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가이드

검색결과 465건 처리시간 0.029초

중소도시 KTX와 연계교통수단으로서의 버스 디자인 가이드라인 (The Design Guideline of the Buses as the Transportation Means to the KTX of Small/Medium Cities)

  • 최철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461-469
    • /
    • 2011
  • 국내 중소도시 KTX와의 연계교통이 부족하여 정시성 확보가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중소도시 KTX와의 연계버스를 확충하고 연계버스 이용자의 편리성과 승차감을 높이는 합리적인 버스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철도교통정책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연계버스의 합리적인 디자인을 위해 버스이용 조건과 버스시설별 디자인 고려사항 그리고 버스운행업체의 관련된 관계법규 및 제한조건을 조사 분석하여 버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정한다. 또한 연계버스 운행의 실용화가 가능토록 연계버스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실용화시스템 요소의 최적화 방법론을 제시한다. 끝으로 중소도시 KTX와 연계교통수단으로서의 버스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연계버스 운행에 따른 철도교통정책을 제안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구성 요소와 가이드라인 연구 -안드로이드 구글 머티리얼 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Mobile Application UI Design Components & Design Guidelines -Focused on the Google Material Design Guidelines-)

  • 정다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417-423
    • /
    • 2020
  • 본 연구는 안드로이드의 구글 머티리얼 가이드를 중심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관하여 연구하고, 형태 및 조합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UI 디자인 가이드 제작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머티리얼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제공하고 있는 컴포넌트들을 분해하여 구성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고, 형태 및 속성에 따라 구분하여 유형을 나눈 뒤 각각의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UI 디자인의 최소 구성 요소로는 표면, 글자, 아이콘, 미디어가 있고 이러한 요소들은 컴포넌트 적용 사례를 수집하여 공통 규칙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를 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컴포넌트는 목적에 따라 정보 탐색과 알림, 콘텐츠 전달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속성 및 고려해야 할 점이 달라 각각에 맞는 제작 방식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효율적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머티리얼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는 UI 디자인의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크리슈머(Cresumer)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uidelines for Cresumer Product Design)

  • 유초롱;이태일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27-39
    • /
    • 2019
  • 본 연구는 소비 제품을 창의적으로 새롭게 활용하는 창의적 소비자로서 크리슈머(cresumer)의 특성을 활용한 혁신적 제품 개발과정에서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가이드라인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크리슈머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와 실제 크리슈머에 대한 심층 인터뷰 및 관찰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사성 분석을 통해 초기 7개 카테고리 131개 항목의 가이드라인을 압축 정비하여 4개 카테고리 52개 항목의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검증을 위한 2차에 걸친 평가(SD 7점 척도)와 상관관계 및 신뢰도 분석 과정을 통해 제품 컨셉 개발, 제품 개발, 제품 사용환경, 시장 가능성 등 4개 카테고리 46개 세부 항목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가이드라인을 제품 개발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디자인 툴킷을 개발 제안하였다. 툴킷은 3개 장으로 구성하였고 4개의 카테고리와 개별 가이드라인 항목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련 사례를 제공하고 형식적으로는 카드 혹은 북릿 형태로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방향 안내 표지판 디자인의 메타 가이드라인 제안 (A Proposal for Meta Guideline of Orientate Signage Design based on Information Design)

  • 한지애;류시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2호
    • /
    • pp.61-69
    • /
    • 2021
  • 길찾기는 '목적지를 찾는 문제 해결 과정'으로 최적의 경로 선택을 위한 공간 데이터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공간의 복잡화와 길찾기 서비스의 매체 확장으로 인해 공간데이터가 다양해져 정보디자인 관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길찾기 과정에서 중요한 인지적 단서가 되는 안내표지판 디자인을 위해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공간데이터 디자인을 위한 메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정보디자인, 표지판 디자인 관련 문헌연구와 표지판 가이드라인 매뉴얼 분석을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단계별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사례 분석과 전문가 FGI를 통해 3단계 디자인 프로세스 중 정보 조직화와 시각화 단계에 관한 메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셋째, 메타가이드라인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여 메타 가이드라인을 표지판 디자인에 적용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시행하였다. 사용자 설문을 통해 메타 가이드라인의 핵심 내용인 공간 특성에 따른 정보 위계, 정보 위계에 따른 정보 우선순위, 방향과 공간에 관한 시각화에 관한 가이드라인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표지판 디자인에 필요한 정보 요소들을 프로세스 중심으로 체계화시켰다는 점과 공간특성에 따른 표지판 디자인에 관한 거시적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복잡한 공간 또는 다양한 매체를 위한 방향지각 정보, 공간인지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시각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어린이집 보육공간환경의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연구 - 한국, 미국, 영국의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Guidelines for Childcare Space Environment at Daycare Centers - Focusing on the Guidelines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 송수빈;임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09-518
    • /
    • 2022
  • 보육공간환경은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한 쾌적한 공간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큰 사회적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가이드라인의 보육공간환경을 비교 분석하여, 보육환경의 쾌적함과 지속가능성을 보완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비롯하여 영유아의 스케일을 고려한 치수 기준, 온도, 환기, 조명 등의 환경기준, 가구와 마감재의 친환경성 등에 대한 제안이 추가된 통합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수술 가이드의 사용 (The use of surgical guide stent for implant placement)

