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릴직경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valuation of Pull-out Performance of Torsion Control Expansion Anchor According to Drill Bit Diameter (드릴비트 직경에 따른 비틀림 제어 확장 앵커의 인발성능 평가)

  • Kyoung-Hun Chae;Tae-Wo Park;Moo-Won Hur;Yeong-Seung An;Ju-Yeon 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7 no.1
    • /
    • pp.64-70
    • /
    • 2023
  • In this study, reliability tests of torsion control expansion anchors according to drill bit diameters were performed. The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anchor were reviewed through the tests for each variable,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with the standard test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est of the M12 and M16 anchors with 1.04 times the drill bit diameter, they were within 20% of the ultimate tensile load permissible standard coefficient of variation. It was found that the pulling-out performance of the anchor installed in the large hole was sufficiently secured. However, it was found to be about 253% and 210% of the design strength, indicating that the pulling performance of the anchor installed in 1.04 times the drill bit diameter was sufficiently secured.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test of the M12 and M16 anchors with 1.02 times the drill bit diameter, the value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ultimate tensile load limit was within 20%, which satisfies the test standard. It was shown to be about 136% and 168% of the design strength, indicating that the pulling-out performance of the anchor installed in 1.02 times the drill bit diameter is sufficiently secured.

A Study on the PCB(Printed Circuit Board) Drilling by Air Bearing Spindle (공기 베어링 스핀들을 애용한 PCB 드릴링에 관한 연구)

  • Bae Myung-Il;Kim Sang-Jin;Kim Ki-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2 no.3 s.168
    • /
    • pp.15-20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the PCB drilling using an ultra high-speed air bearing spindle system and micro drill. For this research, we have developed the ultra high-speed air bearing spindle of 125,000 rpm and made an experiment for the application possibility in the PCB drilling. In order to estimate the drilling performance, we have investigated the size and damage of drilled hole, and the wear of drill at 90,000rpm. Results are as follows; we have confirmed the possibility in the PCB drilling of air bearing spindle. In case of micro-drilling PCB at $0.1mm\sim0.3mm$,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rilling has resulted in a bigger size of holes and also a bigger size of damage. It has been found that the wear of micro drill tends to concentrate in the main cutting edge.

미소경 드릴링 머신의 시작과 절삭현상의 연구

  • 백인환;정우섭;이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66-70
    • /
    • 1993
  • 미세드릴가공은 드릴 직경의 소경화로 발생하는 공구강성저하, 지동 발생, 칩배출 곤란 등으로 인해 수많은 기계가공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가공 중의 하나이며 이로인해 설계의 단계에서 가능한 피하고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근래 각종 제품의 소형 경량화 추세가 일어나면서 미세구멍가공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시계부품, 소형 정밀 부품, 연료분사용 노즐, 광파이버 관련품, 우주항공기 부품 등에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전기.전자 공업의 발달과 함께 등장한 표면실장기술(SMT)은 프린터 배선기판의 고밀도화를 더욱 진전시켰으며 이는 구멍밀도, 구멍지름의 미소화 등 미세구멍가공 관점에서 보완해야 할 기술적인 과제를 남겨 놓았다. 본 연구는 미세드릴가공의 메카니즘을 규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여 미소경 드릴링 머신을 개발하는 데 주력함과 동시에그 절삭현상의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BTA에 의한 심공가공시 가공면 형상에 관한 연구

  • 장성규;조규재;전언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182-187
    • /
    • 1994
  • 트위스트 드릴을 사용한 구멍은 구멍가공중 가장 경제적인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트위스트 드릴에 의한 가공은 길이에 대한 구멍경의 비가 한정되어 있다. 깊이/직경(L/D)의 비가 통상 5배 이상의 경우의 적절한 가공방법은 거압력의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는 공구를 사용하여 가공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방법은 Long drull, Gun drill, BTA drill 및 Ejector drill등이 있다. 이들 방법중 BAT drill은 다른 가공공구에 비하여 우수한 가공능율을 갖고 있다. 그러나 BAT드릴에 의한 심공가공은 1회 가공에 의하여 요구되는 품질을 만족시켜야 함으로 이에 대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BAT드릴링 시스템에 BAT drrill을 사용하여 심공가공할때 공작물의 형상 즉 표면 거칠기 및 지원도등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PDF

BTA공구에 의한 드릴가공시 최적절삭조건과 공구수명에 관한 연구

  • 장성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75-79
    • /
    • 1996
  • 가공품 중에서 구멍가공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으며 또한 가공정밀도가 요구되어진다. 그러나구멍의 직경에 비하여 길이가 길어지면 칩의 배출, 절삭날부의 윤활이 어려워지고, 공구의 진동문제가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공으로는 불가능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에 적절한 가공방법은 고압력의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는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Spade Drill, Gun Drill, 및 BTA Dill에 의한 깊은구멍가공봅이다. 본 연구에서는 Single Tube BTA 드릴링 시스템에서 Single Edge BTA Drill을 사용 하여 깊은 구멍을 가공할 때 공작물 SM55C의 최적절삭 조건의 선정과 공구수명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분석 하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igital investigation equipments for underground telecommunication conduit (통신용 지하 관로의 품질 측정을 위한 디지털 관로 조사장비 개발)

