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사용 인식

Search Result 721,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Contents based digital audio retrieval using the Dynamic Time Warping Technique (Dynamic Time Warping 기법을 이용한 내용기반 디지털 오디오 검색)

  • Sung, Bo-Kyung;Ko, Il-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287-292
    • /
    • 2007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웹 포털, 유료 음원서비스 등) 디지털 오디오의 검색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분야에서 디지털 오디오의 검색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자체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메타 정보가 다르게 작성 되었거나 작성되지 않은 경우 정확한 검색은 어렵다. 요즘 이러한 문제의 보완 방안으로 내용기반 정보 검색 기법을 이용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 기반 디지털 오디오 검색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내용기반으로 디지털 오디오를 검색하기 위해 음성 인식 문야에서 유사도 측정에 사용하는 Dynamic Time Warping 기법을 활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간의 유사도 측정을 하였다. 제안된 유사도 측정을 통한 내용기반 디지털 오디오검색 방법의 검증을 위해 같은 장르에서 무작위 추출된 100곡에서 시행한 90번의 검색은 모두 성공했다. 검색에 사용된 90개의 디지털 오디오는 10개의 디지털 오디오를 압축방식과 비트율을 다르게 조합하여 만들었다.

  • PDF

large-scale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ing gesture recognition module (제스처 인식 모듈을 이용한 대규모 멀티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스템)

  • Kang, Maeng-Kwan;Kim, Jung-Hoon;Jo, Sung-Hyun;Joo, Woo-Suck;Yoon, Tae-Soo;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803-80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스크린을 터치를 하지 않고 또한 스크린의 영역의 크기에 상관없이 제스처를 이용하여 인터랙션이 가능한 제스쳐 인식 모듈을 이용한 대규모 멀티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IR laser를 이용하여 인터랙션 영역을 생성하고 band pass filter를 장착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터랙션 영역 안의 영상을 획득한다. 획득되어진 영상은 제안하는 영상처리모듈을 이용하여 이진화->블랍-라벨링 과정을 거쳐 잡음을 제거한 후 인터랙션 영역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랙션 좌표를 획득한 후 Packet으로 저장한다. 저장 된 Packet은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Server로 보내어지고 Server에서는 메타포분석모듈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결과를 메타포이벤트로 저장한 후 콘텐츠에 보낸다. 콘텐츠에서는 받은 메타포이벤트에 따라서 콘텐츠 결과를 보여 줌으로써 스크린을 터치 하지 않아도 터치 인터랙션이 가능하며 스크린 영역에 제한 없이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시스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시스템은 향후 보다 다양한 인터랙션과 시스템 크기의 확장으로 보다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가능하며 다양한 인터랙션을 사용할 수 있는 인식 디바이스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Study on the Situational satisfaction survey of Smart Phone based on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스마트 폰 음성 인식 서비스의 상황별 만족도 조사)

  • Lee, Yoon-jeong;Kim, Seung-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8
    • /
    • pp.351-35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through analyzing smart phone voice recognition service and surveying the situational satisfaction of voice recognition service. First,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speech recognition service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s based on the second and third principles. As a result, the user is most likely to use the smartphone voice recognition service when making a telephone call. Also,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is the most used at home and the service is used most when the hand is not available. Through these results, various methods such as personalization service, condition recognition function, automatic emergency recognition, unlocking by voice could be derived.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effectively for improving smartphone voice recognition service and developing wearable device in the future.

디지털카메라ㆍ캠코더의 "원색 촬영" 신기술-CBL Lens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4
    • /
    • pp.75-78
    • /
    • 2006
  • 사용의 편리성, 신속성, 간편성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디지털카메라가 필름카메라를 제치고 전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디지털카메라는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왜곡된 색상’으로 인하여 필름카메라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사용자 모두가 겪는 애로점이 바로‘컬러 밸런스(화이트밸런스)’이다. 본 고에서는‘컬러 & 화이트밸런스’를 요약하여‘밸런스로’표현하고자 한다. 문제는 사용자들이 디지털카메라 사용방법에 대하여 대다수가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많은 프로들과 유저들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당연히‘후 보정’을 하는 것이 정상인 것처럼 알고 있으며, 심지어 디지털 카메라는‘후 보정’을 위한 카메라인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러나 좋은 사진은‘후 보정’을 하지 않고서‘원색’을 그대로 표현 할 수 있는 것이‘작품’으로서의 진정한 가치가 있고, 사진의‘예술’인 것이다.고급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를 보유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카메라의 복잡한 기능 메뉴에 번거로움을 겪고 있다. 보편적으로 오토, 태양, 구름, 노을, 형광등1.2, 백열등, K, 켈빈도, 프리셋 등의 기능이 있으나 대부분 커스텀에서 기본 세트메뉴인‘오토’등의 모드를 선택하여 촬영을 하고 있고, 핵심 기능인‘프리셋’은 사용방법조차 모르고 있는 유저들이 많다. 또한 커스텀 모드의 기본메뉴를 선택하여 촬영을 했을 때 색상이 왜곡되는 것을 디지털 카메라는 당연히 그런 것으로 알고 있으며, 따라서 후보정은 당연한 것으로 대부분이 인식하고 있다. 그중에서 원색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일부 사용자들만‘프리셋’기능에서 그레이 카드 등으로 밸런스를 세팅하여 촬영을 하고 있다.그러나 가장 정확한 것으로 알고 수 십 년간 사용해오던 그레이 카드 등을 이용하여 프리셋 모드에서 밸런스를 세팅하여 촬영을 할 경우에도, 카메라에 기본적으로 내장된‘커스텀 모드’보다는 색상이 다소 좋은 것을 알 수 있으나, 정확한 원색의 이미지를 얻기는 매우 어려워, 디지털 카메라의 한계라고까지 표현을 하고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Speaker Independent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based on DSP (독립성분분석을 이용한 DSP 기반의 화자 독립 음성 인식 시스템의 구현)

