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정보서비스

검색결과 2,796건 처리시간 0.064초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model of digital library)

  • 남영준;이현정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년도 제17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97-104
    • /
    • 2010
  • 디지털도서관은 전통적인 도서관의 역할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전자자원과 웹자원을 열람할 수 있는 시설과 기기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IT환경에 익숙한 이용자들에게 검증된 어떤 형태의 정보자원도 제공하는 도서관이다. NDL은 국립중앙도서관의 부서이지만 별도의 공간에서 디지털정보자원만으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여 명실상부한 디지털도서관의 원형을 구현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NDL의 구성원들의 디지털도서관의 운영고도화를 위한 설문을 바탕으로 디지털도서관 운영모델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도서관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주요 요인은 조직의 전문성을 비롯하여, 제도적 정보자원의 확보, 정보활용교육에 기반한 홍보방안 수립 등이었다.

  • PDF

무선 DRM 시스템에서의 인증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uthentication Method for Wireless DRM System)

  • 김봉선;이권일;신영찬;류재철;이준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664-666
    • /
    • 2003
  •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뜻하는 말로, 전자책, 음악, 게임 등의 디지털 컨텐츠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의 무단 유통을 방지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DRM 시스템은 주로 유선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한 무선 환경에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DRM 시스템은 유선 환경뿐만 아니라 무선 환경에서도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DRM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에 대한 보호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까지 그 영역을 확장함에 따라 각 비즈니스 영역별로 적합하도록 다양한 DRM 솔루션이 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스템간의 호환성을 위해 현재 OMA 등의 단체에서 무선 DRM에 관한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표준으로 제시되고 있는 DRM 모델에서는 인가된 사용자만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서비스에 관한 부분이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키 관리 서버와 사용자별 암호키 리스트를 다르게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인증서비스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이동 통신 사용자의 컨텐츠 교환을 위한 권한 관리 서비스 (Rights Management Service for Contents Transfer of Mobile Users)

  • 장경아;이병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C)
    • /
    • pp.373-37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이동 통신 사용자 기기의 한계적 계산 능력 및 무선 링크의 대역폭과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선택적 Proxy 서비스를 수용한 컨텐츠 교환 목적의 권한 관리 서비스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서비스는 이동 통신 사용자 기기의 한계적 능력에 대해 해당 도메인의 Proxy와 공개키를 기반으로 인증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이후 종단 사용자는 해당 인증 결과를 기반으로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제공자와의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전에 인터넷 기반 구조에 대한 컨텐츠 교환 서비스 요청에 한하여 Proxy의 부분적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허용하여 시스템의 대단위 계산 능력에 대한 효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

  • PDF

증강현실 기반의 안드로이드 캠퍼스 정보 서비스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ugmented Reality-based Android Application Service)

  • 한종선;임승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2-39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만의 스마트폰 시스템에서 증강현실(AR)을 이용하여 지리정보 및 카메라 화면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한다. 최근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활용이 많아지고 있으며, 카메라 기반의 영상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많이 확대 되었기 때문에, 증강현실과 지리정보를 연결한 캠퍼스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많이 있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증강현실 기반의 안드로이드 캠퍼스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개별 수업 시간표 정보와 연동하여 학생들이 제 시간에 강의실 및 그룹 토론장소, 회의장소등의 시간, 지리적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캠퍼스 강의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rketing Strategy for Facilitating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 오경묵;노영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1-276
    • /
    • 2003
  • 시민의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해 현재 서울특별시립의 공공도서관에서는 디지털 자료실을 개실하여 인터넷과 DVD 위성방송 등 다양한 전자정보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컨텐츠들로 서비스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립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를 위해, S 도서관 전자정보실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여 디지털 자료실의 운영을 보다 체계화하여 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며, 궁극적으로 보다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여, 이용률을 높이고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PEG-2 디지털 방송을 위한 송출 스케줄링 시스템 (A Scheduling System for MPEG-2 Digital Broadcasting)

