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아트

Search Result 19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f the Concept of Analogue-Digital Interaction Trace and its Application in Media Art ('아날로그-디지털 인터랙션 흔적'에 관한 개념 연구와 미디어 아트에의 응용)

  • Choi, Min-A;Kwon, Do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9
    • /
    • pp.76-84
    • /
    • 2011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rt environment concept, in which the user's interaction becomes visual arts in both digital and analogue media. It describes AD-Trace, an experimental media art component that investigates the aesthetic and technological possibil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media artworks that utilizes that the traces of the user's interaction. The AD-Trace consists of three design components: Analogue Trace, Digital Trace, and Interaction Metaphor to guide user interactions with user's understanding. Three artworks are proposed to demonstrate the real world applications of the concept: AD-PD(analogue digital picture diary), AD-Star (analogue digital star), and AD-Map (analogue digital map).

Expansion of Sensibility Area and Industrial Application in the Convergence Era - With Special Reference to Analysis of the Internet Arts of Sommerer and Mignonneau - (컨버전스시대 감성영역의 확장과 산업활용 -Sommerer와 Mignonneau의 인터넷 아트 분석을 중심으로-)

  • Kim, Hee-Young;Lee, Yong-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2
    • /
    • pp.146-154
    • /
    • 2010
  • Recently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have been keywords in many areas. Artists and engineers have begun to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collaboration based on new technologies. One of the exemplary technologies of this era of convergence is a technology of fusing five senses used by both Internet Art and industrial technologi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and the iPhone. Sommerer and Mignonneau's Internet Art $\ll$Riding the Net$\gg$,$\ll$The Living Room$\gg$, and $\ll$The Living Web$\gg$ implement the Internet and the five-sense fusion technology to translate not only sound into visual images but also tactile senses into tempo-spatial representations. Likewise, industrial technologi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and the iPhone employ the five-sense fusion technology of speech recognition, which leads to the expansion of the realm of senses in technology as seen in Internet Art. 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rt and technology through their convergence will open up a new dimension of digital art and culture technology industry.

Nonverbal Expressions in New Media Art -Case Studies about Facial Expressions and Sound (뉴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비언어적 표현 -표정과 소리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Yoo, Mi;An, Kyou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0
    • /
    • pp.146-156
    • /
    • 2019
  • New media art moves out of place and time constraints, sublimates the benefits of technology into art, and presents a new way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is paper analyses the tendency of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s by analysing examples of facial expressions and sound used in new media art from early tim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digital paradigm in the new media art has a nonlinear thinking, which makes a perceptual reduction of immersion and dispersion. The facial expression in new media art made it possible not only to overcome the limit of space and time of various expressions through 'visual distortions, enlargement, and virtualisation', but also to enable new ways of communication to display facial parts combined or separat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sound in new media art does not stay in auditory sense, but pursues multi-sensory and synesthesia by cooperating with visual and tactile, evolves by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space expansion and sensibility and interaction of audience.

Art Collaboration Types and Effects of Luxury Fashion Brands -Focusing on the cases after 2019-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유형과 효과 -2019년 이후의 사례를 중심으로-)

  • Wang, Yi-Hao;Kim, Hyun-Joo;Youn, Ji-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721-73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ategorize the cases of luxury fashion brands and art collaboration and find out their effects. The research method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uxury fashion brand and art collaboration and proceeded with content analysis through major ca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wo types through case analysis. The first is art collaboration for product design, and the second type is art collaboration for exhibition works.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ype was organized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s and artists, respectively, and the resulting collaboration effect was finally derived. The main effects are the integration of design and art, diversification of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innovative vision of expre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expanded design methods and effects of luxury fashion brands through grafting artworks and presenting basic data for future fashion art collaboration design research.

'디지털그래픽아트' 디자인, 인쇄, 출판 가이드북

  • Yun, Jae-Ho
    • 프린팅코리아
    • /
    • s.37
    • /
    • pp.78-79
    • /
    • 2005
  • 인쇄분야의 전문서적 및 인쇄교육을 위한 교재가 부족한 가운데 인쇄에 관심이 있거나 인쇄인이라면 한 번쯤은 꼭 봐야될 만한 전문서적을 최근 학계와 업계의 전문가들이 뜻을 보아 출간했다. 지난 6월 중순 출간된 '디지털그래픽아트(Digital Grapic Arts)'는 오세웅 교수(신구전문대학 인쇄과 학과장), 정호균 교수(동아방송대학 겸임교수), 신익재 사장(비지아이 대표)등 3인이 공동집필한 것으로 빛으로 이루어진 컬러가 인쇄물로 재현되는 과정을 비주얼 위주로 알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 PDF

