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등식 구조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3초

지능구조물의 다목적 상태궤환 제어 (Multiobjective State-Feedback Control of Smart Structural Systems)

  • 홍성일;박현철;박철휴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52-458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robust vibration control methodology of smart structural systems. The governing equations and associated boundary conditions are derived by Hamilton's principle. A robust controller is designed using a linear matrix inequality (LMI) approach to the multiobjective synthesis. The design objectives are to achieve a mix of H$\sub$$\infty$/ performance and H$_2$ performance satisfying constraints on the closed-loop pole locations in the face of model uncertainties.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LMI approach in damping out the multiple modes of vibration of the piezo/beam system.

  • PDF

(Ab)(Cl) 집합 일치화의 구현에 관한 연구 (An Implementation of (Ab)(Cl) Set Unification)

  • 신동하;김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08-1113
    • /
    • 2004
  • ‘집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설계에 자주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최근 ‘집합 제한 언어’도 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b)(Cl) 집합 일치화’ 문제를 소개하고 ‘집합 등식 다시쓰기(rewrite)’를 사용하여 집합 일치화를 Prolog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순차적 언어에서는 구현하기 힘들었던 집합 일치화가 Prolog 언어와 같은 논리 언어에서는 비결정성 제어 구조와 리스트 자료 구조를 사용하여 쉽게 구현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존 구현이 고가의 상업용 Prolog를 사용한 것과는 달리 GNU 일반 공용 라이센스(GPL)를 가지는 Ciao Prolog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현재 본 연구의 결과를 사용하여 ‘집합제한 언어’가 구현 중이다.

영역/경계 분할 정식화에 의한 삼차원 접촉 해석의 효율성 검토 (Computational Efficiency of 3-D Contact Analysis by Domain/Boundary Decomposition Formulation)

  • 김용언;류한열;신의섭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69-476
    • /
    • 2007
  •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는 삼차원 접촉 문제의 효율적인 유한요소 해석을 위하여 영역/경계 분할 기법을 적용하였다. 접촉 경계면의 부등식 적합 조건과 부영역, 공유면, 접촉 공유면의 등식 적합 조건을 모두 벌칙 함수로 처리하였다. 이에 따라 모든 유효 강성 행렬이 양 정치화되므로, 역행렬과 같은 각종 행렬 연산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전체 영역의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임의의 부영역, 공유면, 접촉 공유면 단위로 쉽게 유한요소 모델링할 수 있다. 즉, 관련 지배 방정식은 물론 경계 조건도 독립적으로 이산화할 수 있으므로, 국부적인 비선형 접촉 조건에 대한 효율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간단한 수치 예제를 통하여 삼차원 접촉 해석의 효율성에 관한 기본적인 경향을 검토하였다.

지역건축탐방(3) - 아산ㆍ부여ㆍ공주

  • 정무웅
    • 건축사
    • /
    • 3호통권347호
    • /
    • pp.72-76
    • /
    • 1998
  • 본 특집은 지방시대에 지역건축문화가 어떻게 변화하고 정착되고 있는가? 그 지역만의 갖고 있는 도시+건축문화의 아이덴티티는 무엇이고, 현대화과정에서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경관요소가 개발과 보존이라는 병립된 사회요구속에서 어떻게 적응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봄을 의도하고 있다. 특히 백제문화권의 중심도시인 아산, 부여, 공주의 도시특성을 이루고 있는 도시공간구조 및 구성요소와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경관요소의 현황을 살펴본다. 본고는 현대화하는 과정 속에서 전통성이 있는 문화요소를 지역성의 개념과 상관적으로 관련시켜 정리하기 위한 것이다. 문화가 지역을 초월하여 국제적으로 교류되면서, 생활의 편익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은 국가와 민족의 차이를 넘어 동일한 지구문화형성의 과정으로 급속히 진행하고 있다. 현대화는 서구화라는 등식은 서구문화의 간결한 편익성이 낳은 전세계적 현상이다. 따라서 현대화를 생활의 변화로 이해할 때에 전통논의의 여유가 있고, 전통논의에 대한 객관성이 있으며, 편협된 전통관으로부터 자유로와질 수 있다.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생활이 변하고, 특히 생활을 담는 그룻으로서 건축환경이 변한다. 오랜 시간을 통해서 서서히 건축환경이 변하지만, 누적된 변화는 커다란 차이로서 나타나고, 이에 따라 적응과정에서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많이 논의되어온 보전과 보존의 방법론적 세분화에 의한 적극적인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서 '전통성을 갖춘' 도시ㆍ건축구조물을 단순한 유적, 유물로 보존할 것인가, 실생활과 관련된 생활과 함께 하는 문화현상으로 적응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점이 우리의 과제인 것이다.