  • 방진숙;황경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40-246
    • /
    • 2008
  • 영상압축 기술의 발달로 인해 아날로그 영상은 디지털 신호로 표현 및 저장이 가능해졌고 MPEG-2 표준화 과정을 통해 디지털 영상 전송을 위한 표준이 제정되어 디지털 방송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디지털 방송을 통한 경제적 파급 효과가 부각되면서 가치사슬의 기대효과로 인해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존의 방송사업자들은 디지털 방송으로 서비스를 전환해 가고 있다. 그러나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 System Operator)들은 고화질의 디지털영상인 Full HD(High Definition)급 방송 프로그램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난항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요 방송사에서 송출하고 있는 HD급 공중파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분석을 통해 각각의 채널에 따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확보하고 이를 재편성하여 케이블 방송 가입자들에게 재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식별체계 간 연계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DNStruction of a linking system between Identification systems)

  • 신동구;김재수;윤정모;권이남;전성진;정택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1)
    • /
    • pp.895-897
    • /
    • 2005
  • 인터넷의 발달로 디지털콘텐츠의 생성과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서비스 방식이 URL 방식에서 URN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KOI나 한국전산원의 UCI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식별체계 간의 등록$\cdot$변환서비스가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식별체계를 활용하여 디지털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커널메타데이터를 각각 등록하여야 하며, 디지털콘텐츠 변환서비스도 서로 연계가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서비스 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생성$\cdot$활용하기 위하여 식별체계간의 등록$\cdot$변환서비스 연계가 가능한 식별체계 간 연계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코로나이후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인식변화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Digital Perception of Information Vulnerable Class After COVID-19)

  • 김소영;정진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31-539
    • /
    • 2021
  •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정보 통신 기술(ICT)의 급속한 발전과 정보격차현상의 심화를 감안할 때 연구자와 실무자는 COVID-19 정보격차와 같은 새로운 현상이 기존 정보취약계층에 미치는 인식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정보취약계층에 따른 정보격차에 대한 COVID-19의 잠재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20년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가지고 실증분석을 수행하고 정보격차소외집단, 성별 및 정보서비스 주요요인(콘텐츠, 사회관계, 생활서비스, 정보생산, 네트워킹, 사회참여, 비대면 서비스)이 코로나이후 디지털정보기술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콘텐츠, 사회관계, 생활서비스, 네트워킹 및 디지털비대면 서비스가 높아질수록 코로나이후 디지털정보기술 인식변화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OVID-19가 진화하는 현상에 비추어 디지털정보격차 현상 해소를 위해 정부는 정보취약계층 역량강화 교육훈련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전환 기반의 숙박예약 서비스 경쟁우위전략: 사례연구 (A Study on Digital Transformation Competitive Strategy of Accommodation Reservation Service Industry: A Case Study)

  • 진희수;이동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93-109
    • /
    • 2022
  • 오늘날 고객과 정보와 서비스를 결합하는 디지털전환은 산업전체의 판도를 바꾸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며, 고객의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경쟁력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숙박정보를 제공하는 앱서비스 사례를 기반으로 디지털전환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여 경쟁우위요인을 도출하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숙박예약서비스 산업에서 디지털전환시운영프로세스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확대하고, 그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선호요인을 제안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사의 5가지 경쟁요인 분석을 통해 운영프로세스 상에서의 고객서비스 가치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서비스산업에서 디지털전환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홀로그래픽 비디오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 (A System Architecture for Digital Holographic Video Service)

  • 서영호;배윤진;최현준;유지상;김동욱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2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홀로그래피 방식의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사 영상의 디지털 홀로그래피 서비스를 위해서 레이저를 이용한 광학적인 홀로그램 획득이 아닌 실사 기반의 홀로그램 획득 방법을 이용한다. 실사 기반의 홀로그램 획득 방법에는 스테레오 및 다시점 카메라, 그리고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각 카메라 시스템으로 획득된 정보는 깊이와 RGB 정보로 만들어진 후에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omputer-generated hologram, CGH) 과정을 거치면서 홀로그램이 된다. 생성된 홀로그램은 SLM(spatical light modulator)를 통해서 복원되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홀로그램 기반의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신호처리 기법들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스테레오 및 깊이 카메라 기반의 홀로그램 생성 결과들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