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등속성 운동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1초

등속성 근력측정 시 Hip Joint Angle에 따른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의 단축성과 신장성 근력 차이 (Difference in Quadriceps and Hamstring torque during exercise with concentric and eccentric contractions according to hip joint anglet)

  • 김의영;이종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0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등속성 운동수행 및 측정시 hip joint angle에 따라 대퇴근육의 concentric 과 eccentric 근력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등속성 기기 의자 등받이 경사각도를 $100^{\circ}$, $120^{\circ}$, $140^{\circ}$에서 peak torque를 검사하였다. 대상자는 20대 초반의 건강한 남자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등속성 기기(Isomed 2000, Germany)를 이용하여 seated position에서 $60^{\circ}/s$ 의 각속도를 사용하여 검사를 수행하였다. 측정순서는 등속성기기 의자 등받이 경사각도 $100^{\circ}$, $120^{\circ}$, $140^{\circ}$ 순으로 2-3일 간격으로 진행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각각의 hip angle에 따른 단축성과 신장성 peak torque 값의 차이는 one-way ANOVA(3R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고, 사후검증은 Tukey를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 대퇴사두근의 단축성 근력은 등속성 기기 의자 등받이 경사각 $100^{\circ}$, $120^{\circ}$, $140^{\circ}$사이에 유의한 차이(p=.000)가 나타나 사후 분석결과 $100^{\circ}$$120^{\circ}$ 사이(p<.01) 그리고 $100^{\circ}$$140^{\circ}$ 사이(p<.001)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신장성 근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햄스트링의 단축성 근력은 3종류의 hip angle사이에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나 사후분석결과 $100^{\circ}$$140^{\circ}$사이(p<.05) 그리고 $120^{\circ}$$140^{\circ}$ 사이(p<.01)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그러나 신장성 근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등속성 운동수행 및 근력측정 시 hip joint angle 에 따라 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의 단축성 근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hip joint angle을 고려하여 대퇴근육의 운동및 측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구선수들의 극하근 근위축이 어깨 관절 회전근력과 운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rophy of the Inpraspinatus on Strength and ROM in Shoulder Joint of Male Volleyball Players)

  • 이병권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49-55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극하근 근위축이 배구선수들의 등속성 최대토크와 운동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극하근의 근위축 소견이 있는 선수 3명, 근위축 소견이 없는 선수 5명을 대상으로 등속성 근력측정기기인 Biodex와 동작분석기기 Simi-Motion을 이용하여 측정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극하근의 근위축이 있는 그룹과 없는 그룹 사이에 어깨 관절의 외회전 등속성 최대토크, 내회전에 대한 외회전 등속성 최대토크 비율 그리고 내회전 회전 운동범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구선수들의 극하근의 근위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깨 관절의 기능을 고려한 외회전근의 근력강화 훈련이 중점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어깨 관절 후부 조직에 대한 유연성 훈련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무릎관절 정적 스트레칭 빈도에 따른 등속성 근력의 급성 효과 (Acute Effect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Related to the Static Stretching of Knee Joint)

  • 임승건;김창국;이윤섭;한진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47
    • /
    • 2008
  • 본 연구는 정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등속성 기구를 이용하여 무릎관절 신근 정적 스트레칭 빈도에 따른 등속성 변인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스트레칭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45명의 대상자를 무작위 추출하여 3 Group 으로 각각 15명씩 나뉘었고, 우세측 다리의 무릎관절 신근 스트레칭으로 이루어진 4가지 정적 스트레칭 운동을 순서대로 각각 2회, 4회, 6회 실시하였다. 스트레칭이 끝나면 등속성 근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paired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정(Duncan)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스트레칭이 급성 등속성 근력의 저하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트레칭 빈도에 따른 근력 변화에 있어선 4회 스트레칭 집단에서 보다 효과적인 근력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강한 근력을 필요로 하는 경기에 있어서 근육의 능력을 상실하지 않는 적절한 스트레칭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복합운동처치가 태권도 선수의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to Knee Joint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the Taekwondo Athlete)

  • 최경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0-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남자 고등부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등장성운동과 등척성 등장성운동을 혼합하여 복합 훈련을 실시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등속성 근 기능 중 최대우력, 동측근력비율, 양측근력비율, 근지구력을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나타내었다. 첫째, 최대우력은 좌우측 신굴근 모두에서 등장성 운동집단에 비하여 복합 훈련집단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측근력비율, 근지구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전후에 차이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양측근력비율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전후에 차이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서 태권도 선수들의 경기력 증가를 위한 주요 체력요소인 평형능력, 근 지구력의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등장성 운동과 복합훈련 중 어떠한 방법으로 실시하여도 근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운동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등척성 운동과 등장성 운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을 경우 최대우력이 등장성운동을 실시한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현상으로 보면 태권도 발차기의 파워를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을 복합적으로 실시하는 운동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누리다 볼 운동이 중년 남성의 근기능, 척추정렬 및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ida-Ball exercise on muscle function, spinal alignment, and dynamic balance capacity in Middle-Aged Men)

