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들깨박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I)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Perilla Flour on Soybean Oil)

  • 조희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1999
  • 탈지들깨박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시판 합성항산화제인 BHA, AP, TBHQ와 비교하였다.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 추출물은 유리형, 에스터형, 불용성페놀산이 각각 213, 133.1, 89.4mg/100g으로 유리형이 가장 높았으며, 유리형 페놀산에는 6종류의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터형과 불용성 페놀산에는 각각 3종류와 2종류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탈지들깨박 중의 3가지 형태의 페놀산의 항산화력은 유리형이 가장 켰고 에스터형, 불용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리형 페놀산 group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들깨박 페놀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 약했으나 BHA나 AP(0.02%) 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탈지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제조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에의 활용 (Preparation of enzymatic hydrolysate from defatted perilla seed residue and its application to Leuconostoc mesenteroides cultivation)

  • 신영섭;이태정;인만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97-10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들깨(Perilla frutescens)박으로부터 효소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효소를 선별하여 최적의 반응조건을 확립하였다. Alcalase와 Ceremix의 동시 처리가 들깨박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가용화에 효과적이었으며, 효소 사용량은 들깨박 중량의 2% (w/w), pH는 7.0, 반응 시간은 2시간이 적당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에서 들깨박을 Alcalase와 Ceremix로 처리한 결과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 라디칼과 양이온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확인한 결과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하였다. 또한 젖산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310-12 균주를 들깨박 효소분해물에서 배양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생육과 산의 생성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들깨박 효소분해물은 항산화 생리활성 소재로서뿐만 아니라 유산균 배양 배지로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효소처리에 따른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nzyme Hydrolysates in Ethanol Extracts from Sesame, Black Sesame and Perilla cake)

  • 손종연;장성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7-4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그들의 효소분해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함량,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측정,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116.90, 102.20 및 141.90 mg/g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10, 32.00 및 131.90 mg/g이었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 추출물의 효소분해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13.30, 221.20 및 409.10 mg/g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361.80, 103.30 및 345.80 mg/g이었다.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및 금속제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보다 효소분해물에서 더 높았다.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Ferrous ion chelating 효과의 크기는 들깨박 > 참깨박 > 흑참깨박의 순이었으며, 아질산염소거능(pH 1.2)의 크기는 참깨박 > 들깨박 > 흑참깨박의 순이었다.

들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rutescens)

  • 강현;이성규;송갑정;정문석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0-74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들깨 부산물의 이용가치를 높이는 방법으로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collagenase와 elastase 활성의 저해작용을 통하여 항노화 활성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그 외에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연구도하였다. 방법: 들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기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DPPH 자유기의 소거능력을 분석하여 electron spin resonance (ESR)를 광도계로 측정하였다. 결과: 들깨박의 에탄올 추출물의 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자유기 소거의 항산화 기능은 추출물 농도 10 ㎍/ml에서는 약 68%, 20 ㎍/ml에서는 85%, 40-100 ㎍/ml에서는 90% 이상의 자유기의 소거 활성을 보여서 항산화능이 있음을 나타냈다. collagenase의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는 4.1%, 40 mg/ml에서는 12%, 100 mg/ml에서는 26.7%로 증가하였다. 저해활성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elastase의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농도 20 mg/ml에서는 3.8%, 40 mg/ml에서는 15%, 80 mg/ml에서는 28%, 100 mg/ml에서는 35.7%로 증가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들깨박의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효과, collagenase와 elast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피부의 노화와 주름의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본다.

  • PDF

탈지들깨박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Deffated Perilla Seed Flour)

  • 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4
    • /
    • 1993
  • 탈지들깨박으로부터 추출한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페놀화합물들의 항산화효과를 일반 시판용 합성항산화제들과 비교하였다. Chlorogenic acid를 표준물로써 비색법으로 측정한 페놀화합물들의 총함량은 0.75%였고 총페놀산중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페놀산 추출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7.5, 7.5, 5.0%였다. 이차원 전개법에 의한 paper chromatography 성분분석 결과 유리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대부분의 폐놀화합물이 chlorogenic acid와 일치하였고 소량의 caffeic acid와도 일치되었으나, 페놀산 에스터와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0g의 탈지들깨 종자박에서 추출된 각 형태의 페놀산 추출물들은 각각의 페놀함량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0.02%(w/w) 농도로 첨가된 BHT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 PDF

패모, 어성초, 쇠비름 및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용매 분획별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ome Edible Plant Solvent Extracts with Various Synergists)

  • 이연재;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3-688
    • /
    • 1993
  • 예비 실험 결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패모, 어성초, 쇠비름 그리고 들깨박의 75%ethanol 추출물을 얻고 이를 다시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그리고 물 순으로 용리, 분획물을 얻고 이들과 함께 tocopherol, citric acid, ascorbic acid를 팜유와 돈지에 첨가, Rancimat으로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쇠비름 추출물이 돈지에 대한 산화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AI 1.41)모든 실험 식물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불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고 synergist로서는 ascorbic acid가 우수하였고 ${\delta}-tocopherol$을 혼합시에도 효과가 상승하였다. 패모, 어성초, 쇠비름의 ethyl acetate 분획층과 ascorbic acid 200ppm씩을 팜유에 첨가하였을 때 antioxidative index(AI)는 각각 1.60, 1.53 그리고 1.47이었고 쇠비름과 들깨박 ethyl acetate 분획층과 ${\delta}-tocopherol$ 200ppm씩을 돈지에 첨가했을 때 AI는 각각 3.19 및 3.63으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 PDF

