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라이프디자인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Health Management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 신윤찬;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77-91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해외 연구를 통해 효과가 확인된 라이프스타일 리디자인 프로그램(Lifestyle redesign program)을 기반으로 한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 프로그램을 그룹회기 12회, 개인회기 1회로 총 7주에 걸쳐 제공받았다.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작업균형, 시간사용, 활동참여 수준, 활동 수행도 및 만족도, 우울,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프로그램 전, 후로 진행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후기평가 시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여 참가자들이 생각하는 주관적인 프로그램의 타당성, 필요성, 효과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 초기평가와 후기평가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작업균형(p=.012)과 하위영역인 건강(p=.017), 관계(p=.012), 도전 및 흥미(p=.012), 자아정체성(p=.012)에 대한 작업균형 그리고 활동참여수준(p=.008), 활동 수행도(p=.012) 및 만족도(p=.008), 전반적인 건강관련 삶의 질(p=.034) 및 하위영역 중 신체적 건강(p=.041)이 향상되었으며, 여가(p=.008)와 휴식(p=.008)에 대한 시간사용에 변화가 있었고, 마지막으로 우울(p=.012)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결과 참가자들이 생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 타당성, 필요성, 효과성 모두 적절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작업기반 라이프스타일 중재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노인에게 충분히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재법으로 사료된다.

자동차 메이커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 (Improvement of the Brand Image for Automakers By Design Identity)

  • 이호숭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161-170
    • /
    • 1999
  • 근래 소비자의 제품 선택은 단순한 소득 계층별이 아니라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서 변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수요의 다양화, 상품의 다품종화가 모든 산업에서 전개되고 있다. 즉 기업은 다양화, 다품종화 속에서 얼마나 생산성을 실현하느냐에 따라 미래 기업의 운명이 좌우되는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제품개발에 있어서 상품성이 높은 제품개발에는 개발 과정에서의 표적시장 명확화가 불가결하다는 점에 인식에서 출발, 메이커만의 독자적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고, 그에 따른 브랜드 역할과 가치에 대해 자동차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이러한 브랜드 고유의 일관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정립, 적용함으로서 상징성이나 감성적 성향이 점차 강조되어 가고 있는 제품속성에 대응, 고객이 만족하는 기대수준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려는 데 의미가 있다.

  • PDF

뉴 실버세대를 위한 노인의료주거단지계획의 기본프레임워크 연구 (Research on Basic Framework of Elderly Medical Residential Area for New Silver Age Group)

  • 강정란;김경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38
    • /
    • 2014
  • 노인은 대부분의 활동을 주거 공간 중심으로 보내게 되므로, 노화에 따른 만성적 지병과 신체활동의 기능저하로 말미암아 주거와 의료 서비스의 결합은 노인의 생활에 있어서 핵심적인 요소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주거와 의료서비스를 결합한 노인의료주거단지에 있어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주거생활공간에 대한 연구와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참여와 공동창작으로 이루어지는 유니버설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를 본 연구에 도입함으로써 주체적이고 활동적인 서비스의 소비자로서의 노인에 대한 적극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 PDF

생체 신호 측정기술에 기반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Clothing for Healthcare Based on Sensing Technology of Vital Signs)

  • 조현이;이주현;이충근;이명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27-232
    • /
    • 2006
  •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pc 를 분산, 부착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연구로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1990 년대 후반 이후 착용자 감성을 고려해 더욱 편안하며, 의복과 유사한 외관을 디자인 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스포츠, 의료 분야에 적용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생체신호 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의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고령화 사회의 예상으로 인해 건강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최근 트렌드를 볼 때, 건강 관리용의 스마트 의류의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생체신호 뿐 아니라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개념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의복의 형태와 착용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복 착장 시 생체 신호를 전송,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의복은 심전도, 체온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전도, 호흡량,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기 위치 선정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착용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지침' 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착장 시 기기로 인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기기의 하중을 최소화 하였다. 의복의 디자인은 센서의 안정된 부착과 활동성, 센서의 정확한 측정을 고려하여 표피의 면적 변화를 고찰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노인, 건강 이상자, 통원 치료자에게 평상시의 건강을 체크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치료의 가능으로 의료 복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을 통하여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플라스틱 소재로 본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콘텐츠 (Plastic Material for Interior Product Design)

  • 김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82-192
    • /
    • 2007
  • 본 연구는 인테리어 표현 요소로서 활용된 플라스틱 재료의 특성을 분석하고 인테리어 환경에서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디자인 사례와 제품디자인의 콘텐츠 및 조형적 특성을 분석 고찰한다. 플라스틱을 이용한 디자인제품의 개발 가능성과 국내 디자인계에서의 플라스틱을 활용한 신소재 제품개발의 대안을 모색한다. 대체 재료로서의 플라스틱의 장점과 성형이 용이함으로 해서 도출되는 형태 표현력과 조형성, 투명성으로 인한 조명 및 채광효과의 극대화, 착색이 용이한 플라스틱의 색상 표현력을 중심으로 실내공간에서 활용되는 제품디자인의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플라스틱 제품이 세계적으로 선호되어 진 이유를 살펴보고 시대적으로 변화된 사회 환경과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소재로 부각되어 진 플라스틱의 물성을 고찰하며 플라스틱 소재가 지닌 조형적 특성과 디자이너들이 소재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발전시킨 과정을 제품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을 고려한 소형가구의 공간디자인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Space Design of Small - Households Considering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 박성수;안세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64
    • /
    • 2018
  • 1980년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가구의 형태는 핵가족의 형태였으나 2010년을 기점으로 1,2인 가구가 핵가족의 비중을 넘어서 우리나라는 소형가구(Small-Households) 시대를 맞이하였다. 현재까지 확장적 개발 중심의 도시 개발로 인해 계속적으로 증가한 주거비용은 소형가구들의 주거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하는 요소로 작용 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도시에서의 소형가구들을 위한 주거 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선행 연구 사례와 지속 가능한 도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성의 3요소를 소형가구의 라이프 스타일 그리고 주거 공간과 연관 지어 공간 디자인 방안을 모색한다.