  • PDF

유한요소 부영역 결합법을 이용한 열기계학적 접촉 해석 (Thermomechanical Contact Analysis by Subdomain/Interface Finite Element Method)

  • 신의섭;진지만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7-14
    • /
    • 2005
  • 접촉 현상을 포함하는 완전 연계된 열기계학적 문제에 대한 정확하고 효율적인 해석을 위하여 부영역과 공유면에 근거한 유한요소 정식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부영역과 공유면을 결합하기 위한 등식 적합 조건을 벌칙 함수로 처리함으로써 모든 유효 강성 행렬이 양정치화되며, 역행렬과 같은 각종 수치 연산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전체 구조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대상 영역을 임의의 부영역으로 분할한 후, 공유면에서의 절점 연속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각 부영역을 독립적으로 유한요소 모델링할 수 있다. 컴퓨터 코드의 개발 및 수치 예제의 해석을 통하여 본 기법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자동화된 프로그램 시험을 위한 입력 자료구조의 모양 식별 (Identifying a Shape of Input Data Structure for Automated Program Testing)

  • Insang, Chung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10호
    • /
    • pp.1304-1319
    • /
    • 2004
  • 프로그램 시험 비용은 테스트 데이타를 생성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테스트 데이타 생성은 보통 선택된 프로그램 경로를 실행하는 입력 값들을 식별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여전히 해결해야할 문제가 있다 그러한 문제들 중에 모양 문제가 있다. 모양 문제는 주어진 프로그램 경로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입력 자료구조를 밝혀내는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 이 모양 문제에 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주어진 경로를 포인터 역 참조가 없는 정적단일 할당문 (Static Single Assignment, SSA) 형태로 변환한다. 이는 주어진 경로 상에 존재하는 각 프로그램 문장을 등식이나 부등식과 같은 제약식으로 간주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제약식에 대한 해는 각 입력 변수에 대한 'points-to relation' 형태로 나타난다. 간단한 예들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6 자유도를 갖는 능동 자기베어링 시스템의 강인 퍼지 제어기 (Robust Fuzzy Controller for Active Magnetic Bearing System with 6-DOF)

  • 성화창;박진배;주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67-27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6 방향 자유도를 지닌 능동 자기베어링 시스템의 강인 디지털 퍼지 제어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6방향 자유도에 대한 기본 모델은 회전자 구조와 원뿔형의 능동 자기베어링 시스템의 자기력 간의 상관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구성된 모델은 비선형 동적방정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 입력 신호의 설계가 어려우며, 외부 환경의 영향에 따른 시스템 파라미터 변화율에도 많이 민감한 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획득한 동적방정식을 기반으로 TS 퍼지 모델에 기반 한 디지털 제어 목적에 적합한 구조로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말하는 제어 목적이란, 회전자의 회전을 외부의 물리적 접촉 없이 자기장의 힘만으로 동작하도록 베어링의 위치를 최대한 센터에 위치케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6자유도를 지닌 능동 자기베어링 시스템의 비선형성에 대한 해석 방안으로 퍼지 모델링을 통해 시스템을 재해석하게 되며, 외부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대응을 위하여 강인 제어기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제안된 강인 제어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검증된다.

$H_2$, $H_{\infty}$, and mixed $H_2/H_{\infty}$ FIR Filters for Discrete-time State Space Models

  • Lee, Young-Sam;Jung, Soo-Yul;Seo, Joong-Eon;Han, Soo-Hee;Kwon, Wook-Hyu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신호처리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4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이산형 상태공간 모델에 대한 $H_2$, $H_{\infty}$, 및 혼합 $H_{\infty}$ FIR 필터를 선형행렬부등식(LMI)를 이용하여 제안한다. 제안되는 필터는 FIR 구조로서 $H_2$$H_{\infty}$ 관점에서의 성능기준을 만족함과 더불어 선형성 및 불편향성의 특성을 지니고, 초기 상태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FIR 구조로 인해 기존의 FIR 형태의 필터에 비해 불확실성에 대해 보다 견실하며 빠른 수렴성을 갖는다. 모의 실험을 통해 이러한 장점을 예시한다.

  • PDF

학교수학에서의 대수적 구조 지도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teaching of algebraic structures in school algebra)

  • 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67-382
    • /
    • 2005
  • 본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대수적 구조(군)의 지도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Bruner가 제시한 지식의 구조에 대해 논의하고, 그 내용을 학교대수의 지도와 관련지어 살펴본다. 또한 대수적 구조 가운데 군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Piaget, Freudenthal, Dubinsky, Burn 등의 논의에서 검토해본다. 그리고 초등수학에서부터 고등학교 수학까지 군 개념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학교수학에서 군 개념과 관련된 내용은 초등수학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초등수학의 경우 항등원, 교환법칙, 결합법칙 등을 수의 맥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중학교 수학에서는 덧셈과 곱셈 연산에 있어서 항등원, 역원, 교환법칙, 결합법칙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규칙은 등식의 성질과 이항, 일차방정식의 풀이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이항연산을 비롯한 여러 영역에서 군 개념을 포함하는 대수적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이에 비해 학교대수에서는 이러한 주제들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각각의 내용이 독립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대수에서 군 개념과 관련된 내용들을 검토함으로써 대수적구조(군) 측면에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해보고자 한다.

  • PDF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에 대한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Algebraic Thinking by Third Graders)

  • 방정숙;최인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3호
    • /
    • pp.223-247
    • /
    • 2016
  • 초등 수학 교육에서 대수적 사고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3학년 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대수적 사고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와 문제해결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나라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대수적 사고 요소를 성취기준이나 지도상의 유의점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암묵적으로 지도되는 실정이기 때문에, 대수적 사고 요소를 강조한 외국의 사례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의 특징을 파악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연구 결과 대체적으로 대수적 사고 요소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 선행 연구의 집단과 유사하게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반면 우리나라 학생들이 사용한 해결 전략의 특징으로 등식과 방정식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구조적인 전략 보다는 계산적인 전략이 주도적으로 나타났으며, 대수식을 나타낼 때 등호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수를 도출하려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대수적 사고의 지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