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uidelines for Cresumer Product Design

크리슈머(Cresumer) 제품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

  • 유초롱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창의융합디자인 협동과정) ;
  • 이태일 (고려대학교 디자인 조형학부)
  • Received : 2019.12.06
  • Accepted : 2019.12.17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sign guidelines for developing innovative product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onsumers(cresumers) who create alternative usages of consumer products, and to suggest effective way of applying the guidelines in design process. To do this, the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resumers and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actual cresumers. The study was able to initially come up with 131 items in 7 categories through keywordization and affinity analysis of prior outcomes, and reorganized and modified those to 52 items in 4 categories. After verification of co-relationship and credibility analysis with 2 evaluation sessions (7-scale SD), the study has reached 4 categories - product concept development, product development, product use environment, and market possibility - with 46 guideline items. The study developed a design toolkit to effectively apply the guidelines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toolkit consists of three chapters and provides explanations and related examples to clarify the categories and individual guidelines, designed in the form of cards and booklet.

본 연구는 소비 제품을 창의적으로 새롭게 활용하는 창의적 소비자로서 크리슈머(cresumer)의 특성을 활용한 혁신적 제품 개발과정에서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가이드라인의 효과적인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크리슈머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와 실제 크리슈머에 대한 심층 인터뷰 및 관찰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사성 분석을 통해 초기 7개 카테고리 131개 항목의 가이드라인을 압축 정비하여 4개 카테고리 52개 항목의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검증을 위한 2차에 걸친 평가(SD 7점 척도)와 상관관계 및 신뢰도 분석 과정을 통해 제품 컨셉 개발, 제품 개발, 제품 사용환경, 시장 가능성 등 4개 카테고리 46개 세부 항목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가이드라인을 제품 개발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디자인 툴킷을 개발 제안하였다. 툴킷은 3개 장으로 구성하였고 4개의 카테고리와 개별 가이드라인 항목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련 사례를 제공하고 형식적으로는 카드 혹은 북릿 형태로 디자인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 Ford, C. M. (1996), A Theory of Individual Creative Action in Multiple Social Domai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 1112-1142 https://doi.org/10.5465/amr.1996.9704071865
  3. Tierney, P., Farmer, S. M. (2002). Creative Self-Efficacy: Its Potential Antecedents and Relationships to Creative Performance.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6), 1137-1148 https://doi.org/10.5465/3069429
  4. 박남춘, 김원섭 (2018). 창의소비자를 위한 O2O서비스 UX 디자인에 대한 연구 - DIY 취미키트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포럼>, 33권 89-102
  5. 임혜빈, 안서원, 차경욱, 추호정, 최민영 (2016). 창의적 소비효능감 척도 개발과 타당화. <소비자학연구>, 27권 3호, 171-193
  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7. Gerhardt, W. (2008). Prosumers: A New Growth Opportunity, Cisco IBSG
  8. Frog Collective Action Toolkit. Retrieved from https://www.frogdesign.com/work/frog-collective-action-toolkit
  9. IDEO Method Card. Retrieved from https://www.ideo.com/post/method-cards
  10. MicroSoft Inclusive. Retrieved from https://www.microsoft.com/en-us/design/inclus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