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이미지 분석

Search Result 658,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원문이미지 정보시스템 비교분석

  • 백성규;최재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321-339
    • /
    • 1997
  • 인터넷의 활용과 컴퓨터 기술환경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는 디지털도서관의 등장을 가져오게 하였으며, 동시에 이미 온라인 서비스를 실시해오던 여러 분야의 정보센터들로 하여금 어떠한 유형의 데이터도 저장, 관리, 제공하며 정보라는 상품을 생산해 내는 정보시장(Information Marketplace)의 역할 자로서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80년대부터 진행되어온 도서관 서지자료의 Database화 작업과 병행하여 도서관 이용자에게 보다 광범위하고 효용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도서관의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기술하고, 디지털도서관의 주요 소장정보인 원문이미지정보의 처리기술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며, 현재국내에서 추진중인 원문이미지정보시스템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디지털도서관 구축시 비교분석 모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n RAW Image Format and its Application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s (휴대용 멀티미디어기기를 위한 RAW 이미지 포맷 분석 및 응용)

  • Park, Mi-Ran;Sin, So-Hee;Kim, Jae-Shin;Ro, Kwa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738-74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RAW 이미지 포맷 중 PEF, MRW에 대한 분석 결과와 RAWImage Viewer에 대해 소개한다. DSLR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되는 이미지 파일은 범용의 JPEG 포맷이나 제조사별 독자적인 RAW 이미지 포맷으로 저장된다. 이러한 RAW 이미지 파일을 PMP 등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나 디지털액자에서 재생 및 확인하기 위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RAW 이미지 포맷이 디지털 카메라 제조사별로 다르고, 해당 포맷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대부분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RAW 이미지 파일 재생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AW 이미지 파일 포맷을 분석하여 다양한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모든 RAW 이미지 파일을 지원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한 연구 결과 중 일부를 소개한다. Cannon의 CRW, CR2 포맷과 Nikon의 NEF 분석 결과에 이어 PEF, MRW에 대한 분석 결과와 RAW 이미지 출력 및 분석 기능이 포함된 RAWImage Viewer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 결과는 RAW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임베디드 장비 및 PC용 RAW 이미지 파일 재생 라이브러리를 구축 및 응용 프로그램 개발시 활용될 것이다.

  • PDF

Remediation of Digital Camera and Connection of Media (디지털 카메라의 재매개와 미디어의 연계)

  • Park, Seong-J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78-684
    • /
    • 2007
  • 미디어 융합과 포화의 문화에서 미디어의 전경과 미디어를 매개로한 문화는 과거와 다른 새롭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나의 미디어는 고립되어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미디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이용자 수준에서는 다양한 미디어들과 연계를 통해 새로운 경험과 문화를 형성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사진 이미지를 미디어와 미디어 이용의 차원에서 이론적으로 또 경험적으로 접근하고 설명하려는 한 시도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미디어로서 과거와 동시대의 다른 미디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미디어 및 관련기술들의 발달에 따른 영향을 주고받으며 더 나은 카메라로 개선되고 카메라 이상의 또 다른 미디어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용자 수준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생산된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미디어들의 연계를 통해 관리, 유포, 감상, 소비되면서 다양한 유형의 경험과 새로운 이미지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디지털 카메라 이용자들에 대한 미디어 이용 조사를 통해 하나의 미디어로서 디지털 카메라가 다른 미디어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용자 수준에서 디지털 사진을 매개로한 미디어 연계를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미디어 융합과 포화의 문화에서 미디어 변화와 미디어 연계의 한 사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Application of the Image in Post-Internet Art (포스트-인터넷 아트에서의 이미지 특징과 예술적 적용에 관한 연구)

  • Noh, A Young;Lee, Jung E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347-357
    • /
    • 2020
  •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nature of image which uses the network as the medium in the context of 'post-internet art' and categorize and analyze the cases of applications within art images. In the post-internet art which embraces the background of Web 2.0 and extended digital and network environment, image is transformed and re-mediated into various formats beyond fixed forms. Hito Steyerl defined the image, copied, downloaded, and reedited digitally in low quality as 'poor image.' Young artists,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capture and re-contextualize the changed network environment and depict it in various images. In this context, the application of image in post-internet art can be categorized and analyzed into the 'Image Collected as Material' produced by collecting and recomposing images found in social media, operating system, and website, 'Image Processed through Work' which is newly processed and re-contextualized by using editing programs, and 'Combined Digital-Reality Image' which represents the section of the digital society as the film and image that combine virtuality and reality.

Smartphon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for Sand Particle Size Analysis (모래 입도분석을 위한 스마트폰 디지털 이미지 처리 방법)

  • Ju-Yeong Hur;Se-Hyeon Ch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5 no.6
    • /
    • pp.164-172
    • /
    • 2023
  •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sand provides cruci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coastal erosion and sediment deposition. The commonly used sieve analysis for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is has limitations such as time-consuming processes and the inability to obtain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particle shapes and colors. In this study, we propose a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is method using smartphone digital images, which is simpler and more efficient than the sieve analysis method. During the image analysis process, we effectively detect particles from relatively low-resolution smartphone digital images by extracting particle boundaries through image gradient calculation. Using samples collected from four beaches in Gyeongsangbuk-do, we compare and validate the proposed boundary extraction image analysis method with the analysis method that does not extract boundaries, against sieve analysis results. The proposed method shows an average error rate of 8.21% at D50, exhibiting a 65% lower error compared to the method without boundary extraction. Therefore,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is using smartphone digital images is convenient, efficient, and demonstrated accuracy comparable to sieve analysis.

