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럭셔리 브랜드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6초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 마케팅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과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Message Framing Types of Sustainable Marketing Campaigns of Luxury Impacting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Brand Trust)

  • 김민정;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245-252
    • /
    • 2024
  • 본 연구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지속가능 마케팅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이라는 개인의 인지적 특성이 갖는 상호작용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로 하여금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을 높였으며, 수용자의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은 각각 해당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단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신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메시지 프레임이 직접적으로도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는데 있어 긍정적 효과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럭셔리 vs. 비(非)셔리 브랜드의 광고에서 배경음악 내 적합도가 브랜드 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t in Background Music on Brand Memory for Luxury vs. Non-luxury Brand Advertising)

  • 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147-152
    • /
    • 2018
  • 선행문헌들은 사람들이 럭셔리 브랜드에 대해 非럭셔리 브랜드보다 추상적으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며, 브랜드 처리에 있어 적합의 영향을 많이 받음을 보여왔다. 본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에 대해 非럭셔리 브랜드 광고에 있어 실행단서 내의 적합 vs. 非적합이 브랜드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음악에 주목하여 배경음악과 사운드 로고가 적합하거나 그렇지 않은 조건에서 피험자들이 브랜드를 얼마나 잘 기억하는 지 살펴보았는데, 럭셔리 브랜드 광고에서 적합의 긍정적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실행단서와 브랜드 이미지나 실행단서 간 적합 뿐 아니라 실행단서 '내'에서의 적합 또한 긍정적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는 데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럭셔리 브랜드의 자선 연계와 생산방식의 부정적 지각이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죄책감 감소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s of Charity and Negative Perception of Production on Purchase Intent toward Luxury brand: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uilt Reduction)

  • 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85-91
    • /
    • 2016
  • 최근의 여러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가 자선과 결부될 때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소비자 반응의 기저에 죄책감 감소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더 나아가 럭셔리 브랜드가 부정적인 경영활동을 통해 이윤을 취함을 소비자가 알때, 럭셔리 브랜드가 자선활동을 하거나 하지 않음에 따라 죄책감 감소의 영향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소비자의 구매의도도 상이하게 나타남을 보이고자 하였다. 2(자선활동 연계 여부) x 2(생산방식 지각: 부정 vs. 통제) 피험자 간 설계로 진행된 실험 결과, 럭셔리 브랜드의 자선 연계는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제품 생산방식이 부정적이라고 지각한 경우 그렇지 않을 때보다 구매의도가 낮았다. 그런데 자선 연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제품 생산방식의 지각에 의해 조절되었는데, 자선 연계가 되어있을 때의 지각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이 자선 연계가 없을 때의 지각의 차이가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선 연계 여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자선 연계 여부와 생산방식 지각의 상호작용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모두 죄책감 감소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 제품의 자선연계에 있어 소비자가 제품 생산 방식의 윤리성을 어떻게 지각하는 지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유형과 효과 -2019년 이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Art Collaboration Types and Effects of Luxury Fashion Brands -Focusing on the cases after 2019-)

  • 왕일호;김현주;윤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21-73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럭셔리 패션브랜드와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사례를 고찰하여 유형화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럭셔리 패션브랜드와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주요 사례를 통한 내용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사례 분석을 통한 도출로 다음의 2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는 제품 디자인을 위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이고, 두 번째 유형은 전시 작품을 위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이다. 유형에 따른 내용 분석은 브랜드와 아티스트 관점에서 각각 정리하였고 그로인한 협업 효과를 최종 도출하였다. 주요 효과는 디자인과 예술의 일체화, 사회·문화적 배경의 다양화, 표현의 혁신적 비전화이다. 본 연구는 예술 작품 접목을 통한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확장된 디자인 방법과 효과를 살펴보고, 향후 패션디자인과 아트 콜라보레이션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그 의의를 갖는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 이용 동기가 소비자 몰입, 즐거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sage motivation of luxury fashion brands' Instagram on flow,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 이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05-41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 이론 토대로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이용 동기를 분류하고 이용 동기에 따라 경험하게 되는 몰입 상태의 즐거움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이용 동기는 몰입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 정보적 동기, 유희적 동기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동기 중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가 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 이용 시 소비자의 몰입상태가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유발하여, 이는 구매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럭셔리 패션 브랜드 인스타그램 계정 이용자 특성인 연령대는 정보적 이용동기와 몰입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조절효과를 가졌고 유희적 이용동기와는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주요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되는 인스타그램 계정의 이용과 관련된 소비자 심리에 대한 실증적 결과를 얻었고, 이는 기존 관련 선행연구 흐름에 기여했다.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믹스가 고객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 20~40대 럭셔리 브랜드 제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Luxury Brand Marketing Mix on the Formation of Customer Equity - Focusing on Luxury Brand's Product Consumers in 20~40's -)

  • 황유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3-115
    • /
    • 2013
  • This study identifies how the luxury brand marketing mix affects customer equity drivers and suggests intangible equity management strategies so that companies can make long-term profits through luxury brands based on empirical studies of Korean luxury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the properties that use 8 key factors (product integrity, heritage, exclusivity, premium image, environment and consumption experience, premium price, luxury communication strategy, and brand signature). Second, it shows that product integrity and luxury communication strategy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customer equity drivers, that brand signa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value equity and brand equity, and that premium price has a negative effect on relation equity. It is important to provide products and services equipped with high quality and luxurious designs based on excellent craftsmanship in order to establish brand equity and value equity. Brand identity needs to be maintained and unique brand signatures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long history of luxury brands against a traditional backdrop. A diversified communication strategy improves brand recognition while playing a part in facilitating brand association and brand image. In order to improve relationship equity, actions such as a loyalty program to strengthen brand loyalty, need to be taken as well as measures to maintain and enhance customer trust through a reasonable price strategy.

