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랜덤 워크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Time Series Properties and Predictive Ability Results of Annual Earnings (순이익의 기대모형 : 랜덤워크 모형의 타당성 재검증)

  • Bae, Gil-Soo;Joo, Sang-Yo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6 no.2
    • /
    • pp.243-261
    • /
    • 1999
  • 본 논문은 순이익의 시계열 속성을 조사하고, 순이익의 시계열이 랜덤워크 모형과 일치하는지를 단위근 검증방식을 사용하여 조사하며, 시계열 속성에 근거하여 도출된 예측모형과 흔히 사용되어 온 랜덤워크 모형의 예측능력을 비교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랜덤워크 모형에 실증적 타당성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의 데이터 베이스에 1980년부터 1996년까지 17년간 자료가 연속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금융기업을 제외한 모든 기업(272개)을 표본으로 사용하고 있다. 표본기업의 순이익 시계열에 가장 적합한 과정은 랜덤워크나 AR(1) 또는 AR(2) 모형이다. 또한 본 논문은 대부분의 기업에 때해 순이익이 랜덤워크 과정을 따른다는 가설을 기각할 수 없음을 보였다. 이들 상이한 모형의 표본외 예측력(out-of-sample predictive ability)을 비교한 결과 상수항을 포함한 랜덤워크 모형이 가장 작은 평균 절대 예측오차(mean absolute forecast error)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순이익 시계열의 불안정성(nonstationarity) 문제를 무시하거나 명시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은 것과는 달리 단위근 검증(unit root test)을 통해 연간 순이익이 대체로 불안정하다는 것을 보였으며, 또한 상이한 모형의 표본외 예측능력을 비교한 결과 선행연구에서 사용하여 온 랜덤워크 모형의 우월성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A sign test for random walk hypothesis based on slopes (기울기를 이용한 랜덤워크 부호검정)

  • Kim, Tae Yoon;Park, Cheolyong;Kim, Seul Gee;Kim, Chan Jin;Kim, Hyun;Yu, Ju Hyung;Jang, Kyung Min;Jang, Young Seo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2
    • /
    • pp.385-392
    • /
    • 2014
  • Random walk hypothesis is a hypothesis that explains theoretically the difficulty in forecasting in financial market. Various tests for the hypothesis have been developed so far but it is known that those tests suffer from low power and size distortion. In this article, a sign test based on slopes are suggest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 simulation study is conducted to compare this test to the often used Dickey and Fuller (1979) test.

Weekly Supervised Video Object Segmentation based on Multiple Random Walker (약한 지도 학습의 다중 랜덤워크 기반 동영상 객체 분할)

  • Heo, Minhyeok;Lim, Kyungsun;Kim, Han-Ul;Koh, Yeong Jun;Kim,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47-14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사용자 입력과 다중 랜덤 워크(multiple random walker) 기법을 기반으로 동영상 내의 주요 객체를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선 동영상의 첫 프레임에서 점 형태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대략적인 객체와 배경의 위치를 얻고, Lab 색상의 측지거리를 이용하여 객체와 배경의 중요도 지도를 얻는다. 다음으로 영상을 슈퍼 픽셀 단위로 분할하고, 다중 랜덤 워크 기법을 적용하여 객체 분할을 수행한다. 랜덤 워크 기법 적용 시, 중요도 지도를 각 랜덤 워커의 초기 분포로 설정하고, 노드간 색상과 움직임 차이를 이용하여 전이 행렬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결과를 정련한 뒤, 다음 프레임으로 분할 결과를 전파하여 시간적 일관성을 유지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하여 우수한 객체 분할 성능을 보임을 확인한다.

  • PDF

Fast Random Walk with Restart over a Signed Graph (부호 그래프에서의 빠른 랜덤워크 기법)

  • Myung, Jaeseok;Shim, Junho;Suh, Bomil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2
    • /
    • pp.155-166
    • /
    • 2015
  • RWR (Random Walk with Restart) is frequently used by many graph-based ranking algorithms, but it does not consider a signed graph where edges may have negative weight values. In this paper, we apply the Balance Theory by F. Heider to RWR over a signed graph and propose a novel RWR, Balanced Random Walk (BRW). We apply the proposed technique into the domain of recommendation system, and show by experiments its effectiveness to filter out the items that users may dislike. In order to provide the reasonable performance of BRW in the domain, we modify the existing Top-k algorithm, BCA, and propose a new algorithm, Bicolor-BCA. The proposed algorithm yet requires employing a threshold. In the experiment, we show how threshold values affect both precision and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자이로 랜덤워크가 초기정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Yu, Gi-Jeong;Kim, Cheon-Jung;Kim, Hyeon-Seok;Park, He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459-462
    • /
    • 2006
  • 스트랩다운 관성항법장치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광학식 자이로인 링레이저 자이로(Ring Laser Gyro ; RLG)는 회전체가 없어 기존의 기계식 자이로가 가지고 있던 g-sensitive 오차가 발생하지 않지만 RLG 내부에 부착되어 링레이저를 반사시키는 기능을 하는 반사경의 산란에 의해 일정 크기의 작은 입력 각속도를 측정하지 못하는 lock-in이 발생한다. 이러한 lock-in을 제거하기 위해 정현파 진동을 RLG 몸체에 인가하며 이 진동에 의하여 자이로 출력에 랜덤워크 성분이 유발되어 RLG 성능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RLG 랜덤워크에 의한 관성항법장치의 초기정렬 기법에 따른 초기정렬 성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Fast Computation of All-pairs 2-step Radom Walk on Large Graphs (큰 그래프에서의 모든 쌍에 대한 빠른 2 단계 랜덤 워크 계산 방법)

