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레이더 망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26초

합성곱 신경망의 Channel Attention 모듈 및 제한적인 각도 다양성 조건에서의 SAR 표적영상 식별로의 적용 (Channel Attention Module i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Its Application to SAR Target Recognition Under Limited Angular Diversity Condition)

  • 박지훈;서승모;유지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5-186
    • /
    • 2021
  • In the field of automatic target recognition(ATR) with synthetic aperture radar(SAR) imagery, it is usually impractical to obtain SAR target images covering a full range of aspect views. When the database consists of SAR target images with limited angular diversity, it can lead to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SAR-ATR system.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deep learning-based method where channel attention modules(CAMs) are inserted to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Motivated by the idea of the squeeze-and-excitation(SE) network, the CAM is considered to help improve recognition performance by selectively emphasizing discriminative features and suppressing ones with less information. After testing various CAM types included in the ResNet18-type base network, the SE CAM and its modified forms are applied to SAR target recognition using MSTAR dataset with different reduction ratios in order to validate recognition performance improvement under the limited angular diversity condition.

정밀단독측위를 이용한 저궤도위성의 궤도결정 정밀도 분석

  • 최종연;이상정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1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20권1호
    • /
    • pp.25.2-25.2
    • /
    • 2011
  • 저궤도위성의 정밀궤도결정은 GPS 위성과 수신기의 시계 공통오차를 제거하기 위해 이중 차분하는 방법으로 요구된 위치 정밀도를 충족시켜왔다. 그러나 빠른 속도로 지구를 회전하는 저궤도위성의 정밀궤도결정에 있어 이러한 이중 차분방법은 지구상에 광범위하게 분포된 지상 IGS 망 처리에 많은 계산 부담을 안고 있다. 그리고 지상 측지뿐만 아니라 저궤도위성을 이용한 기상관측 또는 긴급한 영상 처리 응용분야에서도 고정밀도 준실시간(Near Real Time-NRT)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고정밀 준실시간 정밀궤도결정을 위한 대안은 이중주파수 GPS 수신기으로 IGS에서 제공되는 정밀궤도력을 갖고 고정밀 단독측위가 가능한 정밀단독측위(precise point positioning) 기법으로 상대측위와 버금가는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는 고정밀 합성 레이더 영상 처리를 위해서 요구되는 20 cm 위성 위치 정밀도를 만족시키고, 대기 기상관측을 위해 GPS 전파 엄폐 측정값 수집을 목적으로 고정밀 이중주파수 GPS 수신기(Integrated GPS and Occultation Receiver, IGOR)를 탑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IGOR의 이전 제품인 Blackjack 수신기를 탑재한 GRACE 위성의 실제 GP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략 3 ~ 5cm의 위치 정밀도를 얻었다. 준실시간 정밀궤도결정에서 정밀도 손실없이 궤도결정 처리 지연시간(latency)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 지연시간은 GPS 측정값의 양에 따라 크게 좌우되기에 GPS 측정값 샘플링 주기를 10초에서 640초까지 변화시켜가면서 정밀도를 분석한 결과, 위치 정밀도 손실없이도 궤도결정처리 지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등가회로망 모델을 이용한 Bistatic 지하탐사 레이더 시스템의 수신응답 해석 (Analysis of Receiving Responses for a Bistatic Ground-Penetrating Radar System by Using Equivalent Network Model)

  • 현승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6호
    • /
    • pp.404-404
    • /
    • 2000
  • 3차원 FDTD 법과 등가회로망 모델을 이용하여 bistatic GPR 시스템의 수신응답을 해석하였다. 기존의 델타갭 급전모델은 안테나와 선로간의 임피던스 정합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GPR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선된 급전모델을 구성하였다. 실제 bistatic GPR 시스템에 대한 3차원 FDTD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각주파수 영역의 등가 회로망 모델을 구성하여 실제 수신전압을 계산하였다. 계산결과가 측정자료에 접근함을 보임으로써 제시한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등가회로망 모델을 이용한 Bistatic 지하탐사 레이더 시스템의 수신응답 해석 (Analysis of Receiving Responses for a Bistatic Ground-Penetrating Radar System by Using Equivalent Network Model)