Identification Method of Geometric and Filtering Change Regions in Modified Digital Images (수정된 디지털 이미지에서 기하학적 변형 및 필터링 변형 영역을 식별하는 기법)

  • Hwang, Min-Gu;Cho, Byung-Joo;Har, Dong-Hwa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1
    • /
    • pp.1292-1304
    • /
    • 2012
  • Recently, digital images are extremely forged by editors or advertisers. Also, amateurs can modify images throughout easy editing programs. In this study, we propose identification and analytical methods for the modified images to figure out those problems. In modified image analysis, we classify two parts; a filtering change and a geometric change. Those changes have an algorithm based on interpolation so that we propose the algorithm which is able to analyze a trace on a modified area. With this algorithm, we implement a detection map of interpolation using minimum filter, laplacian algorithm, and maximum filter. We apply the proposed algorithm to modified image and are able to analyze its modified trace using the detection map.

Digital Image Processing in Analyzing the Signal Pattern of Rock-Inscribed Letter (디지털영상신호처리에 의한 금석문 음각문자 신호 패턴 분석)

  • Hwang, Ja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c
    • /
    • pp.758-761
    • /
    • 2003
  • 금석문의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형태로 검출하고, 영상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대상체는 비석에 음각된 문자로 하였다. 대전 주변의 백제권에서 몇몇 유형의 음각 문자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디지털 이미지화한 다음, 문자가 각인된 정보영역과 바탕영역의 신호패턴을 추출하였다. 먼저 칼라 이미지를 grey tone으로 변환한 후, 전처리 과정을 거쳐 이미지의 노이즈나 불명확성을 제거하고 히스토그램 전 영역에 걸쳐 스케일 확장시켰다. 문자가 각인된 정보영역과 바탕영역을 구분하여 무작위로 소이미지 샘플을 취득하고 각 소이미지의 신호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중첩의 원리를 이용하여 합성한 후 영역별 신호분석 패턴을 정형화하였다. 유형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나 두 영역의 이미지 분석 결과는 차별성을 보였다. 문자 영역은 grey level 범위가 좁고 한정되며 일관성을 보이는데 비해, 바탕영역은 범위가 넓고 광범위하였다. 두 영역의 교차 레벨 범위는 극히 제한적이었으며 패턴 분리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음이 밝혀졌다. 이 일련의 과정은 알고리즘화되어, 1-2분 정도의 사전 작업만 하면 프로그램에 의해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종래 무리한 탁본 작업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던 금석학 분야의 디지털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Rock Fragmentation Image Analysis with Aerial Photo by UAV (항공촬영(UAV) 기법을 이용한 발파암 파쇄도 이미지 분석)

  • Kang, Dae-woo;Hur, Wonho;Lee, Ha-young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5 no.1
    • /
    • pp.18-26
    • /
    • 2017
  • In Analysis of Fragmentation of rock blasted, The photo analysis method has been mainly used and these image acquisitions are mainly obtained by digital image from the front of the crushed rock. However, Image analysis is basically advantage of the image of planar shooting not front shooting but There is no way to take a photograph of huge plane rock slope. Thus, Unavoidably It is resolved by distorting or extending the image filmed at the front as well as adjusting it similar to its angle of plane shooting. Lately, With advancing unmanned aerial vehicle, It can simply image the fragment conditions of blasted rock of a high-definition digital image and Through it, It can acquire the most planar image to angle which accumulate cataclastic rock and also can make image analysis. In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olerance value of analysis result of image filmed flatly is markedly lower than the existing front filmed image.

Digital imaging of film-based cephalograms using a digital camera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필름 두부방사선사진의 디지털 이미지 전환)

  • Wang, Sung-Jin;Kim, Kyung-Ho;Choy, Kwang-Chu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4 no.5 s.106
    • /
    • pp.448-457
    • /
    • 2004
  • As computer Programs for cephalometric analysis were developed in diagnosis & treatment planning, digital imaging of film-based cephalograms came to be needed. When a digital camera is used, a problem encountered the image distortion produced according to the focal length, which causes errors in indentifying landmarks. In addition, changes in the image size and compression ratio will inevitably produce a low quality image, causing errors in identifying landmarks. Hence. we have found the focal length producing the least image distortion when digital imaging the film-based cephalograms and the minimal digital camera setting which helps to identify the correct landmarks using the COOLPIX4500 digital camera (Nikon, Japa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mage distortion was minimized at a focal length of 16.4mm (79.4mm when converted into a 35mm film camera) when digital imaging the film-based cephalograms. When wide imaging, with a focal length of under IS.4mm, barrel distortion was found and when tole imaging. with a focal length of over 15.4mm pincushion distortion was found. The minimal digital camera setting was $2272{\times}1704$ pixel at normal (1/8) compression from which we can identify the correct landmarks at the same level as tracing the film-based cephalograms manually. As a result. when digital imaging the film-based cephalograms, using a COOLPIX4500 digital camera (Nikon, Japan), the focal length should be 16.4mm the pixel image size over $2272{\times}1704$, and the compression ratio over normal (1/8).

Pattern Formalization Technique for Dynamic Analysis of the Medical Image Data (의료이미지 데이터의 동적 분석을 위한 패턴 정형화 기술)

  • Ko, Kwang-ma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3
    • /
    • pp.197-202
    • /
    • 2016
  • This paper suggested that medical image database construction technique that generated and recognized from variable medical device and professional medical experts for the formalization and pattern extraction from informal medical images. And then we transformed informal image characteristics to digital data, and generated the meaningful pattern matching informations. Through this experienced works, so many related researchers can easily access the medical images database and use this formalized image informations on the variable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