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게임플레이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2초

디지털 게임 플레이의 시간성 연구 (A Study in the Temporality in Digital Gameplay)

  • 이동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16
    • /
    • 2013
  • 본고는 디지털 게임을 플레이할 때 발생하는 시간의 여러 층위와 그 구조적 특성을 통해 모순적으로 보이는 게임 플레이의 시간성이 서로 결합하는 양상과 그 결과로 만들어내는 리듬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지털 게임 플레이는 첫째, 연대기적으로 흐르는 불가역적 시간의 지배 속에서 언제든 시간을 정지시키고 변화시킬 수 있는 가역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둘째, 이런 이중적인 시간 체계가 공존할 수 있는 이유는 게임의 시간에 플레이어가 개입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복잡해 보이는 다층적 시간 체계는 이미 진행되었던 게임 플레이를 다시 한 번 반복하는 식의 리플레이라는 특수한 게임 플레이 활동을 통해 리듬을 만들어낸다.

현실을 패러디한 인디게임의 희비극성 연구 (Analysis of Parody Game as Tragicomedy)

  • 한혜원;김수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7-110
    • /
    • 2016
  • 디지털 게임은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인 동시에 현대 사회의 문제를 재현하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문화 콘텐츠이다. 본 연구는 현실을 패러디한 인디게임의 서사와 플레이의 특징을 곤잘로 프라스카의 확장 모델 개념을 적용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게임이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고 반영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인 예술 양식임을 증명했다. 현실 패러디 게임의 경우, 이면적으로는 개발자가 실제 세계의 사회 문화적 문제들을 비극적으로 인식하되, 표면적으로 플레이어에게는 희극적인 패러디와 반복적 플레이를 통해서 풍자와 아이러니로 전달한다. 특히 디지털 게임의 경우 '플레이'라는 과정추론적 형식을 통해서 '패러디'의 내용을 재현하고 전달한다는 점에서 특이할 만하다. 이처럼 현실 패러디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진지한 주제(serious theme)를 1인칭 입장의 캐주얼 플레이(casual play)를 통해서 경험하며, 희극적인 서사를 통해 비극적인 현실을 직접적으로 인지하게 된다.

기호 해석 활동으로서의 게임 플레이 연구 (Gameplay as a Semiotic Interpretation)

  • 류철균;조성희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67-75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 게임 플레이에서 나타나는 기호 해석 과정을 설명하고, 각 해석 주체의 해석 의도를 통해 나타나는 의미의 층위를 규명하는 데 있다. 디지털 게임의 일차적인 저자는 게임 디자이너이며, 여기에 플레이어의 활동이 더해짐으로써 텍스트의 의미가 비로소 실현된다. 플레이어는 게임 텍스트에 존재하는 기호 해석을 통해 게임 플레이를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게임 텍스트를 일차적으로 만든 디자이너의 의도와 이것을 플레이하는 플레이어의 의도가 뒤섞이게 된다. 디자이너는 생산한 기호가 플레이어의 올바른 행위를 유발하기를 바라고 플레이어는 기호를 올바로 해석하여 자신의 의도대로 플레이를 진행시키기를 원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 주체의 의도 실현 양상을 다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 특히 플레이어의 의도에 따른 텍스트 생성을 살핀다.

  • PDF

디지털 게임의 장르 문법 연구 -FPS 장르를 중심으로- (A Study of Digital Game Grammar)

  • 이동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18
    • /
    • 2015
  •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 그 중에서도 특히 FPS 장르의 게임들이 특정한 규칙과 패턴을 반복, 변형, 적용하면서 발전해가고 있음을 전제로 FPS 게임의 장르적 관습을 이론화하고 이를 통해 세부 문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게임 장르 연구의 필요성을 검증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FPS 게임의 장르적 문법을 여섯 가지 측면에서 도출한다. 여섯 가지 측면은 FPS의 서사 문법, 아바타, 공간, 주요 아이템인 무기, 게임 플레이의 핵심인 사격 메커니즘, 그리고 인터페이스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게임학 이론 정립에 이바지하고 게임을 기획하거나 개발하려는 창작자들을 위한 하나의 지시서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지루함을 날려버릴 3차원 모바일게임

  • 김문영
    • 디지털콘텐츠
    • /
    • 12호통권151호
    • /
    • pp.48-52
    • /
    • 2005
  • 휴대전화를 꺼내들고 게임을 실행한다. 지루한시간을 견디는데 모바일 게임만큼 괜찮은 솔루션도 없다. 그런데 서서히 이게임도 지루하다. 느린실행속도, 불편한 조작방식, 조금만 익숙해져도 금방시시해지는 게임구성. 다시 휴대전화를 닫아버린다. 3D 모바일게임GPANG과 GXG는 지금까지의 모바일 게임과는 차원이 다른‘ 리얼액션·리얼판타지’를 보여준다. PC방 못지않게 재미있는 지하철에서의 게임플레이를 약속한다.