  • 현승엽;김상욱;김세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6호
    • /
    • pp.44-53
    • /
    • 2000
  • 3차원 FDTD 법과 등가회로망 모델을 이용하여 bistatic GPR 시스템의 수신응답을 해석하였다. 기존의 델타갭 급전모델은 안테나와 선로간의 임피던스 정합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정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GPR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선된 급전모델을 구성하였다. 실제 bistatic GPR 시스템에 대한 3차원 FDTD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각주파수 영역의 등가 회로망 모델을 구성하여 실제 수신전압을 계산하였다. 계산결과가 측정자료에 접근함을 보임으로써 제시한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지하탐사 레이더의 응답 계산에 적합한 안테나 급전모델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Antenna Feed Models Suitable for Computation of Responses for a Ground-Penetrating Radar)

  • 현승엽;김세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8권2호
    • /
    • pp.19-27
    • /
    • 2001
  • FDTD법을 이용하여 GPR의 응답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안테나 급전 모델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 문헌에 의하면 각주파수 영역에서 등가 회로망 모델, 시간영역에서 1차원 전송선 셀 모델, 전압경계조건 모델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급전모델간의 이론적인 관계를 검토하였다. 매우 짧은 길이의 무손실 급전선이 송신기(또는 수신기) 와 정합 되었을 때 위의 3가지 모델이 서로 등가관계가 성립함을 알 수 있었다. 모의계산의 정확성과 계산의 효율성 관점에서 급전모델에 따른 실제 GPR 시스템의 수신응답 계산결과들을 비교하였다.

  • PDF

Conditional GAN을 이용한 SAR 표적영상의 해상도 변환 (Resolution Conversion of SAR Target Images Using Conditional GAN)

  • 박지훈;서승모;최여름;유지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21
    • /
    • 2021
  • For successful automatic target recognition(ATR) with synthetic aperture radar(SAR) imagery, SAR target images of the database should have the identical or highly similar resolution with those collected from SAR sensors. However, it is time-consuming or infeasible to construct the multiple databases with different resolutions depending on the operating SAR system. In this paper, an approach for resolution conversion of SAR target images is proposed based on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cGAN). First, a number of pairs consisting of SAR target images with two different resolutions are obtained via SAR simulation and then used to train the cGAN model. Finally, the model generates the SAR target image whose resolution is converted from the original one. The similarity analysis is performed to validate reliability of the generated images. The cGAN model is further applied to measured MSTAR SAR target images in order to estimate its potential for real application.

전파강수관측소 HSR 추정 기법 (HSR estimation method of electromagnetic precipitation observation stations)

  • 임상훈;윤성심;조요한;정현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7-37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형 강우레이더 관측망에 대한 동해안 지역 관측공백 해소와 집중호우에 의한 재해예방을 목적으로 운영 중인 삼척과 울진 전파강수관측소의 강우추정을 위해 빔차폐 등을 고려한 HSR(Hybrid Surface Rainfall) 추정 기법을 소개하고 지상강우량과 비교 결과를 제시한다. 전파강수관측소의 HSR 추정 기법은 1) 자료 품질관리, 2) 고도별 자료의 병합, 3) 병합 자료 기반 분포형 비차등위상차 산정, 그리고 4) HSR 강우 추정 단계로 이루어진다. 품질관리 과정은 전파강수관측소의 관측자료 중 강우추정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반사도, 차등위상차의 품질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자료 병합 과정에서는 고도별로 품질관리된 반사도와 각 고도의 차등위상차의 레이별 차이를 병합한다. 그리고 병합된 반사도와 차등위상차의 레이별 차이를 이용하여 비차등위상차를 구한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하여 R-KDP 관계식을 이용하여 HSR을 산출한다 시험적용 결과 제안된 HSR 강우 추정 기법이 강한 강우가 발생한 지역의 강우강도를 잘 추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북한 6차 핵실험 이후 지표변화 관측 (Detection of Surface Changes by the 6th North Korea Nuclear Test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ry)