  • 최동훈;김태경;박재명;정종환;염동철;조인호;조준용;구정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56-1566
    • /
    • 2020
  • 본 연구는 8주간의 누리다 볼 운동이 중년 남성들의 등속성 근기능, 척추 정렬 및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년 남성(n=16)을 공 운동 그룹(BE, n=8)과 비교 그룹(CON, n=8)으로 구분하였으며 BE 그룹은 하루 30분, 주 3회, 총 8주간 누리다 볼 운동을 실시하여 등속성 슬관절 및 체간의 근 기능, 척추 정렬 및 동적 균형 능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모든 변인들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Shapiro-Wilk test를 이용하여 정규성 검증을 확인하였다. 이후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독립(Independant) t-test 방법과 대응(Paired) t-test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등속성 슬관절 및 체간 근 기능은 CON 그룹과 비교하여 BE 그룹에서 좌측과 우측의 슬관절 신전근의 피크파워(%BW, 60°/sec, p<.001, respectively), 좌측과 우측 슬관절 신전근의 평균파워(%BW, 60°/sec, p<.05, p<.001, respectively), 우측 슬관절 굴골근의 피크파워(%BW, 180/sec, p<.05) 및 우측 슬관절 신전근의 평균파워(%BW, 180°/sec, p<.05)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속성 체간의 근 기능 변화량은 CON 그룹과 비교하여 BE 그룹에서 신전근의 피크토크(%BW, 180/sec, p<.05)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리다 볼 운동은 몸통 앞뒤 기울기를 감소시켜 척추 정렬을 일부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마지막으로 CON 집단과 비교하여 BE 집단에서 동적 균형 능력은 6 단계의 전체균형지수(p<0.01), 전후균형지수(p<0.05) 및 1단계의 전체균형지수(p<0.05)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연구를 종합해 보면 누리다 볼 운동은 중년 남성들에게 있어 등속성 근 기능, 척추 정렬 및 동적 균형 능력과 같은 건강 관련 체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 기구라고 사료되며, 향후 운동의 형태(강도, 빈도 등)를 다양하게 적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키네시오 테이핑이 고령자의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inesio Taping 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and Pain of Knee Joint in Elderly Women)

  • 방희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26-234
    • /
    • 2006
  • 본 연구는 테이핑 요법이 슬관절의 등속성 기능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슬관절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65{\sim}70$세 여성 노인 12명을 대상으로 슬건근, 대퇴사두근, 슬개골 부위에 폭 5cm의 테이프를 8주 동안 주당 3회씩 총 24회를 적용시킨 후 등속성 근 기능인 최대근력, 상대근력, 근 지구력(총 운동량), 근 지구력(운동피로도), 동측 근력 비율, 주관적 통증정도인 시각적 상사 척도와 구술적 평정 척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8주간의 테이핑 요법 후 최대근력, 상대근력, 근지구력(총 운동량), 동측근력비율은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5; p<.01), 근지구력(운동피로도) 및 시각적 상사 척도와 구술적 평정 척도 점수가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 PDF

걷기운동이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 이종복;김종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27-435
    • /
    • 2009
  • 본 연구는 일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걷기운동이 근기능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주4회 8주간 속보 트레이닝 참여에 따른 하지근력의 최대 힘효율과 평균 파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60^{\circ}/sec$의 최대 힘효율, 평균파워는 신근과 굴근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8주 전후 트레이닝은 최대 힘효율, 평균파워는 증가하였다. 둘째, $120^{\circ}/sec$의 최대 힘효율, 평균파워는 신근과 굴근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8주 전후 트레이닝은 최대 힘효율, 평균파워는 증가하였다. 셋째, $180^{\circ}/sec$의 최대 힘효율, 평균파워는 신근과 굴근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8주 전후 트레이닝은 최대 힘효율, 평균파워는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걷기 운동은 등속성 근기능의 굴근과 신근의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차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부하와 계획을 등속성 근기능의 평가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12주의 어깨 안정성 회복 프로그램이 견관절 불안정성 야구선수의 관절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12-week Shoulder Stability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of Baseball Players with Shoulder Instability)

  • 윤진호;오재근;송기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77-286
    • /
    • 2021
  • 이 연구는 12주간 재활 운동프로그램이 어깨 불안정성을 가진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의 관절가동범위와 근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어깨 불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재활 운동군 12명과 정상 운동군 13명을 선정하였다. 12주간 재활운동 참가 전·후 내·외회전 관절가동범위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등속성 근력은 이원변량 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 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불안정이 있는 우위측과 비-우위측 어깨의 경우 재활운동 전·후 내회전 ROM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Total ROM의 경우 불안정이 있는 우위측 어깨에서 재활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했다. 등속성 근력의 경우 재활운동 후 내회전 근력이 각속도 180°/sec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12주간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어깨 불안정성 환자의 ROM, 근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한적 결과에 미루어 재활기간의 연장을 전제로 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에서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의 목뿔위 및 목빗근 활성 비교 (Comparison of Chin Tuck Against Resistance and Shaker Exercise on Suprahyoid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in Stroke Older Patients with Dysphagia)

  • 김본이;이슬;문종훈;원영식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79-193
    • /
    • 2016
  •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은 목뿔위근의 강화를 사용되는 중재법이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들 대상으로 두 운동을 비교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노인 환자에게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이 목뿔위근, 목빗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명의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가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가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등척성, 등속성), shaker 운동(등척성, 등속성)을 순서대로 수행하였으며, 10회 반복하였다. 저항성 고개 숙이기를 수행한 후, 대상자들은 근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5분간 휴식을 하였다. 두 운동 동안 목뿔위근과 목빗근의 활성을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은 그룹 내 저항성 고개 숙이기와 shaker 운동에서 근활성에 대한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은 목뿔위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은 shaker 운동보다 목빗근에서 유의하게 낮은 활성을 보였다(p<.05).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환자에게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이 shaker 운동보다 삼킴 기능 향상을 위한 더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