  • Kim, Dong-Hun;Han, Jin-Wo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229-237
    • /
    • 2005
  • 통신용 지하 관로는 대부분 내경 100mm인 PVC 재질로 되어 있으며, 지하에 매설한 후 또는 관로를 사용하기 전에 관로 상태의 정상 유무를 확인할 목적으로 맨드릴(직경 90mm)을 이용한 선통 검사로 정상 관로와 불량 관로를 판단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조사 대상 관로의 불량 원인을 밝힐 수 없을 뿐 아니라, 복수 개소의 불량 지점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관로 보수나 사용을 위한 기본적인 관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관로 조사장비를 개발하였으며, 관로 내부를 따라 관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관로 내부의 변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거나, 관로 벽에 조사된 레이저 빔 영상을 검출하여 관로 단면의 최소 직경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맨드릴은 1mm 간격으로 관로의 내경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가 설치되어 있어, 실시간으로 관로 단면의 최소 직경을 측정할 수 있어 조사 관로의 전반적인 변형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관로 조사장비를 이용하여 신설 관로의 시공품질을 측정하거나, 기존 관로의 상태를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관로 상태에 따른 케이블 포설 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불량 관로 보수를 위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여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複合構造의 結合

  • 홍창선
    • Journal of the KSME
    • /
    • v.22 no.1
    • /
    • pp.9-14
    • /
    • 1982
  • 복합재료를 이용하여 부품제작을 한 후 어떠한 결합방법을 채택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고려해 야할 점을 기계적 결합법과 접착결합법을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기계적 결합은 하중을 많이 받고 분해 및 결합이 자주 예상되는 부품에 채택해야 할 것이며 복합재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강 시에 부착하는 평판의 섬유방향은 가급적 드릴구멍주위를 부드럽게 하여 응력집중을 낮출 수 있으며 하중의 종류에 따라 적층의 섬유방향을 조절함으로서 응력집중을 조절할 수 있다. 드릴 구멍 주위인 파손은 평판의 폭과 구멍의 직경등이 크게 작용함으로 강도해석을 할 경우에 응력 해석을 한 후 허용응력등을 결정해야할 것이다. 접착졀합법은 작업이 간단하나 신뢰도가 떨어지 므로 하중을 많이 받는 구조물에의 사용에 주의를 요하며 설계방법도 매우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어 선택함에 있어 하중 환경조건등을 점검해야할 것이다. 접착결합법은 드릴구멍같은 불연속 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응력집중이 생기지 않으나 접착층의 길이등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으로 잡착층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복합재료의 이방성인 성 질을 감안하여 접착층에 이웃하는 피접착층의 섬유방향에 주의해야 하며 층간응력이 파손에 미 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에 임해야 한다.

  • PDF

특집 : 레이저 기반 초정밀 초고속 가공시스템 - PCB pattern 미세화에 따른 UV laser driller의 개발

  • Park, Hong-Jin;Seo, Jong-Hyeon
    • 기계와재료
    • /
    • v.22 no.1
    • /
    • pp.22-29
    • /
    • 2010
  • 최근 휴대폰 등 모방일 전자기기 산업에서 차세대 고부가 PCB(MLB, HDI, FPC, 등) 및 고기능 PCB(COF, MOF, SOF)의 급속한 적용 확대로 직경$20{\mu}m$급의 비아홀(viahole) 및 interconnection 홀 가공을 위한 초정밀/초고속 레이저 드릴링 공정 및 장비기술 개발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반해 기존의 CO2 레이저 드릴링은 기술적 한계에 도달하여 시장의 요구에 대응이 불가하며, 선진업체에서는 최근 UV 레이저 드릴링 장비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특히 국내시장은 미국의 ESI사가 독점하고 있어 기술개발 투자를 통한 국산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당사에서는 초고속/초정밀 UV laser 시스템을 이용한 FPC iva hole drilling을 연구과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산화를 넘어서 세계시장점유를 목표로 공정장비개발을 진행중이다.

  • PDF

On the Machinability of CFRP Composites Dependent on the Number of Stacking and Drill Diameter (CFRP복합재료의 적층수와 드릴직경에 관한 연구)

  • 정성택;박종남;조규재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 /
    • v.12 no.6
    • /
    • pp.8-13
    • /
    • 2003
  • CFRP composite has a lot of merits such as mechanical characteristic, light weight and thermal resistance. For these merits CFRP is applied to so many industrial area. In order for the composite materials to be used in the aircraft structures or machine elements, accurate surfaces for bearing mounting or joints must be provided, which require precise machining.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ck thickness and drill diameter is examined from the drilling experiment, which is the drilling of 16, 32, 48p1ies specimen with the ${\phi}8$, ${\phi}10$, ${\phi}12mm$ cemented carbide drill. The results are analyzed with consideration of cutting force, stack thickness and drill diameter.

Drilling Characteristic of CFRP Composites depend on the number of stacking and drill diameter (CFRP복합재료의 적층수와 드릴직경에 따른 가공 특성)

  • 정성택;박종남;조규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90-195
    • /
    • 2003
  • CFRP composite has a lot of merits such as mechanical characteristic, light weight, and thermal resistance. For these merits CFRP is applied to so many industrial area.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ck thickness and drill diameter is examined from the drilling experiment, which is the drilling of 16, 32, 48 plies specimen with the $\phi$8, $\phi$10, $\phi$12mm cemented carbide drill. The results are analyzed with consideration of cutting force, stack thickness and drill diame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