  • 이원진;선종선;정형섭;박순천;이덕기;오관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4호
    • /
    • pp.1479-1488
    • /
    • 2018
  • 2017년 9월 3일 북한에서 발생한 인공지진 신호가 기상청 지진관측망에 관측되었다. 진앙은 풍계리 핵실험 지역으로 지금까지의 실험 중 가장 강력한 실험이었다. 직접적 접근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6차 핵실험에 의한 주변 지표변화 연구를 위해 고해상도 위성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선, 지표변위 관측을 위해 ALOS-2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레이더 간섭기법(InSAR: SAR Interferometry)을 적용하였다. 하지만 6차 핵실험 주변 지역의 대규모 지표변위와 강한 진동으로 인해 낮은 긴밀도(coherence) 값을 지니며 레이더 간섭도가 생성되지 않았다. 이는 강한 진동으로 인한 표면의 변화와 레이더 간섭도가 생성 가능한 최대 지표변위 관측 범위보다 큰 변위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오프셋 트래킹(Offset Tracking) 방법을 활용하였다. 오프셋 트래킹 방법은 6차 핵실험 전 후 위성 영상레이더의 강도 영상(Intensity)에 대한 교차상관기법(Cross-Correlation)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관관계 추정을 위해 사용된 윈도우 크기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32부터 224까지 16단계로 윈도우 크기를 변화시키고 그 결과의 통계적 처리 후 지표변위를 생성하였다. 그 결과, 6차 핵실험 장소를 기준으로 만탑산 서쪽 지역에서 최대 3 m의 지표변위를 관측하였다. 또한, 고해상도 광학 영상을 활용하여 6차 핵실험에 의한 산사태 및 함몰지역으로 추정되는 지역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매우 강력한 지하 핵실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기존 음파 및 지진파를 이용한 핵실험 분석뿐만 아니라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비접근 지역에 대한 보조 분석 자료로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지상과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LAMP 우박 예측 성능의 정성적 검증 (Qualitative Verification of the LAMP Hail Prediction Using Surface and Radar Data)

  • 이재용;이승재;심교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9-189
    • /
    • 2022
  • 우박은 강한 상승 기류에 의하여 빙결 고도 이상에서 수적이 상승과 하강을 반복함에 따라 얼음덩어리로 성장 후 지상으로 낙하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우박은 단기간 내 국지적인 영역에서 발생하여 농림업 분야에 큰 피해를 미치지만 우박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농림기상센터 LAMP를 이용한 우박 예측을 소개하고, 2020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발생한 50개의 우박 사례에 대하여 LAMP 우박 예측 성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우박 사례의 경우 봄철에 주로 오후 시간대에 발생 빈도가 높았고, 우박의 지속 시간은 평균 15분이었으며, 우박의 직경은 1 cm로 나타났다. LAMP의 우박 예측 성능을 정성적으로 평가한 결과 50개의 사례 가운데 35개 사례에 대하여 우박 예측에 성공하여 탐지율은 70%로 나타났다. LAMP의 우박 예측 성능은 우박을 예측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저하된 것으로 사료된다. 실제 우박 사례에 대한 레이더 반사도를 조사한 결과, 고도에 무관하게 최대 반사도가 40 dBZ 이상이었고, 우박 사례의 약 50%가 30~50 dBZ 사이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현재 LAMP의 우박 예측 성능을 향후 보완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LAMP를 활용한 우박 예측 성능이 향상됨으로써 농림업 분야에서 망 피복 등의 선제적 조치를 통해 우박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CBRS 서비스를 위한 FSS 지구국 주파수 공동사용 (Frequency Sharing with FSS Earth Stations for CBRS Services)

  • 강영흥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07-514
    • /
    • 2019
  •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해군 레이더 및 고정지구국 제1 업무로 사용하고 있는 3.5 GHz (3,550 - 3,700 MHz) 대역을 공동사용으로 CBRS (citizen broadband radio service) 시스템이라는 스몰셀의 저전력망 구축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제정하였다. CBRS를 위한 공동사용 기술은 3-tiered SAS (spectrum access system)에 기반하여 하위계층 유저로부터 상위계층 유저를 보호하고 가용 스펙트럼을 최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국내에서도 적극적으로 CBRS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3.5 GHz 대역은 국내에서 이미 5G용으로 할당되어 있어, 본 논문에서는 3,700 - 5,000 MHz 대역에서 주파수 공동사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3.8 GHz 대역(3,800 - 3,900 MHz)이 FSS(fixed satellite service)용으로 한정되어 있어, 주파수 공동사용이 가능한 대역으로 검토되었으며 FSS 지구국에 미치는 간섭분석을 수행하여 국내의 CBRS 도입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