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oposal for Meta Guideline of Orientate Signage Design based on Information Design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방향 안내 표지판 디자인의 메타 가이드라인 제안

  • 한지애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 류시천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Received : 2021.04.12
  • Accepted : 2021.05.14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Wayfinding is a 'Process solving problem to find destination', and it is important to select spatial data for optimal way. Recently, due to the complexity of space and the expansion of the medium of the wayfinding service, it is necessary to the approach on the information design for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a guideline on the information design for the design of orientation sign, which is an important cognitive clue in the wayfinding. It was conducted in 3 stages, First, a design process was proposed and design elements were derived for each step by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information and sign design, and analysis of manual for signage design. Second, a meta guideline for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visualization in the three-stage design process was proposed by FGI and analysis. Third, the meta guideline was applied to the sign design on an area for user evaluation to inspect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 guideline. Through the user questionnai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guideline for visualization of directions and spaces, information hierarchy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priority was identified. It is meaningful in that necessary element for signage design are systematized centering on the process and that it presents a macroscopic methodology according to spatial characteristics.

길찾기는 '목적지를 찾는 문제 해결 과정'으로 최적의 경로 선택을 위한 공간 데이터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공간의 복잡화와 길찾기 서비스의 매체 확장으로 인해 공간데이터가 다양해져 정보디자인 관점으로의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길찾기 과정에서 중요한 인지적 단서가 되는 안내표지판 디자인을 위해 정보디자인 관점에서 공간데이터 디자인을 위한 메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정보디자인, 표지판 디자인 관련 문헌연구와 표지판 가이드라인 매뉴얼 분석을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단계별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사례 분석과 전문가 FGI를 통해 3단계 디자인 프로세스 중 정보 조직화와 시각화 단계에 관한 메타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셋째, 메타가이드라인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지를 선정하여 메타 가이드라인을 표지판 디자인에 적용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를 시행하였다. 사용자 설문을 통해 메타 가이드라인의 핵심 내용인 공간 특성에 따른 정보 위계, 정보 위계에 따른 정보 우선순위, 방향과 공간에 관한 시각화에 관한 가이드라인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표지판 디자인에 필요한 정보 요소들을 프로세스 중심으로 체계화시켰다는 점과 공간특성에 따른 표지판 디자인에 관한 거시적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복잡한 공간 또는 다양한 매체를 위한 방향지각 정보, 공간인지 정보에 관한 구체적인 시각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0년도 문화기술연구개발 지원사업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Weisman, Gerald David, "Way finding in the built environment; A study in architectural legibility",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1979.
  2. 강성중, 오병근, 정보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81-122쪽, 2008년
  3. 신정엽, 이건학, "공간 인지에 기반한 길찾기의 방법론적 고찰과 인지 경로 모델링," 한국지도학회지, 제12권, 제3호, 95-111쪽, 2012년
  4. 장혜진, "보행친화성을 고려한 도시웨이파인딩사인시스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49-60쪽, 2016년 11월
  5. 이영롱, 조지희, 김성은, 조정현, 이상재, 안세영, "고속/일반 철도 역사 안내표지의 표준화를 위한 디자인 방향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20권, 제1호, 147-157쪽, 2017년
  6. 정보라, "길찾기를 위한 공간디자인의 유형과 환경정보적 기능 -공공청사 로비 공간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년 2월
  7. 김신혜, "웨이파인딩의 구성 및 영향 요인에 관한 기초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4호, 49-58쪽, 2014년
  8. 김석태, 백진경, "공간구조론을 적용한 종합병원외래부 유도사인 배치 및 평가에 관한 연구, G.D.Weisman의 길찾기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제21권, 제3호, 25-25쪽, 2015년
  9. 광주 국립 아시아문화전당(ACC) 안내 표지판 개선안에 대한 설문조사(2020).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ejKZbGsrlQKuwPveJfop6ibTAhRUc2ld4Q5Yxmq0_vPW0Oag/viewform (accessed Nov., 19, 2020)
  10. 콜린웨어, 최재원 역, 데이터 시각화, 인지과학을 만나다, 에이콘, 470-471쪽,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