  • PDF

한국의 실버산업과 실버용품디자인의 현황 조사분석 (Research Analysis on the Present of Koreas Silver Industry and Silver Product Design)

  • 윤형건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1-160
    • /
    • 2003
  • 한국은 OECD국가중 노인의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앞으로의 노인인구 증가속도와 평균수명의 연장 기간을 볼 때 미래사회는 노인사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한국의 실버시장 규모도 급히 큰 규모로 성장할 것이다. 고령사회에 이미 들어선 선진국은 실버용품 디자인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의 연구는 이들 외국에 비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곧 다가올 고령사회에서의 한국 노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활용품디자인 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령화사회와 실버용품에 관한 내용을 문헌연구를 기본으로 연구하였고, 설문지를 이용한 심층면접조사방법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노인들은 실버산업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버용품 자체에 대해서는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을 하였다. 디자인 측면에서 노인들의 라이프 스타일 반영한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하고,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사용하기 편한 제품개발이 절실하며,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자포니즘으로서의 북유럽 소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ption of Nordic Design as Japonisme)

  • 황성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433-478
    • /
    • 2016
  • 이 논문은 국내에서 수년 전부터 유행하고 있는 북유럽디자인 소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소비문화의 흐름에서 일본의 역할을 조명하는 연구이다. 비서구 국가 중 유일하게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대열에 합류했고 1980년대에는 미국과 경제력을 다투었던 일본이었지만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평가는 낮았다. 그런 일본이 1990년대 들어 대중문화상품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어필하다가 대중문화 상품의 인기가 가라앉은 후에는 만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오타쿠계 서브컬쳐로 글로벌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1990년대부터 부상한 일본 문화의 영향력을 새로운 자포니즘으로 보고 한국의 북유럽 소비가 자포니즘의 매개와 주도 하에 진행되어 왔음을 제시한다. 일본이 구성한 북유럽에 대한 의미와 상징이 한국의 북유럽 소비에서 관철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의미와 스타일의 측면에서 일본의 슬로무비는 북유럽디자인에 미국발 '킨포크' 코드를 결합시켰다.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아르누보를 매개로 일본 미학은 북유럽디자인과 시각적 유사성을 얻을 수 있었고 일본 가와이이 자카소품을 통해 북유럽디자인과 시각적 친숙함도 확보했다. 무엇보다 일본 잡화브랜드들이 출시한 북유럽풍 생활소품들을 통해 일상 속으로 북유럽디자인이 스며들었다. 또한 국내의 북유럽 소비는 일본 오타쿠들이 서브컬쳐를 포스트모던하게 소비하는 방식인 데이터베이스 소비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본이 만들어낸 북유럽에 대한 모에 요소가 한국에서도 북유럽 소비의 기호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뉴시니어 라이프스타일과 의복구매기준이 아웃도어 의류제품 디자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ew Seniors' Lifestyle and Apparel Purchase Criteria on Design Preference of Outdoor Apparel Products)

  • 지경하;김한나
    • 패션비즈니스
    • /
    • 제21권4호
    • /
    • pp.73-89
    • /
    • 2017
  •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apparel market for new seniors. To achieve this goal, influence of new seniors' lifestyle and apparel purchase criteria of design preferences of outdoor apparel products were investigated. An online-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ifties who have bought outdoor apparel within one year. The collected data were carried out for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2.0. Results showed that new seniors' lifestyles were composed of appearance-orientation, well-being diet, well-being exercise, self-development, and challenge-orientation. Purchase criteria of outdoor apparels were factored out as practical, aesthetic, and social. Appearance -orientation and self-development affect aesthetic and social factors. Well-being diet influences all factors of purchase criteria. Challenge -orientation has effect only on social factor. Women favored round-and V-neckline more than men did as well as preferred half and 3/4 long for sleeve. Customers who value practical purchase criteria preferred half-sleeve, zipper, and button-closure designs. In contrast, customers who have aesthetic purchase criteria like round/V-neckline and cap sleeve. Social factor affected high neckline and vivid-tone color preference significantly. As outdoor design for new senior it is critical to introduce differentiation of outdoor brand with various designs combining functionalities of outdoor activities and style looking young and dandy, which is highlighted as trendy and casual, over current outdoor apparels' unified design.

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레저활동에 따른 아웃도어웨어 구매행동 (Effect of lifestyle and leisure activities of female consumers on their outdoor wear buying behavior)

  • 안지숙;정재철;박명자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4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femal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f outdoor wear based on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tyle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SPSSWIN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utdoor wear consumers depending on life style types. Second, outdoor wear purchasing behavior by lifestyle type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ifestyle types and the extent of interest in outdoor wear. Consumers valuing private leisure time are more engaged in searching for commercial inform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the standard for selecting products, functional materials, colors, and comfort depending on life style type.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outdoor wear consumers based on the extent of leisure activity.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leisure activity and interest in outdoor clothe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life style of female consumers and the extent of leisure activit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urchasing behavior. Hence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by the outdoor wear industry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female consumers and plan and establish a suitable marketing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