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락

Search Result 1,801,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Deadlock-free Routing of an ACV in Accelerated Motion (가감속을 고려한 교착없는 AGV 주행경로설정)

  • Choe, Ri;Park, Tae-Jin;Ryu, Kwang-Rye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1
    • /
    • pp.387-392
    • /
    • 2006
  • In the environment where AGVs(Automated Guided Vehicles) operate concurrently in limited space, collisions. deadlocks, and livelocks which have negative effect on the productivity of AGVs occure more frequently. The accelerated motion of an AGV is also the factor that make the AGV routing more difficult because the accelerated motion makes it difficult to estimate the vehicle's exact travel time. In this study, we propose methods of avoiding collisions, deadlocks, and livelocks using OAR(Occupancy Area Reservation) table, and selecting best route by estimating the travel time of an AGV in accelerated motion. A time-driven simulation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 PDF

Smart Door Lock Systems using encryption technology (암호화 기법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Lee, Sung-Won;Park, Seung-Min;Sim, Kwee-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7 no.1
    • /
    • pp.65-71
    • /
    • 2017
  • Since existing Internet of Things(IoT) is vulnerable, it may cause property damage due to the information leakage. Especially, the smart door lock system built on the IoT can cause more damage.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classify the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send an alarm message to the user's smartphone through Google Cloud Message (GCM). We made it possible to check the images in real time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control the door lock using the TCP / IP protocol. Also, we applied OTP-Based Matrix SEED algorithm to door lock system to improve security.

Safety Leader - 박형락 한국서부발전(주) 태안건설본부 본부장

  • Jeong, Tae-Yeong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9
    • /
    • pp.16-17
    • /
    • 2014
  • 충청남도 북서 단에 위치한 태안군. 이곳에는 현재 큰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바로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설비와 국내 최대 석탄 화력 발전기 2기가 동시에 건설되는 등 그야말로 에너지 클러스터로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사업을 진두지휘하고 있는 박형락 한국서부발전(주) 태안건설본부 본부장은 무엇보다 안전을 경영의 중심에 두고 있다. 대규모 국가기반 시설 건설현장인 만큼 그 어떤 가치보다 안전이 우선시 돼야 한다는 확고한 신념을 가진 것이다. 본지는 박형락 본부장을 만나 안전경영 철학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 봤다.

  • PDF

Airac: Static Analyzer for Automatic Verification of Array Index Ranges in C Programs (아이락: C 프로그램의 메모리 오류 정적 분석기)

  • Jung Yungbum;Kim Jaehwang;Shin Jaeho;Yi Kw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964-966
    • /
    • 2005
  • 아이락(Airac)은 C 프로그램의 버퍼오버런(buffer overrun)오류를 찾아주는 정적 프로그램 분석기(static program analyzer)이다. 아이락은 요약해석(abstract interpretation)의 틀 속에서 디자인되었다. 설계 및 구현 과정에서 프로그램 분석 분야에서 축적되어온 다양한 기술들을 적용하여 분석의 성능 및 정확도 향상을 이룩하였다. 아이락은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GNU 소프트웨어, 상용 소프트웨어등에 적용되어 오류를 찾아냈다.