  • PDF

플레이어 경험을 통한 게임의 예술성 의미 연구 (Artistic Meaning of the Game Experience : Focus on Player's Perspective)

  • 김민서;김미진;오규환;도영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3-76
    • /
    • 2019
  • 본 연구는 게임 플레이어들이 플레이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예술적이라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실증 연구이다. 12명의 게임 플레이어가 참여하는 플레이 워크숍을 통해 플레이보고서를 수집하고, 예술적 경험의 다양한 층위에 대한 지시 범주를 체계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의미망 분석을 수행하여 플레이어가 플레이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예술적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지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게임 플레이어들은 일반 예술과 마찬가지로 삶을 성찰하는 주제 의식을 발견하거나 게임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예술적 경험을 창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체불가능토큰(NFT)기반 블록체인 게임의 비즈니스모델 혁신요소 연구 : 게임 내 디지털 자산 유통 플랫폼 '플레이댑'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ements of business model innovation of non-fungible token blockchain game : based on 'PlayDapp' case, an in-game digital asset distribution platform)

  • 최성원;이승목;고중언;김현지;김정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23-138
    • /
    • 2021
  • 본 연구는, 블록체인기술을 접목하여 개발된 게임들이 NFT 기반 게임아이템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통해 게임서비스의 성과증대와 신 모델 창출 등 비즈니스모델 혁신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을 '플레이댑' 플랫폼에 대한 실증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블록체인게임의 기술적 혁신성은, 사회경제적, 산업생태계적인 거시적 관점에서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게임 내 자산의 소유권 확보 및 이를 통한 새로운 사업모델의 창출을 통해, 참여개발사 와 플랫폼 제공사 등 기업의 차별화 및 고객편익 증대 부분에서 명확한 영향력을 만들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토리라인 기반의 자유로운 게임 플레이를 위한 게임 엔진 설계 (The Game Engine Architecture for free game experience based on a storyline)

  • 김석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15-622
    • /
    • 2007
  • 유저에게 다양한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게임 엔진은 다양한 게임 내 개체 간 상호 작용을 다룰 수 있는 엔진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메시지 기반 게임 엔진 구조가 사용 된다. 그러나 메시지 기반 게임 엔진 구조만으로는 게임 세계를 특정한 스토리라인 기반으로 변화시켜 나가기 어렵다. 이는 메시지 기반 시스템과 같은 event-driven system 자체가 하나하나의 메시지 처리에는 적합하지만 이보다 상위의 보다 큰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처리하기에 적합한 구조는 아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storyline 개체를 만들 지속적으로 storyline의 스토리 진행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메시지 기반 시스템의 자유로움은 유지하면서 게임 세계에 특정 storyline의 진행을 추가할 수 있는 게임 엔진 구조를 제안한다.

  • PDF

특별기고 / 사용자 테스트로 게임 향상시키기

  • 멜리사패데로프
    • 디지털콘텐츠
    • /
    • 7호통권122호
    • /
    • pp.146-150
    • /
    • 2003
  • 대부분의 게임 디자이너들은 베타버전이 나와 제품에 대한 품질 확인 문의가 생길 때까지 제품에 대한 피드백을 받지 않는다. QA 테스터는 게임 제작의 관행을 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QA 테스터는 버그와 밸런스 문제를 찾고 주요 게임 플레이 문제까지도 찾아낸다. 하지만 이들이 디자인 문제에 대해 피드백을 준다고 하더라도 제품은 몇 달 이내의 빠른 시간 내에 선적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모두 해결하려면 시간이 너무 늦어진다.

  • PDF

디지털 게임의 부분유료화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ree-to-Play Model for Digital Games)

  • 이동은;이유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7-120
    • /
    • 2015
  • 디지털 게임의 부분유료화 모델은 플레이어로 하여금 신규 게임 유입의 장벽을 낮추고 동시에 소액 결제를 통해 소비를 유도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촉발한다는 점에서 게임 업계의 대표적인 수익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부분유료화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종류와 적용 대상, 적용 양상이 다양해지면서 있는 플레이어들의 게임 플레이 경험에 불균형을 양산하는 문제를 만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부분유료화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고, 획득방법, 지속성, 기능 발현 대상에 따라 2가지 유형, 7가지 세분류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부분유료화 모델이 가지는 세 가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첫째, 게임 플레이 경험의 불평등 유발, 둘째, 게임 세계 경제의 불균형 양산, 셋째 게임 플레이 지속성 파괴가 바로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세 가지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 해결책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의 부분유료화 모델이 한국 게임 시장에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지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