A Research of Smart Picture Concept design (Smart Picture 콘셉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 Kang, Dong-Kyun;Jhang, Jung-Jin;Roh, Jung-Hwa;Jeung, Ji-Hong;Pan, Yo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84-988
    • /
    • 2009
  • LCD를 이용해 화면상에 다양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지털액자는 디지털 카메라 사용의 대중화에 따라 지속적인 매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액자는 디지털 사진을 볼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LCD)로 된 제품으로써 현재는 디스플레이 시장 및 디지털 액자시장 성장, 디지털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을 지원하고, 음악을 재생하는가 하면 네트워크 기술까지 탑재한 다기능 디바이스(device)로 탈바꿈되고 있어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액자의 사용목적 및 기능에 따른 디지털 액자 형태의 세분화와 디자인 콘셉트는 더욱 다양화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디지털 액자와 차별화 된 스마트픽쳐(Smart Picture)라는 제품 개발 콘셉트(Concept)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픽쳐(Smart Picture)라 함은 기존 디지털액자에서의 사진 및 동영상 보여주기 기능이외에도 전용화된 아트웍 (Artwork)형태의 전용화된 콘텐츠와 차별화된 형태와 재질을 가진 디지털액자를 뜻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픽쳐(Smart Picture)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의 일환으로 제품 개발을 위한 콘셉트 디자인(Concept Design)연구를 목적으로 현재 시판되는 다양한 디지털액자와 관련된 사례분석과 디스플레이(Display)가 활용되는 분야 및 사용 콘텐츠(Contents) 사례 연구 조사, 디스플레이 활용분야, 미디어 작품 사례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 및 아이디어 방향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향을 바탕으로 스마트픽쳐(Smart Picture)에 반영될 수 있는 아이디어 요소 도출 및 구체화 후에 스마트픽쳐(Smart Picture) 콘셉트 디자인 개념 제안까지를 연구 방향으로 한다.

  • PDF

Digital Mirror using Particle System based on Motion Detection (움직임 감지 기반의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거울)

  • Lim, Chan;Yun, Jae-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1
    • /
    • pp.62-69
    • /
    • 2011
  • Development of sensing technology and progress of digital media have been creating new art genre named interactive media art. digital mirror working based on convergence between computer vision technology and video art, is expressing reconstituted spectator's visual image through various mediums. From this aesthetical point and high accessibility towards spectators, many types of digital mirrors have been introducing. However, the majority of digital mirrors express visual images unrelated to degree of spectator's participation and this caused obstruction to spectator's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his paper proposes digital mirror operated by spectator's movements read through particle system synchronized with motion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analyzing image difference. This work extracted the data of spectator's movement by image processing and designed particle system changed by this data. And it expressed reconstructed spectator's image.

Implementation of Interactive Media Art Work using Particle System based on Hand Gesture Detection (핸드 제스처(Hand Gesture) 인식 기반의 파티클 시스템(Particle System)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작품구현)

  • Oh, Minjeong;Seo, Y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11a
    • /
    • pp.39-41
    • /
    • 2018
  • 본 논문은 본인이 제작한 라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에 관련한 글이다. 발전하는 디지털 기술 안에서 아날로그 감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작품 제작 방법으로 손으로 그린 나뭇잎을 입자로 사용한 파티클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NUI 인터페이스인 립모션 센서를 사용해 자연스러운 손 동작 인식을 하여 파티클 시스템과 연동하였다. 관람자는 바람을 일으키는 손 동작을 하며 가을 풍경과 같은 나뭇잎 파티클의 변화를 느끼게 되고, 계속되는 손동작에 따라 나타난 새로운 동영상을 감상하며 잃어버린 감성을 느끼게 된다. 아날로그 컨텐츠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은 관람자에게 친근한 접근과 감성을 자극함으로써 인터렉티브 미디어 아트의 새로운 확장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콘텐츠라인 / 서울 국제미디어아트 비엔날레

  • Gwon, Gyeong-Hui
    • Digital Contents
    • /
    • no.1 s.140
    • /
    • pp.100-101
    • /
    • 2005
  • 세계적인 미디어 예술 축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서울 국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미디어 시티 서울 2004)의 막이 올랐다. 올해로 3회를 맞은 이 비엔날레의 주제는 '게임,놀이' 15일 개막해 오는 2월 6일 까지 40여일 동안 서울시립미술과 전관과 서울시 일대에서 펼쳐진다.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게임과 놀이의 각종 게임과 유희에 담긴 사회문화적 메세지들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