  • PDF

무부하운전시의 철극동기기의 3상단락

  • 이면영
    • 전기의세계
    • /
    • v.10
    • /
    • pp.55-61
    • /
    • 1963
  • 본 논문에서 취급한 제동권선이 없는 철극선의 3상단락현상을 해명하는데 있어 우선 임의력율의 전류를 횡축분과 직축분으로 분리해서 취급하는 소위 Blonde의 2반작용법(two reaction method)를 썼고, 각종 Reactance를 표시하는데는 편리한 단위법(perunit notation)을 사용했으며, 전기자의 1상저항은 각종 Reactance ( $X_{x}$, $X_{q}$ )의 어느것 보담도 극소치임으로 실제계산에는 무시했으나 과도전류의 변화를 좌우하는 감쇠정수[decrement factor)에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해석결과로서 3상단락전류의 초기치는 특수치보다 훨씬 큰 이유로서 단락전류가 계자자속을 약하게 만들어 그 반동으로 계자회로에 일정자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문적으로 개자전류가 증대함을 알게되었고, 단락전류의 직축분과 횡축분의 구성분이 규명검토되었고, 발전기의 돌발단락저류는 일반적으로 직류분, 기본파교류분 및 제2조파등을 포함하나 그 전부가 시정수의 역수인 감쇠정수에 지배되어서 지수함수곡선에 따라 감쇠되어 결국에는 지속단락전류에 귀착한다는 사실과 3상단락은 평형단락사고임으로 영상전류는 영이며 각상과도전류의 위상차가 120.deg.라는 것엔 변함이 없다는 것과 끝으로 철극기를 정격속도로 운전해 놓고 이것을 여자해서 무부하전압을 수기시켜 그의 3상전단자를 돌연 단락해서 그의 과도전류의 파형을 Oscillograph로 촬영하면 본론에서 해석한 결과식의 그것과 일치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것이다.

  • PDF

Design of Context-awareness Smart Digital DoorLock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오픈 소스 하드웨어 기반의 상황인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설계)

  • Lee, Se-Hoon;Lee, Byeong-Gi;Lee, Soon-Chan;Lee, De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오픈 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한 상황인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오픈 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상황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스템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인식하고,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가 문을 열려고 하는 행동 인식한다. 위 두 가지의 요건이 충족된다면, 사용자가 도어락에 별다른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출입이 가능하며, 이러한 인증 절차의 간소화로 인해 편리성은 증대 되고, 보안성도 보다 효과적이다.

  • PDF

Spinlock for Locking Individual Objects on Multicore (멀티코어에서 개별 객체 잠금을 위한 스핀락)

  • Kim, Sang Cheol;Ma, Yu-Seung;Woo, Duk-Kyun;Mah, Pyeongsoo;Kim, Se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202-203
    • /
    • 2015
  • 멀티코어 시스템에서는 서로 다른 코어들이 공통 데이터를 동시에 접근할 때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스핀락 기법을 사용한다. 전통적인 스핀락을 이용한 잠금 기법에서는 잠금 변수가 실행 도중 삭제되지 않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병렬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개별 객체 잠금을 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객체내에 잠금 변수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 경우 객체는 도중에 언제든지 삭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잠금을 하는 도중에는 잠금 변수가 절대 삭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멀티코어상에서 발생하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잠금 변수를 객체 내에 유지할 때의 개별적인 객체 잠금을 위한 스핀락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Door Lock for Robust Security (보안기능이 강화된 디지털 도어락 설계 및 구현)

  • Heo, Dong-Hyeok;Shin, Sang-Ho;Jung, Ki-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56-259
    • /
    • 2019
  • IoT 환경에서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관심과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의 사용 증가와 해킹 공격으로 인한 정보 유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보안 문제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통하여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고 편의성을 제공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oor Lock Control Program and Apps Using Face Authentication (얼굴 인증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프로그램과 앱)

  • Jang, Eun-Gyeon;Lee, Dong-Jun;Lee, Han-Bin;Kim, S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27-228
    • /
    • 2019
  • 본 프로젝트는 얼굴인식을 사용해서 인증하는 얼굴인증프로그램과 원격제어가 가능한 App이다.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 및 환경은 얼굴인식과 시리얼통신, Json통신 등이 있으며, usb 카메라와 Linux 환경이 필요하다. 현재 여러 종류의 도어락이 있지만 취약한 점들이 많다. 취약점을 보완하여 더 좋은 도어락을 만들기 위해 생체인식 기술을과 2중 보완을 위해 App을 활용했다.

  • PDF

System Design for Access to Subway Vent based Bluetooth Smart Door-Lock (지하철 환기구 출입관리를 위한 블루투스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Kim, Tae-Yong;Lee, Dae-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63-65
    • /
    • 2016
  • In this paper, smart door-lock system to access public facilities will be proposed. An existed door-lock system using physical door-lock, NFC Tag, and RFID could be replaced by our proposed system. Automatic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with security authentication module enables the worker to access public facilities efficie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