metabolism markers and nutrient intakes of obese middle-school girls compared to those of normal subjects. Each subject was assigned to either the normal(n=22) or obese groups(n=25) according to their BMI. The subjects were asked for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intakes using a questionnaire and 24-hr recall method. The serum leptin, lipids and osteocalcin(bone metabolism marker) were measured using blood analyses. The average ages of the subjects in the normal and obese groups were 13.9 and 14.0 years, respectively. The average weight(p<0.001) and BMI(p<0.001) of norm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bese group. The plant protein intake of the girls in the obese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p<0.01). The levels of serum leptin in the obese and normal groups were 18.0 and 10.0 ng/mL, respectively(p<0.001). The serum LDL-cholesterol(p<0.01) and triacylgeride(p<0.05) of the obese girl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Also, the serum osteocalcin(bone formation marker) in the obese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p<0.001). The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osteocalcin(p<0.001), but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serum leptin(p<0.001). The serum osteocalcin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plant protein intake(p<0.05). In conclusion, the excessive increase in weight and % body fat in middle-school students appeare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bone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on the effects of bone metabolism markers, obesity and nutrient intakes for proper bone health.

  • PDF

비만도에 따른 성인 여성의 혈청 인슐린, 렙틴, 아디포넥틴 및 hs-CRP 농도 비교와 상호 관련성 (Comparison of Serum Insulin, Leptin, Adiponectin an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their Associations in Adult Women)

  • 이미영;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6-135
    • /
    • 2011
  • Obesity is characterized by increased storage of fatty acids in an adipose tissue and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VD) through secretion of adipokines.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serum insulin, leptin, adiponectin an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s according to body masss index (BMI) in Korean adult women aged 19 to 50. In addition,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BMI, serum lipids and Homa-IR with serum adiponectin, leptin and hs-CRP level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their BMI, normal weight (BMI ${\leq}$ 22.9, n = 30), overweight (23.0 ${\leq}$ BMI ${\leq}$ 24.9, n = 71) and obese group (25.0 ${\leq}$ BMI, n = 59). Serum levels of total-cholesterol, TG, and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normal weight group. LDL/HDL ratio and A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normal or overweight group. Fasting serum levels of glucose and insulin and Homa-IR as a marker of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overweight group. Serum lepti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while serum adiponect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obese group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hs-CR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obese group. Correlation data show that serum adiponec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HDLcholesterol level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I, WC, TG, LDL-cholesterol, Homa-IR, hs-CRP and leptin. In addition, serum lep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WC, glucose, insulin, Homa-IR and hs-CRP. These results might imply that the regulation of key adipokines such as adiponectin might be a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associated diseases such as diabetes and CVD.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비만여성에 대한 필라테스의 효과: 문헌 고찰 (A Literatura Review of The Effect of Pilates on Obesity Women for Improvement of Life Care)

  • 문옥곤;김다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95-60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여성에게 필라테스를 적용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필라테스가 비만여성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논문의 선정은 데이터베이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Pubmed를 통해 선정기준에 해당하는 총 1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필라테스로 인한 비만 여성들의 변화로는 허리와 다리의 등속성 근력과 허리둘레의 변화, 비만관 관련된 신체구성성분 중, RBP-4, 인슐린, 글루코스, 코르티솔, 렙틴, 콜레스테롤, 체지방, CRP의 감소와 그렐린, 아디포넥틴 농도의 증가, 혈관 탄성의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있으며, 자아 존중감 및 삶의 질 지표 변화로 비만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내었다. 필라테스는 건강과 관련된 요소에서 효과적이라고 보여지며 비만 여성의 라이프케어에 추천되는 운동으로 생각된다.

저농도 레반 공급이 혈중 지질 및 체지방 형성과 UCP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Level of Levan Feeding on Serum Lipids, Adiposity and UCP Expression in Rats)

  • 강순아;홍경희;장기효;김소혜;조여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88-795
    • /
    • 2002
  • 본 연구는 프락토즈 중합체인 레반의 지질 감소 효과와 비만 유전자인 UCP를 통한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성장기 6주간 AIN-76A diet로 사육한 흰쥐에게 레반을 식이 섭취량의 1%, 2%로 5주간 경구투여하여, 혈중 지질 수준과 체지방 형성 및 혈중 인슬린, 렙틴 농도와 갈색 지방 조직, 백색지방 조직, 골격 근육, 시상하부에서 의 UCP mRNA 발현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레반군에서 혈청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아 1%와 2% 레반 공급이 지질 대사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 1%와 2% 레반군에서 내장 지방 무게가 감소하여 적은 양의 레반 공급으로 체지방 축적이 억제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 갈색 지방 조직과 부고환 지방, 복막 지방 무게는 그룹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혈청 인슬린 농도는 1% 레반군에서, 혈청 렙틴 농도는 1% 레반군, 2% 레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5) 1%와 2% 레반 공급에 의하여 갈색 지방 조직과 골격근육, 시상하부에서의 UCP mRNA발현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6) 백색 지방 조직의 UCP 2 mRNA 발현량이 레반 공급에 의해 증가하여 1%와 2%레반 공급에 의해 에너지 소비율이 증가할 수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농도의 1%와 1% 액상 레반 공급은 총 식이의 ,3%~5% 레반 공급과 비교하여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감소 효과에는 차이가 있으나 UCP 발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저농도의 1~2% 액상 레반 공급으로 지질 대사를 개선하고 체지방 축적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임상 연구로 레반의 고지혈증과 비만을 조절하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 검색이 요망된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Hydroxy Citric Acid) 첨가 미국인 선호 김치의 발효특성 및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merican Preferred Kimchi Added to Garcinia Cambogia Extracts (Hydroxy Citric Acid))

  • 양유진;안인숙;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76-783
    • /
    • 2005
  • 본 연구는 미국인 선호 김 치 에 다이어트 기능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HCA가 51.46$\%$ 함유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각각 $0.5\%,\;1.0\%,\;1.5\%,\;2.0\%$ 첨가하여 제조한 후 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관능성, 그리고 글리세롤과 렙틴 분비 등을 통해 항비만성 을 조사하였다. 김치에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담금 초기에는 pH는 낮고 산도는 높았으나 적숙기 이후에는 실험군간의 pH와 산도 값이 유사하게 나타남으로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첨가한 군의 발효속도가 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느림을 알 수 있었다. Lactobacillus sp.와 Leuconostoc sp.등의 젖산균 수 역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수는 적은 반면에 젖산균의 최대 생성시기가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색 도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 색도는 낮은 반면 황색도는 높았고 조직감 실험 에서는 첨가량에 상관없이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검사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0.5\%,\;1.0\%,\;1.5\%$ 첨가한 것까지는 유의적으로 차이 없이 선호도가 높았다. 이에 미국인 선호김치의 다이어트 기능성 증진을 위해서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첨가량을 $1.5\%$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3T3-Ll 비 만세포를 이용해서 미국인 선호 김치와 $1.5\%$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첨가 미국인 선호 김치의 렙틴 분비를 측정한 결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첨가한 미국인 선호 김치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그 수치가 유의적 (p<0.05)으로 낮아 항비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미국인 선호김치에 HCA가 함유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서 김치의 발효 속도가 느려지고, 중성지방의 생성을 억제하는 항비만 효과는 나타내었으나 김치의 관능성이 약간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기에 향후 다이어트 기능성을 가지면서 관능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