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라이선스 다양화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Logistic Regression Model on the copyright licence diversification through interindividual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개인간 디지털콘텐츠 유통상의 라이선스 다양화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모형)

  • Suh, Hye-S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2
    • /
    • pp.27-33
    • /
    • 2016
  • I would like to analyze the customers accommodation availability of the provisional 'smart board,' having specific mode and style, as a circulation platform of digital contents with using a statistic model in order to find a way and means to activate legal circulation of convergence individual products. The smart board means a circulation platform for both users' convenience and copyright protection, by being conveniently able to upload personal convergence digital contents or apply various licence to the uploaded cont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Under these premises of the smart board, this paper is going to focus on verifying to find out which factors, such as users' profile attributes, contents using behaviors, awareness of licence and etc,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using the smart board of general users by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earch Analysis on User's Acceptability of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among Individuals (개인 간 저작물 유통을 위한 사용자의 수용성 조사 분석)

  • Sohn, Bang Yong;Suh, Hye S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
    • /
    • pp.211-217
    • /
    • 2016
  • There have been gradually established paid using system on contents, such as sound source, webtoon etc, with which licences are systematically managed. However, rampant free sites still mostly relying on advertising revenue make difficulties on lots of contents developers and obstruct the protection of their resonable right. In this situation, we need systematic measures to protect copyright of authors and to maximize use of contents of us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ndle the convenience of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and the diversity of contents license(differentiating permission rate according to user's purpose, scope, service period etc), based on the need of contents users. This paper implies to guideline to install contents distribution platform of individuals and to apprehend the need and acceptability of users in order to activate digital contents transaction on individuals.

A Study of Directorial Ways to Licensed Musical -Focused on Korean Production in 2009- (라이선스 뮤지컬 연출방법 연구 -2009년 <드림걸즈> 한국 프로덕션을 중심으로-)

  • Cho, Joon Hui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25
    • /
    • pp.211-251
    • /
    • 2012
  • I attempted to study the resolution of how I can show the essence of an original musical production to audience, the possibilities of how recreate impossible elements according to Korean musical environment because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and verify the meaning of adjusting an original production to Korean one through directorial approaches to licensed musical production. I mainly exemplified 2009 Korean production (Charlotte Theatre, March ~ August, 2009) that I directed. The purpose that I wanted to analyze the case of Korean production mainly is able to prove a wide variety of possible challenges rather than simply licensed ones because the former was recreated in 30 years after the first original production. Recreation and coaching to acting through fine and precise analysis of an original production, Koreanizing Western culture of the licensed musical, resolving the problem of linguistic nuances are the important ways to direct licensed musical. For licensed musical director, cooperation with original creative team and Korean production company must be the most important job.

CMS system using web contents certification code (웹 콘텐츠 인증코드를 이용한 CMS 시스템)

  • Cho, Young-Bok;Choi, Jae-Min;Lee, Young-Jin;Sun, Ning;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d
    • /
    • pp.18-21
    • /
    • 2007
  • 콘텐츠의 다양화로 인해 콘텐츠의 관리를 위해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가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현재 CMS들은 단지 소속회원들을 기반으로 DRM기술을 적용하여 콘텐츠 저작권을 보호하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의 글로벌 사용이 제한되고 상호운용이 불가능하고 콘텐츠의 원천적 저작권보호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저작권 보호를 위하여 공개키 기반의 라이선스관리 모듈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콘텐트 암호화하는 패키저 모듈, 암호화된 콘텐트를 복호화하는 언 패키저 모듈, 콘텐트 공유서버 및 클라이언트 모듈을 설계하였다. 이기종간의 CMS는 트랜젝션 서버를 통해 통합 메타데이터를 공유하며 통합 CMS를 운영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다양한 CMS에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제안하였으며 웹 콘텐츠 인증코드를 이용한 DRM 기술을 기반으로 콘텐츠 사용 제한 및 저작권 보호를 지원한다.

  • PDF

A License Aware Open Architecture for Broadcast Contents Services (라이선스 관리 측면을 고려한 방송콘텐츠 서비스 개방형 아키텍처)

  • Jung, Byung-Hee;Kim, Hee-Jung;Park, Sung-C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152-155
    • /
    • 2010
  • IP기반 미디어 서비스는 대규모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 규모에 따른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방송사에서는 중요 서비스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사용자의 지속적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방송사는 보유하고 있는 관련 시스템들을 항시 새로운 서비스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IP기반 미디어 서비스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화된 방송콘텐츠 서비스 개방형 아키텍처 (OASIS: Open Architecture for Systematic IP-based Services)를 제안한다. 'OASIS'는 제작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콘텐츠(예. 에센스와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서비스에 맞게 수집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유연한 아키텍처이다. 더불어 OASIS는 방송콘텐츠 저작권 확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저작권이 확보된 콘텐츠를 서비스할 수 있다. 제안하는 아키텍처는 시스템들 간에 콘텐츠를 교환할 때 표준화된 메타데이터와 ID를 사용하여 교환하게 함으로써 서비스 할 콘텐츠를 자동으로 시스템화하여 수집할 수 있다. KBS는 2년간의 작업을 거쳐 방송콘텐츠를 공유하는 데 필요한 메타데이터와 ID의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자동화된 수집 체계를 고안하였다. 다양한 서비스에 유연하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측면으로는 open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서비스의 요구에 맞는 콘텐츠 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라이선스 관리 측면으로는 방송 콘텐츠 제작 시 수집할 수 있는 계약 정보 및 서비스 유통 가능 범위를 체계화함으로써, 제작 시에 저작권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콘텐츠와 연동하여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G Virtual Platform Infrastructure System for Large-Scale Users (대규모 사용자 지원을 위한 빅 가상 플랫폼 인프라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Sun-Wook;Oh, Soo-Cheol;Jo, Jeong-Hyun;Kim, Seong-Woon;Kim, Hak-Yeong;Jang, De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26-29
    • /
    • 2014
  •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사용자는 데스크탑이나 다양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할당 받은 계정으로 인증하고 로그인하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용 가상화 PC 또는 업무용 가상화 PC 를 자신만의 가상 데스크탑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라이선스 및 구축 비용, 서비스의 최적화와 같은 사항을 만족시키는 대규모 플랫폼 가상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인프라 상에서 가상 플랫폼을 대규모의 모바일 및 경량 단말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끊김없이 전송하는 빅 가상 플랫폼 인프라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Development of virtio Network Driver for RTEMS Open-Source Operating System (RTEMS 오픈소스 운영체제를 위한 virtio 네트워크 드라이버 개발)