해석주의 연구방법을 이용한 럭셔리의 개념 분석 -한국과 일본 소비자의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Luxury Using Interpretive Approach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 박진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0-213
    • /
    • 2009
  • 럭셔리 마켓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관련 기업 및 소비자, 정부, 학계의 관심은 날로 커져가고 있으나, 가장 기본이 되는 럭셔리의 개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최대의 럭셔리 마켓인 일본의 소비자와, 일본시장 다음의 타깃 마켓인 동시에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테스트 마켓인 한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해석주의 연구방법의 하나인 포토 에세이(photo essay)를 이용하여 럭셔리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포토 에세이 법을 이용함으로써 피험자는 소비 경험을 보다 명확히 설명할 수 있으며 자기구동에 의하여 럭셔리의 개념에 대해 보다 많은 반응을 보일 수 있으므로 이는 개념 연구에 유용한 방법이라 하겠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와 병행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토 에세이 조사의 연구 대상은 20 대부터 50 대의 한국과 일본 남녀 총 77 명으로, 2008 년 1 월 9 일부터 2 월 9 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또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2008 년 5 월에 실시되었으며, 인터뷰 대상자는 일본 게이오대학 학생 16 명이었다. 조사 결과, 럭셔리의 개념으로는 '디자인의 우수성, 고품질, 가치의 유지, 희소성, 자아실현, 명성, 높은 가격, 과시 욕구, 자기만족의 수단, 명확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등이 주요 항목으로 거론되었다.

  • PDF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활동이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uxury Brand Marketing Activities on the Formation of Customer-Based Brand Equity)

  • 황유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35-951
    • /
    • 2013
  • The recent entry and heated competition of numerous fashion brands in the luxury fashion market have all compelled luxury businesses to change. The issue of brand equity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areas for luxury marketing management. Despite strong interest in the subject, there is little evidence of how brand equity is created by marketing activities and what their effects are.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s of luxury marketing activities on the brand equity of luxury items, utilizing Keller's (2001) 'CBBE (Customer Based Brand Equity)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conceptual model for brand signature, heritage, premium price, controlled distribution, and promotion on customers' view on brand equity was tested. To test the hypothesized building paths of luxury brand equity,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an AMOS 7.0 program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were: First, luxury brand equity was defined in terms of four components (brand awareness/association, customer judgment, customer feeling, and customer-brand resonance). Second, the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partially significant. We can provide an effectiveness of Keller's CBBE model to conceptualize the building process of luxury brand equity; subsequently, marketers should develop core elements to position a brand strategy to create a competitive advantage.

스페셜 오더 상품과 모바일 SNS 홍보 전략이 브랜드 럭셔리 및 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cial Order Products and Mobile SNS Promotions on Perceived Brand Luxury and Brand Relationship)

  • 이계정;이은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1-420
    • /
    • 2017
  • With the increasing popularization of low-priced luxury markets, maintaining the genuine values of luxury has become crucial for luxury fashion brands to attract customers who want exclusivity and rarity. The world-leading luxury fashion houses have employed a variety of experiential marketing strategies like special order product strategies and mobile SNS promotion strategies, yet little research exists on there the strategies actually positively impact brand luxury images and customer attitudes towards the brand.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customer experience of special order products on perceived brand luxury and brand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study also tested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brand luxury, brand relationship, and brand loyalt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Korean female consumers who had purchase experiences of special order products from the brands. We analyzed the data of MTO-experienced respondents due to the lack of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custom-made product services. The result indicates the significant effect of experience of MTO on brand relationship; however, we found only a partial support for the effect of MTO on brand luxury. Likewise, we found a partial support for the effect of mobile SNS promotion strategies on perceived brand luxury versus full support for the effect on brand relationship.

럭셔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명품화가 고객의 웰빙 지각도, 호의적 평가, 정서적 몰입 및 헌신적인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 의식도의 조절 효과 (The Impact of Brand Prestige on Patrons' Perception of Well-Being, Favorable Inequity, Affective Commitment, and Dedicational Behaviors in Luxury Restaurants: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Consciousness)

  • 현성협;황진수;이상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38-45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럭셔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명품화가 고객의 웰빙 지각도, 호의적 평가, 감정적인 충성도, 그리고 헌신적인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마케팅 개념들간의 이론적 인과관계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11 개의 가설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고객들의 브랜드 의식도가 조절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론적 가설이 제시되었다. 도출된 이론적 가설들을 종합하여 구조 모델이 도출되었으며, 이 개념적 모텔은 527명의 미국 럭셔리 레스토랑 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수거된 데이터로 검증되었다. 데이터 분석에는 AMOS 6.0 버전이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 결과, 럭셔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명품화는 고객의 웰빙 지각도와 호의적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결국 두가지 헌신적 행위(enhancement와 advocacy)를 유도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 과정에서 고객들의 브랜드 의식도는 조절 효과로 작용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