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띠 형성

Search Result 33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hear band Formation in an Elasto-Plastic Orthotropic Material Under Plane Stress Deformation (평면 응력상태에서 이등방성탄-소성 재료의 전단띠 형성)

  • 임세영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2
    • /
    • pp.128-138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전단띠형성에 있어서 전단변형의 집중화 현상을 이방성 탄소성 재료 에 대해서 해석하였고 소성스핀과 비등방성이 전단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평 면응력 상태에서 소성스핀을 갖고있는 이방성 탄-소성 재료에 대해서 재료 분랑ㄴ정 해서 을 수행하여 변형률 집중화의 시작에 미치는 소성스핀과 비등방성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해 석 결과 이방성 재료에서의 전단띠 형성은 압축 또는 인장의 하중 형태나 이방성 축의 초기 각도 그리고 소성스핀의크기에 따라 그 시작이 촉진되거나 지연되었고 전단띠 생성의 방향 도 달라졌다.

  • PDF

Simulation of the Stripe type CNT Field Emitter Triod Structure (띠 모양의 에미터를 가지는 탄소나노튜브 삼전극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소자의 시뮬레이션)

  • Ryu, Seong-Ryong;Lee, Tae-Dong;Kim, Yong-Gil;Byun, Chang-Woo;Park, J.W.;Ko, S.W.;Chun, H.T.;Ko, N.J.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1a
    • /
    • pp.510-513
    • /
    • 2002
  • 띠모양의 에미터와 에미터와 정렬된 띠모양의 케이트 구멍을 가진 탄소나노튜브(CNT) 삼극 구조에 대하여 전계방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전자방출은 주로 가장자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에미터와 게이트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면 급격히 증가하였다. 전자방출 특성도 상당히 우수하였다. 한쪽 가장자리만을 사용한 삼극구조의 경우에는 방출된 전자의 궤적이 좁은 띠모양으로 형성되어 방향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띠모양의 에미터 및 게이트로 이어진 삼극구조는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할 때 정렬이 쉬운 장점이 있다.

  • PDF

Design of Kernels Based on DNA Computing for Concept Learning (개념학습을 위한 DNA 컴퓨팅 기반 커널의 설계)

  • Noh, Yung-Kyun;Kim, Cheong-Tag;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177-181
    • /
    • 2005
  • 기계학습에서 커널을 이용한 방법은 그 응용범위가 기계학습의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그 성능 또한 기존의 방법들을 앞지르고 있다. 이는 기존의 비선형적 접근을 커널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에서의 선형적 접근법으로 바꿈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많은 커널들이 존재하며 각 커널들은 특별한 분야에 적용되기 쉽도록 다른 형태를 띠고 있기도 하지만, 커널로서 작용하기 위해 양한정 조건(positive definiteness)을 만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DNA 문제에 직접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새로운 커널을 제시한다. 또한 매트로폴리스(Metropoli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DNA의 hybridization과정을 모사함으로써 새로운 종류의 커널이 양한정(positive definite)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새로 만들어진 커널이 행렬값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면 인간이 예(instance)로부터 개념을 형성해 나가는 과정과 흡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념을 나타내는 좋은 예로서의 표본(prototype)으로부터 개념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은 표본(prototype)이 아닌 예로부터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과 다른 양상을 띠는 것과 같은 모양을 보인다.

  • PDF

형태변환형 투명 전극에 적용 가능한 그래핀-ITO 적층 필름 형성 및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Jang-A;Kulkarni, Atul;Hwang, Tae-Hyeon;Kim, Ta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199-199
    • /
    • 2012
  • 최근 그래핀의 대면적 합성 및 롤투롤 전사 공정의 개발로 그래핀의 상용화가 가시화 되고 있다. 하지만, 그래핀의 독특한 특성인 선형적이고 밴드갭이 없는 에너지 띠 분포 때문에 반도체 소자로서의 직접적인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돌파구로써, 그래핀 복합체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 복합 적층 구조를 다룬다. 이는 디스플레이, 초고속 반도체 소자, 고성능 광전자소자 및 초고감도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그래핀의 실용화 가능성이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특히, 높은 가시광 투과도와 낮은 면저항으로 기존 투명 전극에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ITO (Indium Tin Oxide)를 그래핀으로 대체하는 것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래핀이 높은 전자이동도를 가지는 것에 비하여 비저항과 투과도 측면에 있어서는 ITO의 성능을 뛰어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TO가 가지는 취약점인 기판과의 약한 접착력, 높은 취성, 기판과의 열팽창률 차이 등의 공정상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래핀 복합 적층 필름은 플라스틱 기판 (PET) 위에 열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이용하여 합성한 그래핀을 전사하고, ITO 용액을 도포한 다음 다시 그래핀을 씌워 제작하여 샌드위치 구조(sandwich structure)를 형성하였다. 완성된 필름은 광학적, 전기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광학적 분석으로는 라만 분광을 이용한 그래핀 품질평가와 파장대에 따른 광 투과도, 그리고 반사도 측정을 하였으며, 전기적 특성은 면저항을 측정함으로써 분석한다. 결함이 적고, 대면적에 걸쳐 한 층을 이루어야 하는 고품질 그래핀의 요구사항에 따라 라만 분광의 G, 2D, D 띠를 분석하였다. G와 2D 띠의 비율을 통해 그래핀의 층 수를, D 띠의 강도를 통해 결함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또한, 가시광 영역에서 90% 이상의 광 투과도를 보여야 하는 투명 소자의 요구사항 달성 정도를 UV-VI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작한 필름의 면저항 또한 4-프로브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의 면저항인 $500{\Omega}/sq$를 만족하는지 평가하였다.

