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드 모르간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드 모르간 틀 (De Morgan Frames)

  • 이승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3-84
    • /
    • 2004
  • 스톤은 스톤 쌍대성에 의하여 완비 불 대수는 극단적으로 비연결인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에 대응되어 불 대수의 범주 Bool에서 단사 대상은 완비 불 대수인 사실에 의하여 0차원 콤팩트 공간의 범주 ZComp의 사영 대상은 극단적으로 비연결인 콤팩트 공간임을 증명하였고, 완전 정규 공간 X가 극단적인 비연결 공간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X에서 실직선로의 연속함수의 순서집합 C(X, )이 데데킨트 완비인 사실[6]이 드모르간 틀에서도 성립함을 증명하였다[2]. 이 논문에서는 드 모르간의 역사를 조사하고, 드모르간 틀을 도입하여 극단적인 비연결 공간과의 관계와 드 모르간 틀과 불 대수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다.

  • PDF

드 모르간의 수학교육 철학과 교수법의 재조명 (De Morgan's Thoughts and Pedagogics of Mathematics Education)

  • 손홍찬;고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5-190
    • /
    • 2007
  • 드 모르간은 집합 단원에서 나오는 이름으로, 학생들에게 널리 알려진 수학자이다. 그는 19세기 영국의 대수학과 논리학에 영향을 끼치는 등 매우 폭넓은 연구업적을 남긴 수학자임과 동시에 위대한 수학 선생이기도 하였던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드 모르간의 생애와 수학에서의 업적을 간단히 살펴본 후, 그의 수학교육에서의 철학과 교수법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훌륭한 수학 교사가 갖추어야할 사항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 PDF

드 모르간이 위대한 수학 교육자가 되기까지 : UCL의 사회적, 제도적, 간학문적 맥락 속에서 순수 수학 교육 바라보기 (From a Young Mathematics Professor to a Great Mathematics Teacher: Considering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Education of Pure Mathematics in the Social, Institutional and Interdisciplinary Contexts of UCL)

  • 조수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09-143
    • /
    • 2011
  • 1820년대 말에 런던대학칼리지의 초대 수학 교수가 되었던 드 모르간은 인접 분야인 자연철학 분야의 독특한 특징, 런던대학칼리지 학생들의 학업 수준 및 관심, 그리고 수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들 속에서 자연스럽게 수학 '교육'의 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수학 분야들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려는 과정에서 다른 무엇보다도 수학의 기본 원리 및 개념들을 명확하게 이해시키고, 수학적 논의들을 엄밀하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설명하는 데 집중하였다. 그가 연구자로만 남아 있을 수 없었던 상황에서, 그의 수학 교육은 UCL의 사회적 제도적 특징들, 수학 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들, 그리고 인접 분야와의 관계 속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발전해 나가는 것이었다.

초속경 건식 스프레이드 모르타르 보수재료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Study on Very-Early-Strength Dry Sprayed Mortar for Repair)

  • 안상혁;최성용;윤경구;김기헌;김용곤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241-242
    • /
    • 2010
  • 본 연구는 건식 스프레이 모르타르를 적용한,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재료 개발을 위한 기초 물성 실험을 실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 PDF

실란계 혼화제를 활용한 소수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물성 연구 (A Study on the Fundamental Mechanical Properties of Hydrophobic Cementeous Mortar using Silane Admixtures)

  • 오홍섭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79-8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폴리비닐 알코올 계면활성제와 폴리메틸 하이드로 실록산을 혼합하여 에멀젼 형태의 소수성 혼화제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모르타르의 강도와 역학적 성질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소수성 혼화제는 강도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화마그네슘 혼입 모르타르는 조기에 강도가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밀성의 경우에는 모르타르에 소수성 혼화제를 직접 배합한 경우에 투수계수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메타카올린에 의한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표면의 소수성은 표면을 코팅한 시편에서 접촉각이 증가하여 소수성 표면을 만드는 것은 확인되었으며, 혼화제에 사용된 섬유와 메타카올린의 혼입율이 최적화되지 않아 초소수성 표면을 갖지는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치유 재료 혼입 모르타르 보의 자기치유 성능 평가 (Evaluation of Self-Healing Performance for Mortar Beams Containing Self-Healing Materials)

  • 신동익;무하마드 하룬;민경성;이광명;이정윤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67-7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자기치유 재료 혼입 모르타르 보의 자기치유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에는 일반 모르타르 보 실험체와 자기치유 모르타르 보 실험체가 사용되었으며,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내력 및 균열의 자기치유 효과를 비교하여 자기치유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자기치유 재료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가 일반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보다 작았지만 28일 압축강도에 대한 118일 압축강도 비율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실험체의 내력은 재령일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일반 모르타르 실험체는 균열이 발생할 경우 재령일이 증가하여도 하중은 회복되지 않았으나 자기치유 모르타르 실험체의 경우 반응 생성물의 영향으로 내력이 다소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균열폭은 두 종류의 실험체 모두 치유기간이 지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자기치유 모르타르 실험체에서만 반응생성물이 관찰되었다.

식물성 폐지방산을 이용한 시멘트 분쇄조제와 분쇄특성 (Grinding Aids for Portland Cement Clinker by Waste Vegetable Fatty Acids And Grinding Characteristics)

  • 이기준;홍성선
    • 시멘트
    • /
    • 통권130호
    • /
    • pp.26-34
    • /
    • 1993
  • 분쇄에 드는 비용을 줄이면서 제품의 성능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몇 가지 분쇄조제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anolamine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쇄조제는 환경오염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유해성 첨가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분쇄조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지공장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몇 가지 물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분쇄조제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분쇄조제는 입도분포, 비표면적 증가, 경제성을 고려하여 희석한 상태로 $0.03\%$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 분쇄조제 DEG, S-3 및 S-4를 첨가한 경우 Blaine 값 3,100$cm^2/g$에 도달하는 시간은 30분이 소요되므로 분쇄조제의 첨가는 효과가 있다. (3) 분쇄조제 S-3, S-4가 입도분포상 양호하고 분쇄효율은 S-3이 우수하다. (4) S-3>S-4>DEG순으로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킨다.

  • PDF

카테콜 작용기를 함유한 키토산 고분자 혼입율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 변화 (Synthesis of catechol-conjugated chitosan and its application as ana dditive for cement mortar)

  • 최회영;최세진;고혜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5-256
    • /
    • 2022
  • We synthesized catechol-conjugated chitosan (CCC) to study its usefulness as a construction material additive in cement mortar. The degree of catechol conju-gation (DOCcat) of the synthesized CCC was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14% by UV-vis and 1H NMR spectroscopy. Furthermore, the hydroxyl and amine groups in CCC could play a crucial role in hydrogen bonding, metal coordination, and cross-linking processes via interaction with adducts from cement mortar. In this study, we observedanimprovement in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absorption rate, suggesting that CCC is a promising candidateforhigh-performance cement mort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