  • 이지연;윤지영;오남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66-375
    • /
    • 2014
  • 임플란트 식립 시 수술 가이드는 치료계획 수립 및 진단 뿐 아니라 식립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수술 가이드는 식립 위치만 보여 주는 디자인(Nonlimiting design), 식립 위치와 각도를 보여주는 디자인(Partially limiting design), 식립 위치와 각도 및 깊이까지 보여주는 디자인(Completely limiting design)으로 나뉜다. 식립 위치와 각도를 보여주는 디자인은 제작이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반면 식립 위치와 각도 및 깊이까지 보여주는 디자인보다 수술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진다. 식립 위치와 각도 및 깊이까지 보여주는 디자인은 해부학적으로 정확하고 보철적, 생역학적 관점에서 최적화 된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심미적, 기능적으로 술 후 불편감을 최소화 해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술 가이드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고찰해보고 이를 임상에 적용한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겨드랑이 목발의 디자인 비교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Study with Axillary Crutch Design Variations)

  • 양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43-253
    • /
    • 2016
  • 이 연구는 하지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보행 보조기기인 목발과 목발을 이용한 보행에 관한 것으로 인간의 보행특성에 적합한 합리적인 목발 개발을 위한 장기 연구의 일부분이다.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목발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겨드랑이 목발을 비교 평가 하였다. 목발 사용 경험이 없는 성인 남녀 31명이 참가한 목발의 비교 평가 실험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10가지의 목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겨드랑이 목발 3종에 대하여 각각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각 목발에 대한 가이드라인별 사용자 평가의 전체 평균에서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는 KM Crutch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이드라인별로 보면, 6가지의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Mobilegs-ultra와 In-motion Pro는 KM Crutch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목발의 경량성과 경제성 및 시장성에 대해서는 세 목발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발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기존 목발의 사용자 인식수준을 규명하고자 한 이 연구의 결과는 후속연구인 목발을 이용한 보행평가실험의 결과와 종합적으로 분석되어 가이드라인이 합리적인지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Eco-Friendly Package Design)

  • 김미자
    • 월간포장계
    • /
    • 통권260호
    • /
    • pp.45-55
    • /
    • 2014
  • 최근 환경오염과 생태학적 환경문제가 사회적 중요한 관심사로 인식되고 있다. 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재활용과 재사용에 대한 요구와 함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친환경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필름 등의 포장재의 개발과 생산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개념과 에코 포장디자인 적용범주, 국내외 에코패키지의 동향 및 포장재 현황을 살펴보고, 각종 정책과 규정 및 관련지침 등의 이론적 자료들을 근거로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에코패키지의 기본 방향과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이드 라인 및 수행 절차를 고찰하였다. 에코 패키지의 기본방향은 첫째, 포장디자인의 제작,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환경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비용과 품질, 시장성, 디자인 등 다중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디자인 부서와 제품설계부서, 생산부서, 환경팀 등 조직 내의 다른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협력하여야 하며 넷째, 기업의 다른 여러 가지 환경 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소비자와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자원 절감과 물질 사용량 절감, 재활용성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유해 물질 저감과 안전성 확보, 폐기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 포장디자인의 실천을 통해 환경영향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소비자의 이미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령 사용자 조사를 통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 가이드라인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ng UI Guideline for Mobile Phone through the User Research on Elderly Users)

  • 허정윤;김현정;박상현;심정화;박수정;김미영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86-291
    • /
    • 2007
  • 핸드폰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젊은 층뿐만 아니라 노년층 및 어린이들의 핸드폰 사용도 많이 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핸드폰은 대부분10~30대의 중급 이상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이미 생활필수품이 된 휴대폰을 고령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많은 제약 사항이 존재한다. 이런 제약 사항들에는 작은 사이즈의 Font와 같은 물리적 제약에서 단순한 통화방식에 익숙하여 새로운 것을 유연하게 받아들이지 못해서 발생하는 인지적인 제약까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사용자의 일상생활 중 휴대폰 관련된 불편 요소와 특이사항을 조사하여 도출하였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 사용자의 핸드폰 사용 행태를 관찰하여 현재 휴대폰에서의 사용 문제점을 포함하여 사용상의 특이점을 파악한 후 고령 사용자와 초급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의 UI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 개념을 살펴본 후 문맥적 사용자 조사 기법을 적용하여 1차 사용자 VOC(Voice of Customer)수집 후 주요 사용자 특성을 정의하였으며, 2차 심층 조사를 통해 핸드폰 사용시 노년층의 사용자의 Usage행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2차에 걸친 사용자 조사를 통해 도출된 요구 사항을 종합 분석하여 세분화된 휴대폰의 UI 요소에 따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 사용자의 휴대폰 관련 요구사항을 공용성이 강조된 유니버설 디자인 휴대폰 개념으로 개발하기 위한 전략과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