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기기

Search Result 1,71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Usage of Digital Device Based on Digital Literacy (디지털 리터러시에 기반한 디지털 기기 활용방안 연구)

  • Go, HakNeung;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19-222
    • /
    • 2019
  • 4차 산업혁명이 언급되면서 3D 프린터, 로봇,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발전하고 이는 사회 구조를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새로운 디지털 기기, 기술들을 이해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요해지고 있다. 2015 OECD PISA에서 ICT 배경조사 중 한국은 접근성, 활용성 부분과 2018 국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연구,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의 인식 여부 및 활용 여부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 구성 및 디지털 기기 활용 콘텐츠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먼저 구체적 조작기인 초등학생임을 고려하여 디지털 기기 위주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다. 디지털 기기 활용 공간은 기반 기기로 컴퓨터(노트북), 유 무선 인터넷, 디지털 기기로 3D 프린터 및 3D 프린팅 펜, 스마트폰 기반 VR기기, AR마커, 블록코딩 기반 피지컬 컴퓨팅 교구 등을 이용해서 구성하였다. 활용하는 콘텐츠는 학생들의 인식 여부 및 수준에 맞춰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과 학습, 콘텐츠 제작, 문제해결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for, Attitude toward, and Performance from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Focusing on Path Analyses (중고령자의 디지털기기 이용동기, 이용태도, 이용성과 간의 관계 연구: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 Kim, Su-Kyoung;Shin, Hye-Ri;Kim, Young-Sun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7 no.3
    • /
    • pp.39-55
    • /
    • 202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tivations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attitudes toward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performance resulting from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by using a path analysis. For an empirical analysis, the 2018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referenced, analyzing the data of 1,664 people, selected through listwise deletion from total 2,303 people aged 55 or over. A close examination of how measuring variables reflect potential variables (motivations for, attitudes toward and performance resulting from the use of digital devices) showed a significance of 0.001, which suggests that each individual measuring variable does reflect the potential variables. Evaluation of the pathway factors of the structural model from the motivations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to the attitudes toward the use of digital devices (β=0.847) and from the attitudes toward the use of digital devices to the performance resulting from the use of digital devices (β= 0.745) revealed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tivations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does not directly enhance the digital device use performance, but that it can improve the attitudes toward the use of digital devices, which can in turn increase the performance resulting from the use of digital devices. The analysis holds significance that it has presen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휴가철 디지털기기 이렇게 사용하라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6
    • /
    • pp.90-91
    • /
    • 2008
  • 산과 바다가 부르는 계절이다. 일상과 더위에 지친 몸과 마음에 휴식을 주기 위해 많은 이들이 휴가를 떠난다. 떠나는 길에 반드시 가져가야 할 것들 중에 없어서는 안 될 물건들인 디지털기기. MP3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는 핸드폰은 기본이고 즐거운 추억을 담아올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 이동 중의 지루함을 달래고 휴가지에서의 휴식에 감초역할을 할 MP3플레이어, 휴대용멀티미디어플레이어(PMP), 노트북, 친절하게 길 안내 서비스를 해주는 내비게이션까지. 그러나 휴가지에서 디지털기기가 가장 많이 손상된다. 자칫 한 순간의 실수로 즐거운 휴가 기분을 망칠 수도 있다. 본 고에서는 휴가철 디지털기기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 PDF

A Study on Digital Divide from Socio-Technical Convergence: With Focus on Korean Women's Travel Activities (사회기술융합적 관점에서 살펴본 디지털기기 이용한계에 대한 연구: 한국 여성의 관광유형을 중심으로)

  • Lee, Seu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5
    • /
    • pp.177-185
    • /
    • 2015
  • The gender difference in social roles affects digital devices' utilization differences in man and woman even in the 21st Century. Prior studies analyze the digital divide (genders, ages, etc.) from the assessment perspectives of digital equipment, such as PCs. In the area of high speed internet, most functions of PCs have been replaced with smartphones, and around 80% of the mobile phone users adopt smartphones. Subsequently the inequality of physical access to the digital devices is no longer a criterion for digital divide. The focus on digital divide should be shifted from the physical access to other factors, such as socio-technical or socio-cultural ones. This paper examines utilization of women's digital equipment, in particular, preparing for tourism activities, which is popular but sensitive to the technolog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of [Suncheon Garden Expo] 2013. The results of this study capture the inactive use of digital devices particularly women over 50s. This phenomenon (high utilization of the digital devices for social or informative purposes, but low utilization of the digital payment) implies other aspects of Korean women (economic independence, low self-assertion, technical difficulties, etc.), which is considered from the socio-technological convergence perspective. This study also has a practical implication on the side of the digital device developers as well as marketing, where the qualitative communication is likely to be incorporated for the women over 50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utcomes of Digital Device Use (디지털기기 이용동기와 이용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조절효과)

  • Kim, Banya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3
    • /
    • pp.129-136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utcomes of digital device use. The data from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ere observed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motivation was a primary predictor of the differences in outcomes of digital device use,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closing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위험감수성 및 진취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Sang-Gil;In, Jae-M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211-214
    • /
    • 2020
  •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이후 비즈니스의 세계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향후 비즈니스의 키워드는 디지털로 수렴하는 비대면(Untact)이라 할 수 있다. 즉 디지털을 향해 가속페달을 밟을 것이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비즈니스가 주목받게 될 것이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쏠리면서 디지털 미디어 활용역량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코로나 사태가 모든 접점에서 디지털화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 준 것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위험감수성 및 진취성의 매개효과를 반영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역량이 창업에 있어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디지털 미디어 기기 및 커뮤니케이션 활용 역량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위험감수성과 진취성이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PD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 Life Satisfaction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 Kim, Ban-Ya;Kwon, Jong-Sil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9 no.2
    • /
    • pp.91-105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i.e. access, skill, utilization)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re also tested.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referenc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in general, digital informatiza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medi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magnitudes of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mediation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for a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y and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that helps establish and promote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