  • PDF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 soils in Korea (한국 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의 분포와 특성조사)

  • 김호산;박현우;이대원;유용만;김정일;강석권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4 no.4
    • /
    • pp.344-349
    • /
    • 1995
  • To isolate naturally occurring novel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for useful pest con시 agents, A total of 64 isolates of B. thuringiensis producing spore and crystal were obtained from 583 soil samples in Korea. Toxicity of isolates was assayed against Lepidoptera (Bombyx ori), Diptera (Culex pipens) and Coleoptera (Sitophilus oryza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B. thuringiensis isolates toxic Lepidoptera are 42.2% , both Lepidoptera and Diptera are 31.3% and Diptera are 20.3%, demonstrating that spectrum of insecticidal activity of B. thuringiensis isolates is various. But no B. thuringiensis isolates have toxicity against Coleoptera.

  • PDF

전환기의 한국경제와 방위산업

  • Park, U-Hui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155
    • /
    • pp.16-17
    • /
    • 1992
  • 이제 세계질서는 이념적 대립에서 벗어나 기술패권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과학기술을 국가의 기본정책으로 파악하는 기술국가주의를 낳고 있습니다. 이렇듯 새로이 형성되는 신군사기술질서에 어떻게대응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우리의 국가적 당면과제라 할수 있으며, 기술개발을 선도하는 방위산업은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의 일환으로 재조명되어야 하겠습니다

  • PDF

Characteristics of Rooting and Community Maintenance of Some Gramineae planted on Urban Stream Bank Slope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몇몇 벼과식물의 활착 및 군락유지 특성)

  • Yang, Hong-M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5
    • /
    • pp.42-59
    • /
    • 2017
  • To investigate rooting and community forming ability, sod strips of Gramineae such as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Retz.) Pilg., and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were planted horizontally at a width of 10~15cm in October 2010 on the bank slope of Kwangju Stream in Korea. Seeds of each species were sown in April 2010 in plastic seedbeds(60cm length ${\times}$ 30cm width ${\times}$ 5cm depth) filled with 4cm of garden soil and grew until October 2010 to form rectangular sod, which then was cut into multiple strips(20cm length ${\times}$ 6cm width ${\times}$ 4cm root depth). Weeds growing on the experiment sites were removed twice a year until those four species had formed a community by 2013. Weeds were not eradicated during 2014 and 2015 to observe whether the community formation can be maintained without weed removal. t-tests on stem numbers and heights in May, July, and September were conducted between 2013 and 2014, and between 2014 and 2015. Stem numbers and heights of the four species in 2014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01) compared with those in 2013 due to weed damage to their growth in 2014. Stem numbers and heights of Miscanthus sacchariflorus(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Retz.) Pilg. in 2015 were similar to those in 2014(p>0.05). Stem numbers and heights of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in 2015, however,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those in 2014(p<0.001) due to weed impact on its growth. After three years of weed removal, a community of each species was formed. Miscanthus sacchariflorus(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Retz.) Pilg. were able to establish communities without any further weed removal.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however, was not able to maintain its community due to considerable damage to its growth caused by weeds even after three years of weed removal. Miscanthus sacchariflorus(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Retz.) Pilg. are more suitable to sod strip plantings on stream bank slopes in terms of the maintenance of community formation without weed eradication. t-test on stem numbers and heights each September during the five year experiment period between sod strip planting and potted plants of the four species were conducted. Stem numbers of strip sod plantings were significantly higher(p<0.001) than those of potted one. Heights of strip sod plantings, however, were significantly lower(p<0.05) than those of the potted samples. Therefore, strip sod planting is more advantageous regarding bank slope erosion protection due to the higher number of stems.