탈지들깨박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 윤석권;김정한;김재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64
    • /
    • 1993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eroxide value of perilla oil during storage at $45^{\circ}C$.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also compared with BHA, BHT and tocopherol.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also examined in corn oil and lard. The ethanol extracts contents of defatted perilla flour and the original perilla seed were 7.69 and 4.56%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superior to that of 0.02% BHT, BHA and tocopherol in the perilla oil substrate, merely in concentration of one-twentieth as much as that contained in original perilla oil seeds. The fractions of non-polar solvent (hexane and chloroform) obtained from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are less effective than that of polar solvent as an antioxidant. Antioxidant activity of partially purified ethanol fraction is slightly inferior to that of original crude ethanol extracts. Ethanol extracts were also effective in corn oil and lard almost same as in perilla oil. The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of crude ethanol extracts and partially purified ethanol fraction were 9.3, 6.4%, respectively.

  • PDF

볶은 들깨박으로부터 암예방효소계 활성성분의 분획 (Fractionation of Anticarcinogenic Enzyme Inducer(s) from Roasted Perilla)

  • 홍은영;강희정;서명자;남영중;권정숙;김정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197
    • /
    • 1997
  • 볶은 들깨박에 존재하는 항암효소계 유도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용매분획과 preparative TLC를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암예방지표효소인 quinone reductase와 AHH 유도활성을 조사하였다. 볶은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QR을 측정한 결과 chloroform층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들깨박 메탄올 추출물을 TLC로 분리한 분획가운데 QR과 AHH유도활성은 F1$(R_{f}=0.8)$에서 가장 높았으며, 항산화능은 F1$(R_{f}=0.8)$과 F2$(R_{f}=0.7)$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나 QR유도성분과 항산화성분이 동일성분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Mouse hepatoma 세포를 이용한 농산부산물로부터 quinone reductase활성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Quinone Reductase Inducers from Agricultural Byproducts Using Mouse Hepatoma Cell Line)

  • 김정상;남영중;김주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2-977
    • /
    • 1995
  • Quinone reductase(QR)를 포함한 2상효소계를 활성화시키는 성분들은 많은 동물실험에서 발암물질의 세포내 작용을 억제함으로서 항종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농산부산물로서 미강, 밀기울, 탈지대두박, 두유박, 참깨박, 들깨박등 6종의 시료에 대한 암예방효과를 갖는 물질의 존재여부를 탐색하기 위하여, mouse hepatoma cell line(Hepalclc7 cells) 을 이용하여, quinone reductase활성유도 여부를 측정하였다. 참깨박과 들깨박의 80%메탄올 추출물은 0.5mg/ml 농도에서 강력한 QR 유도활성을 나타냈으며, 같은 농도에서 다른 시료들은 거의 QR 효소활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한편 QR효소활성을 유도하는 성분을 찾아내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TLC를 수행한 결과, 참깨박과 들깨박의 메탄올 추출물 가운데 사용한 전개용매(n-butanol : n-propanol : 2N ammonium hydroxide(10 : 60 : 30)에서 가장 빨리 이동하는 분획(Rf=0.70)이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현재 활성성분의 동정이 진행중에 있다.

  • PDF

탈지(脫脂) 콩, 참깨 및 들깨박(粕)의 에탄올 추출물(抽出物)의 콩기름-물 기질(基質)에서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of Defatted Soybean, Sesame, and Perilla Flours in a Soybean Oil-Water Emulsion System)

  • 김은희;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3-288
    • /
    • 1981
  • 콩, 참깨 및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에탄올추출물(抽出物)의 산화방지(酸化防止)효과(效果)를 콩기름-물 유탁액기질(遺託液基質)에서 0.02% BHT의 효과(效果)와 비교하고자 했다. 추출물(抽出物) 및 BHT가 들은 기질(基質)과 control을 $46.0{\pm}0.5^{\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 과산화물(過酸化物)값(POV)과 TBA값을 정기적(定期的)으로 측정하였다. 콩, 참깨 및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추출물(抽出物) 및 BHT가 들은 기질(基質)과 control의 저장 25일후의 과산화물(過酸化物)값(평균치(平均値))은 43.3, 22.6, 21.5, 38.6과 80.1였으며, 저장 20일후의 TBA값은 가각 0.91, 0.67, 0.68, 0.38과 0.62였다. 콩, 참깨, 들깨의 탈지박(脫脂粕)의 추출물(抽出物)은 유탁액기질(遺託液基質)에서 상당한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果)를 보였다. 특히 참깨와 들깨의 경우, 그 효과(效果)는 0.02% BHT보다 훨씬 컸었다. 추출물(抽出物)이 들은 기질(基質)의 TBA값은 예상외(豫想外)로 컸으나, 이는 탈지박(脫脂粕)에서 추출(抽出)된 일부(一部)화합물(化合物)들이 TBA 값 측정(測定)에 간섭(干涉)한 결과(結果)로 추측(推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