  • 김창근;박진영;박정원;이광석;허강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2
    • /
    • pp.359-364
    • /
    • 2004
  •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real-time speaker undependent speech recognizer that is robust in noise environment using DSP(Digital Signal Processor). Implemented system is composed of TMS320C32 that is floating-point DSP of Texas Instrument Inc. and CODEC for real-time speech input. Speech feature parameter of the speech recognizer used robust feature parameter in noise environment that is transformed feature space of MFCC(met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 using ICA(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on behalf of MFCC. In recognition result in noise environment, we hew that recognition performance of ICA feature parameter is superior than that of MFCC.

One Grip based Doorpull Shaped Doorlock System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Touch Pattern (지문 인식과 터치 패턴을 이용한 원그립 기반 문고리 통합형 도어록 시스템)

  • Jang, Min-Soon;Park, Tea-Min;Lee, Jung-Kwon;Wang, Bo-Hy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6 no.1
    • /
    • pp.30-36
    • /
    • 2016
  • Recently, digital doorlock systems have been employing biometric recognition and smartphone as personal authentification means. The performance of a digital doorlock system is determined by the two conflicting indices such as security and convenience. This paper proposes and implements one grip based doorpull shaped doorlock systems using fingerprint and touch sensor grip pattern. The proposed system sequentially performs fingerprint recognition and grip pattern identification when a user grips the doorpull in order to open the door. This method so called 'One Grip' is considered to enhance security while maintaining users' convenience. We expect the proposed method can solve the phone missing problem encountered in developing smart doorlock systems based on smartphon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by applying error indication function in word processor (워드프로세서의 영어문장 어법오류 인식개선을 통한 영어구문작성 향상방안에 대한 연구)

  • Yi, Jae-I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285-290
    • /
    • 2020
  • This study focus on improving the text language proficiency regarding users' written text. In order to tone up accuracy improvement in writing,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CALL) can be primarily used as one of the most efficient tools. This study proposes a English Grammar Checking Application that can improve the accuracy over the current applications. The proposed system is capable of defining the difference between a Noun and a Noun Phrase which is critical in improving grammar accuracy for those who use Englilsh as a foreign language in English writing.

Implementing user interface through everyday gesture (일상적 행동양식을 통한 인터페이스의 구현)

  • Ahn, Jong-Yoon;Lee, Kyu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09-415
    • /
    • 2006
  • 컴퓨터와 인간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인터랙션을 위해 기존의 키보드, 마우스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정보를 탐색, 접근하는 데에 있어서 기존의 장치들은 클릭과 같은 제한적인 동작만을 입력 값으로 받아들이므로 이러한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부자연스러움을 느끼는 요인이 된다.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상에서 사물을 사용할 때의 행동양식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다면, 디지털 콘텐츠에 접근하는데 있어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컴퓨터와 의사소통 될 수 있다. 제스처는 동작의 자율성이 높고 때로 그 의미를 파악하기 모호하기 때문에 동작들을 정확히 인식하여 구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제스처 인터페이스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점들을 살펴보고, 기술적 구현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와의 인터랙션을 보여주고자 한다. 정보 접근에 있어 가장 익숙하고 전통적이라 할 수 있는 책의 메타포를 통해 페이지를 넘기는 행동양식을 인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고 이를 입력장치로 사용한다.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 파악하여 책을 앞뒤로 넘기거나 탐색하며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손 동작을 통한 인터페이스를 수단으로 컴퓨터와의 유연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 PDF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of the SBAR, Attitudes towards SBAR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Nursing Students (SBAR 사용능력, SBAR 이용인식 및 비판적 사고성향 간의 관계)

  • Lee, Oi Sun;Noh, Yoon G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9
    • /
    • pp.213-22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f the SBAR(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Attitudes towards SBAR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Subjects were 101 associate nursing students associate nursing students(3r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 -report questionnaire from August 31 to October 26, 2018.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Win 23. The score for knowledge of the SBAR was 3.26, Attitudes towards SBAR scoring 3.3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oring 3.50. Knowledge of the SBAR(r=.46, p<.001) and Attitudes towards SBAR(r=.23, p=.023)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to increas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increase knowledge of the SBAR and attitudes towards SBAR of nursing students.

A Study on Preprocessing for Elderly Voice Recognition (노인음성인식을 위한 전처리에 관한 연구)

  • Park, Ji-Woong;Lee, Seoung-Jun;Kwon, Soon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646-1648
    • /
    • 2013
  • 고령화 되어 가는 현대 사회에서 노인들이 일반 성인과 동등한 수준에서 정보를 접근 가능하도록 스마트기기의 손쉬운 인터페이스 방법이 요구된다. 음성 인터페이스는 노인들의 스마트기기 활용도를 높여 줄 수 있지만, 성능이 평균적 성인연령 대의 발성행태에 최적화되어 있어, 노인들이 사용할 경우 음성인식률 저하를 초래한다. 그래서 노인 친화형 음성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노인음성에 대한 인식률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전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층과 청년층을 대상으로 음성샘플을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노인이 청년에 비해 발성속도가 느리며 이는 스마트기기의 음성인식 기능저하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