  • Park, Sung-Chan;Lee, Sa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125-127
    • /
    • 2012
  • 현재 이종 그래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추천 및 검색 분야에서 이종 그래프를 활용하여 성능을 높이는 성과가 두드러진다. 이종 그래프는 다양한 정보를 갖고 있으며, 특히 2단계 랜덤 워크 확률은 여러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어떤 사용자가 많이 본 영화를 많이 본 사용자", "어떤 사용자의 이웃이 많이 구입한 상품" 등이 그예이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를 실시간에 계산하기는 어려우며, 미리 계산해두는 것도 시간이 많이 든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든 출발 노드-도착 노드 쌍에 대한 2단계 랜덤 워크를 빠르게 미리 계산하는 알고리듬을 제시한다. 동일한 이웃 노드를 다수 가진 두 노드에서 출발하는 랜덤 워크 확률 값은 서로 비슷하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이전 계산 결과를 활용하여 근접 노드 목록에 대한 임의 접근 횟수를 줄인다. 더불어 본 알고리듬과 관련된 현안을 몇 가지 소개한다.

Slotted ALOHA-based Random Access Protocol for Wireless-Powered Sensor Networks (무선전력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Slotted ALOHA 기반의 랜덤 접속 프로토콜)

  • Choi, Hy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603-606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lotted-ALOHA-based random access protocol and derive the optimal number of random slots that maximize channel throughput when multiple energy harvesting sensor devices perform random access in wireless-powered sensor networks (WPSN). Throughput numerical analysis, we prove that the throughput has a concavity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random slots and obtain the optimal number of slot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hroughput of the proposed slotted ALOHA-based random access protocol is maximize when the derived optimal number of slots is employed in the considered WPSN.

  • PDF

A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random walk hypothesis based on slopes (기울기를 이용한 랜덤워크 윌콕슨 부호순위검정)

  • Kim, Tae Yoon;Park, Cheolyong;Kim, Seul Gee;Kim, Min Seok;Lee, Woo Jung;Kwon, Yunji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6
    • /
    • pp.1499-1506
    • /
    • 2014
  • Random walk is used for describing random phenomenon in various areas but tests for random walk developed so far are known to suffer from size distortion and low power. Kim et al. (2014) proposed a sign test for unit root (${\rho}=1$) hypothesis based on slopes. This article proposes a Wilcoxon signed rank test based on slopes for unit root hypothesis, and compares it with the augmented Dickey-Fuller test and the sign test by a simulation study. Our results confirm that the nonparametric tests are better than ADF test for small samples like n = 30.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sign test is better than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that for 0 < ${\rho}$ < 1 (-1 < ${\rho}$ < 0), the nonparametric tests suffer from power loss (improvement) as normal error changes to double exponential error.

Anomaly Detection System of Worm Using Randomness Check (랜덤성을 이용한 알려지지 않은 신종 웜에 대한 탐지 기법)

  • Park, Hyun-Do;Lee, Hee-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133-135
    • /
    • 2005
  • 인터넷에서 일어나는 침해사고 중에서 웜에 의한 피해가 가장 심각하다. 2001 년 Code Red 웜의 출현과 2003 년 SQL Slammer 웜의 출현 이후로 웜에 감염된 이후에 행동 양상을 탐지하여 대응하는 것은 웜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웜에 의해서 감염이 되기 이전에 웜을 탐지하여 조기에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이미 알려져 있는 웜에 대한 행동양상을 이용한 웜의 탐지는 신종 웜의 출현 주기가 급격히 짧아지는 현실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현재까지 발생한 인터넷 웜은 감염시킬 대상을 선택함에 있어서 랜덤 생성기를 사용하였으며 향후 나타날 웜도 빠른 확산과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지 않기 위해 랜덤 스케닝 방식을 사용할 것이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의 연결들을 행렬로 표현하고, 이 행렬의 랭크(rank)값을 구하여 랜덤성 체크를 하는 방식으로, 웜으로 인한 트래픽에서 발생하는 랜덤성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에서 알려지지 않은 신종 웜을 탐지하도록 하므로, 웜에의한 확산을 조기 탐지할 수 있게 하고, 더불어 웜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