  • Kim, Jin-Hyun;Jin, Hyun-Wook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3 no.4
    • /
    • pp.262-267
    • /
    • 2017
  • RTEMS is a real-time operating system using a GPLv2-based license, and is used in the aerospace industry, such as satellites. It is difficult to build a development environment for these special-purpose systems because of problems related to the hardware platform. This can be resolved by applying virtualization technology. However, increased execution time and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virtualization overhead can change timing behavior of real-time application, and needs to be minimized. In this paper, we aim to implement the network device driver of RTEMS for the standardized virtual network device called virtio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RTEMS in a virtualized environment. In addition, we describe the process of submitting implemented driver to the RTEMS community for contributing open source software and reflecting the various requirements of the community.

클라우드 컴퓨팅의 안전한 이용과 활성화를 위한 법적 과제

  • Yi, Chang-Beom
    • Review of KIISC
    • /
    • v.20 no.2
    • /
    • pp.32-43
    • /
    • 2010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 기업들이 서비스의 가용성 및 데이터 보안, 자사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 확보, 종속성 등의 문제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이용을 꺼리고 있다. 이 같은 문제들은 기술개발, 표준화, 표준약관, 서비스수준협약(SLA) 등으로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데이터가 여러 국가에 복제되어 분산 저장될 경우 데이터의 국외이전 금지 문제, 데이터의 보관 및 파기 의무, IT 컴플라이언스 수탁자의 불법행위에 대한 위탁자의 책임, 자신의 데이터센터에 저장된 불법정보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제공자의 책임범위, 클라우드 서비스제공자의 책임제한 등 현행법상의 법적 규제와 충돌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법. 제도적 접근과 검토가 필요하다.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촉진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이 법 제도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1) 클라우드 서비스나 솔루션을 시험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구축 등 시범사업 근거 마련, (2) 분야별 특화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정부시책 추진 및 지원 근거 마련, (3) 민 관의 포괄적 협력 기반조성 및 정부의 기술 개발연구 지원체계 마련, (4) 사전 인증 및 사후 보증체계 구축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성 및 안정성 제고, (5) 클라우드 서비스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6)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보보안, 개인정보보호 등 각종 법률 이슈와 예상되는 다양한 이해관계 충돌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제공자와 이용자 대상의 지침 근거 마련, (7) 클라우드 속에 있는 기업의 정보지산에 대한 접근권 보장, (8) 정보자산의 실제 위치와 선택권 보장, (9) 정보자산의 부적절한 접근 방지와 오남용 방지, (10)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기업 또는 서비스 자체의 영속성 보장, (11) 서비스 장애 책임범위와 분담, (12)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등에 대한 규정이 고려되어야 한다.

Blockchain-based Important Information Management Techniques for IoT Environment (IoT 환경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중요 정보 관리 기법)

  • Yoon-Su Jeong
    •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
    • v.3 no.1
    • /
    • pp.30-36
    • /
    • 2024
  • Recently, the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has been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is constantly evolving in the process of automation and digitization. However, in the network where IoT devices are built, research on IoT critical information-related data shar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data integrity among intermediate nodes is still being actively studi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blockchain-based IoT critical information management technique that is easy to implement without burdening the intermediate node in the network environment where IoT is built. The proposed technique allocates a random value of a random size to the IoT critical information arriving at the intermediate node and manages it to become a decentralized P2P blockchain. In addition, the proposed technique makes it easier to manage IoT critical data by creating licenses such as time limit and device limitation according to the weight condition of IoT critical inform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proposed techniques have improved delay time and processing time by 7.6% and 10.1% on average compared to existing techniques.

Translation of 3D CAD Data to X3D Dataset Maintaining the Product Structure (3차원 CAD 데이터의 제품구조를 포함하는 X3D 기반 데이터로의 변환 기법)

  • Cho, Gui-Mok;Hwang, Jin-Sang;Kim, Young-Kuk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8A no.3
    • /
    • pp.81-92
    • /
    • 2011
  • There has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apply 3D CAD data created in the design stage of product life cycle to various applications of the other stages in related industries. But, 3D CAD data requires a large amount of computing resources for data processing, and it is not suitable for post applications such as distributed collaboration, marketing tool, or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 because of the design information security problem and the license cost. Therefore, various lightweight visualization formats and application systems have been suggest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However, most of these lightweight formats are dependent on the companies or organizations which suggested them and cannot be shar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product structure information is not represented along with the product geometric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define a dataset called prod-X3D(Enhanced X3D Dataset for Web-based Visualization of 3D CAD Product Model)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graphic format, X3D, which can represent the structure information as well as the geometry information of a product, and propose a translation method from 3D CAD data to an prod-X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