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방법론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44초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중심의 웹 기반 쇼핑몰 구축 프로세스 (A Web-based Shoppingmall Implementation Process focused on User Interface Development)

  • 유재곤;최윤석;정기원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2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421-425
    • /
    • 2002
  • ◈기존 방법론의 문제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 과소평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구 반영 부족 개발팀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팀의 독립적인 작업의 어려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변경 요청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어려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유지보수 비용 과다(중략)

  • PDF

패턴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패턴 선정 프로세스 (An Effective Pattern Selection Process for Developing of Pattern Based Software)

  • 최진명;류성열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346-356
    • /
    • 2005
  • 디자인 패턴은 지난 10년 이상 소프트웨어 공학 영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 여러 유형의 디자인 패턴이 정의되었다. 그러나 이들 패턴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 비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 빈번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CBD96, RUP, MaRMI III 같은 CBD 방법론들은 분석, 설계, 개발 과정중에 디자인 패턴을 선정하고 적용하는 방법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GoF, J2EE 패턴 카타로그에 제시된 디자인 패턴을 중심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분석, 설계, 개발 단계에 적용되는 디자인 패턴을 효과적으로 선정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를 항공업무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정에 적용하여 패턴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나가는 효과적인 방법을 보이고 RUP와의 차이점 및 유용함을 제시한다.

컨텍스트(Context)중심의 UX디자인 방법론

  • 박남춘
    • 정보와 통신
    • /
    • 제29권7호
    • /
    • pp.56-61
    • /
    • 2012
  • UX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대하는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다양한 사용자 리서치 방법들 가운데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Contextual Inquiry, 사용자 관찰, Cultural Probes, Contextmapping등이 있는데, 사용자의 컨텍스트는 매우 역동적이고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 이 필요하다. 이렇게 파악된 사용자의 행동패턴과 컨텍스트 요소를 반영하여 UX모델을 만드는데, 사용자의 목표와 사용행태를 기술하는 퍼소나(Persona)가 대표적인 방법이다, 또한 퍼소나를 기반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이끌어 내는데 활용하는 '사용자 시나리오(User Scenario)'는 미래의 혁신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안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이다.

PRETREE 모형을 이용한 중요 디자인 속성 추출 방법 (A Method of Extracting Significant Design Attributes using PRETREE Model)

  • 이유리;박상준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565-57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이용되었던 디자인 프로세스의 실증적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소비자 지향적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즉, 기존의 디자이너 직관에 의한 디자인 속성 도출 방법과는 다르게, 디자인 속성을 규명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의 중요 디자인 속성을 추출해 내는 소비자 관점의 디자인 속성 도출방법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구체적인 속성 규명을 요구하지 않는 PRETREE 모형을 활용하여 유무선 전화기를 대상으로 소비자 선호 기반 중요 디자인 속성을 도출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RETREE 모형은 심리학, 소비자학, 경영학분야에서 널리 활용되어 왔던 소비자 선택모형으로, 디자인분야에서도 주관적으로 치우칠 수 있는 디자인 평가를 계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객체지향 컴포넌트 개발을 위한 동질 Hot Spot 설계 기법 (A Design Technique of Homogenous Hot Spot for Object-Oriented Components)

  • 박동혁;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444-446
    • /
    • 1999
  •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과 컴포넌트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위한 개발 방법론과 개발 도구들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컴포넌트의 재사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컴포넌트 개발 시 나타나는 Hot Spot 처리를 위한 분석, 설계기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ot Spot 처리시에 나타나는 의존적인 Hot Spot을 디자인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그 방법을 적용하여 의존적인 Hot Spot을 디자인 할 때 발생되는 Hot Spot 간의 결합도 줄이고 디자인 모델의 가독성을 높인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모델링을 위한 표기법으로서 객체지향 모델링 기법인 (UML(Unified Modeling Language)를 이용하여 모델링한다.

  • PDF

<사용자 참여를 통한 미래 사용자 사용패턴 예측 방법론 제안>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UI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based on Bluetooth Handsfree Headset UI Design Project)

  • 조현재;김선아;이현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24-529
    • /
    • 2006
  • 짧은 기간에 비약적으로 기술이 발전하는 시대에는 사용자의 미래환경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행태를 미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UI 디자인 개발을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제품 사용행태 예측 과정을 통해 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차로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 사용자가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행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조사의 결과를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방법으로 구성하여 아이디어개발을 위한 보조도구로 개발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블루투스 헤드셋의 주요 사용자 층인 10 대 후반에서 20 대 중반에 속하는 사용자 그룹이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변용 가능한 패션 액세서리를 선정하고 선정한 액세서리를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으로 가정하여 사용시의 그들의 사용 포즈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주사용자 층의 사용행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블루투스 헤드셋 개발팀내의 기획자, 기술자, 디자이너들이 제품의 개발 방향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를 위하여 Macromedia Flash 를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으로 제작하여 디자인을 위한 보조 툴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과 같이 사용자의 새로운 요구와 사용성이 기대되는 제품 UI 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미래 요구사항을 예측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배경에서 시작되었으며,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사용자의 요구 파악 및 예측을 위한 방법으로 제품과 사용자의 사용 포즈를 연계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현대 디자인과 조형교육의 기원인 바우하우스(Bauhaus) 사람들과의 만남 (An Encounter with the Bauhaus being the origin of Modem Design and Formative Education)

  • 최성운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61-370
    • /
    • 2003
  • 지금 까지 우리들은 현대 디자인과 조형 교육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바우하우스에 대하여 단지 조직적인 차원과 의미론적인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중요한 사실은 현재 우리에게 바우하우스의 교육내용 보다는 어떠한 교육자적인 입장에서 바우하우스를 운영하였는지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지금으로 부터 80년 전의 바우 하우스의 교육내용을 살펴보면 마치 오늘날 현대 디자인 교육과 같은 유사한 양상으로 보이고 있다 물론 디자인의 출발은 사용자라고 할 수있다. 하지만 그 사용자에게 필요한 제품이 무엇이며, 그 제품은 어떠한 경로를 거처 완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바우하우스는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바우하우스는 디자이너로서 사물을 대하는 관점,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론적 해결 그리고 사회에 대하여 디자인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우리게 잘 알려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원칙이나 디자인 방법론적인 해결은 특정인에 의하여 수립된 것이 아니라, 과목을 담당하였던 각각의 마이스터들이나 교수진에 의하여 실현되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그 사람들의 특성과 디자인에 관한 개인적인 진술을 살펴보는 것이 바우하우스를 이해하는 올바른 순서가 되는 것이다. 특히 바우하우스는 내부적인 갈등과 외부적인 도전으로 많은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디자인의 사회학적인 기능에 대하여 많은 고심을 하였다. 필자는 바우하우스 사람들의 진술에 근거하여 바우하우스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