고속파 전자가열을 시도한 KSTAR 토카막 원형 플라즈마에서의 ICRF 고주파 부하 저항

  • Wang, Seon-Jeong;Kim, Seon-Ho;Gwak,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97-297
    • /
    • 2010
  • KSTAR 토카막의 두번째 실험 캠페인 동안 고속파 전자가열 (FWEH)을 위한 ICRF 고주파입사 실험을 실시하였다. 토로이달 자기장은 2 T, 플라즈마 전류는 200-300 kA, 주반경은 1.8 m, 부반경은 0.5 m의 원형 플라즈마가 가열 대상이 되었으며, 네개의 ICRF 안테나 전류띠 가운데 중심부의 두개의 전류띠를 최대 300 kW로 구동하기 위한 운전 주파수는 44.2 MHz가 선택 되었다. 이 주파수는 플라즈마의 모든 영역에서 이온 사이클로트론 공명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플라즈마에 흡수되는 대부분의 출력은 전자에게 전달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낮은 고주파-플라즈마 결합으로 인하여 전송선의 최대 고주파 전압이 허용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최대 출력만이 허용 되었으나, ECE에 의해 관측된 전자의 온도는 국지적으로 최대 150 % 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낮은 고주파-플라즈마 결합의 첫번째 원인은 FWEH의 효율이 이온을 가열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플라즈마 내에 이온 사이클로트론 공명층이 형성되면 높은 효율로 고주파를 입사 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다른 원인은 D 형상의 플라즈마에 맞도록 만들어진 안테나와, 원형 플라즈마간의 부조화로 인하여 고속파 차단층이 (Fast Wave Cutt-off Layer) 평균적으로 넓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플라즈마 외곽에 반드시 존재하는 낮은 플라즈마 밀도의 고속파 차단층 내부에서, 중심부로 향하는 고주파의 진폭은 지수함수로 감쇠하므로 가능하면 플라즈마 밀도를 높여 차단층 자체의 폭을 줄이거나, 안테나 전류띠를 플라즈마에 바짝 접근시켜야만 한다. 고주파 진단 장치로는 송출기의 출력과 반사파 측정 장치, 공명루프의 전압 측정 장치가 있는데, 이것들을 이용하여 안테나에 전달되는 출력 및 고주파-플라즈마 결합 효율을 나타내는 플라즈마에 대한 고주파 부하 저항을 구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부하 저항의 최소값은 진공시 또는 ICRF만의 방전시의 값 0.25 Ohm 보다 큰 0.5 Ohm을 나타냈으며, 최대값은 플라즈마의 상태에 따라 1 Ohm에서 2 Ohm 사이에서 매우 빠르게 요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Mm 파 반사계의 측정에 의하면 플라즈마 언저리의 위치가 약 3 cm 정도의 크기로 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하 저항과 언저리 위치의 파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지만 유사한 경향성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플라즈마 언저리 위치의 제어를 통하여 가열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실험의 소개와 함께 부하 저항의 관점에서 가열 효율을 높일 방안을 토론하도록 한다.

  • PDF

진공증착법으로 제작한 $AgGaSe_2$ 박막의 구조 및 광학적 특성

  • Lee, Jeong-Ju;Yun, Eun-Jeong;Han, Dong-Heon;Park, Chang-Yeong;Lee, Jong-Deok;Kim, Ge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276-276
    • /
    • 2011
  • 진공증착법으로 ITO (indium-tin-oxide) 기판 위에 $AgGaSe_2$ 박막을 성장시켜 그 구조와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X-선 회절 분석에 의하여 살창상수는 a=5.97 ${\AA}$와 c=10.88 ${\AA}$이고, 황동광(chalcopyrite) 구조를 하고 있었으며, 그 성장 방향은 (112)방향으로 선택 성장됨을 알 수 있었다. 증착된 박막과 200~400$^{\circ}C$로 열처리한 박막의 실온에서 측정한 광학적인 에너지 띠 간격은 2.02 eV에서 2.28 eV까지 변하였다. 또한 열린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시료의 표면에 광 펄스를 주입하여 표면에서 형성된 전하들의 거동을 광유기 방전 특성(PIDC)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초기전위 V0로 형성된 시료의 양단을 주행하는 운반자 농도, 전류밀도 및 전기장 효과를 관찰하여 운반자의 주행시간, 이동도 그리고 전하운반자 농도를 계산한 결과는 각각 42 ${\mu}s$~81 ${\mu}s$, $1.9{\times}10^{-1}\;cm^2/Vs$~$5.7{\times}10^{-2}\;cm^2/Vs$ 그리고 약 $6.0{\times}10^{17}/cm^3$~$2.0{\times}10^{18}/cm^3$이었으며, p-형 전도를 나타내었다. 원자 힘 현미경 실험으로 제곱평균제곱근 거칠기와 입계크기를 조사하였으며, X-선 광전자 분광실험으로 원소들의 결합상태를 관찰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in Granary Dusts (저곡창고에서 분리된 Bacilus thuringiensis의 특성조사)

  • 김호산;박현우;이대원;유용만;유용만;강석권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34 no.3
    • /
    • pp.243-248
    • /
    • 1995
  • In order to isolate naturally occurring novel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s,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B. thuringiensis from granary which exist in Kyong-gi province, Korea. A total of 146 strains of B. thuringiensis producing spore and crystal wre isolated. The toxicity of B. thuringiensis isolates was examined against lepidopteran larvae (Bombyx mori), dipteran larvae (Culex pipiens) and coleopteran larvae (Sitophilus oryza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a large number of B. thuringiensis isolates from granary dusts were isolated and most isolates wer toxic to lepidopterous larvae. Also, non-toxic B. thuringiensis isolate was common. In order to isolate many B. thuringiensis, therefore, it suggested that granary is favorable loc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