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건축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26초

건축 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Institutional Divice for Architectual Digital Data Protection)

  • 김용희;김봉규;최종천;김길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22-225
    • /
    • 2010
  • BIM 도입에 따른 정보교류와 협업이 활발해 질수록 건축과 관련된 디지털 데이터는 더욱 증가하고 있으나 법적 보호방안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축 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중 법적체계 구축 및 보완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 국내와 미국 건축가 협회의 표준계약체계 구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표준계약체계의 문제점 도출 하여 국내 건축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위한 미국 계약체계 중 건축 디지털 데이터와 관련된 C 106과 E 201을 분석하여 건축디지털 데이터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표준계약체계의 개선방향 및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여 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에 대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3차원 디지털기술 적용 건축문화재 콘텐츠 현황분석 및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Content Applied to 3D Digital Technology)

  • 정성주;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88-198
    • /
    • 2021
  • 본 연구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대적인 3차원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통한 디지털 자료를 구축하며, 다양한 콘텐츠 활용에 3차원 디지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도록 현재 콘텐츠별 기술들을 국내외 사례들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첫째 건축 문화재의 3차원 디지털 기술의 활용은 문화재 복원 형태에서 활용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제작한 콘텐츠 중 일부 콘텐츠들의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콘텐츠의 유형이 체험+전시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온라인을 통한 접근 방식은 적었다. 넷째 국내 IT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복원은 해외 문화유산을 복원 하는 기술로도 사용되고 있다. 다섯째 콘텐츠 유형과 3차원 디지털기술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재 국한된 기술의 사용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디지털 건축 문화재의 현황 및 3차원 디지털 기술의 적용 방안에 대해 분석 하였으며, 3차원 디지털 기술 적용 및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개발·활용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향후 디지털건축문화재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계층 및 디지털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설계교육을 위한 디지털 건축모형제작 기술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Digital Architecture Model Fabrication for Digital Design Education)

  • 하승범;이강복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5-33
    • /
    • 2012
  • Ever since the local interior and architecture design industry adopted Digital fabrication modeling tool for its design operation in early 1990's, working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ze the digital Architecture fabrication modeling for digital design education in academy course. Digital Design Tools, Digital Space and Form, Digital Materiality and Digital Production. The Digital fabrication modeling is and important role in a traditional design process and digital design process. It is comprised of digital input devices(3D digitizer, 3D design tools) and digital output devices(cutting plotters, laser cut, CNC machines, 3D printers). Digital input devices can be shift a traditional design process to digital design process. Digital output devices are the principle of digital fabrication by CAD/CAM.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physical resources and digital design curriculum in KAAB.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문화재 조립 체험 시스템 (A system for experience of assembling digital heritage using the miniatures of architectural component)

  • 이지형;강경규;김재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35-38
    • /
    • 2014
  • 디지털 문화재 콘텐츠는 현실에서 체험하기 힘든 문화재를 디지털 기술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고, 문화재 보수, 교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디지털 건축물 문화재는 실재 문화재의 구조 및 구성을 무시하고 외형만 만들어져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바꾸어 활용하기 곤란하며, 디지털 건축물 문화재 자체가 가상공간에 존재하여 현실체험에 제한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가 현실공간에서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하여 미니어처 문화재를 조립하고 그 결과를 가상공간의 디지털 문화재로 연결하여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로서 현실 체험과 가상 체험이 연결되어, 보다 효과적인 체험이 가능하고 건축 문화재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 PDF

비정형 건축물 구현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변천에 관한 연구 (The Transition of Digital Technologies for Irregular Shaped Buildings)

  • 유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210-4215
    • /
    • 2011
  • 최근 세계적으로 크게 발전되고 있는 비정형 건축은 디지털 기술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 또한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비정형 건축 작품들이 출현하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건축 사례들과 적용된 디지털 기술의 시대적 특징을 살펴보고 디지털 기술의 현 주소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XML을 이용한 디지털 건축문화유산 콘텐츠 저작 도구 (An Digital Architectural Heritage Content Authoring Tool Using XML)

  • 이종욱;이지형;이지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40-43
    • /
    • 2016
  • 전문적인 건축 정보가 제공되는 건축문화유산 콘텐츠를 위해서는 콘텐츠에서의 디지털 문화유산은 실재 문화유산의 구조 및 구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즉, 건축문화유산의 구성 요소인 부재를 기반으로 제작된 디지털 문화유산이 콘텐츠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XML기반의 건축문화유산 정보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저작도구 및 체험 콘텐츠를 소개한다.

  • PDF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문화유산 구현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Heritage Using Augmented Reality)

  • 이강훈;조세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1-139
    • /
    • 2012
  • 건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멀티미디어 및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로 복원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로 복원된 건축문화유산을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현재 디지털로 구현된 건축문화유산을 인터넷이나 여러 매체,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문화유산 구현에 있어서 가상현실 기술에서 파상된 증강현실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에 가상의 개체나 정보를 증강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가상 개체나 정보를 상호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많은 분야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건축문화유산을 증강현실로 표현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건축문화유산을 증강현실 기술로 구현하는 방법과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증강현실로 표현된 건축문화유산을 다른 형태의 콘텐츠와 비교하고, 증강현실로 표현된 건축문화유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건축 설계교육에서 디지털 설계 커리큘럼 모델 제안 (A Digital Design Curriculum Model in Architectural Design Studio)

  • 김명선;최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14-5320
    • /
    • 2011
  • 현재 설계교육에서 디지털 기술매체는 새로운 디자인 매체로 재인식되어 설계 커리큘럼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산업적으로도 비정형 설계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디자인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진보적 건축 그룹들이 등장해서 실질적인 디지털 설계교육으로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국내 설계교육에서도 디지털 관련 과목이 다양하게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기존 설계스튜디오를 보조하는 교과과정으로 운영되는 형편이다. 따라서 국내의 설계교육에서도 실무분야의 디지털 설계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모델이 제시되고 운영되어야 하며, 더불어 건축설계에서 디지털 패러다임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설계의 이론적 고찰과 교육 사례 고찰을 통해 건축설계 교육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설계 커리큘럼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