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론물류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Precision Positioning Method of Drone Last-mile Delivery Technology in Urban Areas (도심에서의 드론 Last-mile 배송 기술의 정밀 측위 기법)

  • Kim, Kyuseo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5 no.1
    • /
    • pp.60-67
    • /
    • 2021
  •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U.S. are actively researching to commercialize the logistics services using drones. In Korea,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as well as logistics companies are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 logistics services using drones. However, there's an environmental difference for last-mile delivery between the U.S. and Korea. In Korea, more than 77% of the population lives in apartments and the population density is the 4th highest in the world. Accordingly, in terms of the logistics services using drone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it with the Korean suitable environment. In this paper, a precision positioning method of drone last-mile delivery in urban area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barometer is proposed.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detect a window within 2.5 meter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help improve the logistics services using drones in urban areas.

Utilization of Subway Stations for Drone Logistics Delivery in the Post-Pandemic Era (포스트 팬데믹 시대 드론 물류배송을 위한 지하철 역사의 활용방안)

  • Moon, Sang-Won;Lee, Han-Byeol;Kang, 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375-383
    • /
    • 2021
  • Due to COVID-19, people are building new lifestyles such as online shopping, online travel, and video conferencing by limiting going out and gatherings. Such rapid social change is causing new problems and deepening existing problems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as online consumption increases significantly, traffic congestion, air pollution, and the heavy workload of delivery drivers are deepening in the daily logistics industry, and face-to-face delivery is emerging as a new problem.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unmanned delivery using dron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nomous driving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logistics industry. However, space for logistics facilities and securing additional logistics sites due to drone flight are emerging as new problems to be solved. Therefore, it is intended to link additional services such as logistics movement, storage, and delivery by utilizing the existing transportation business, the subway, as a space for a logistics facility for drones that can solve existing problems and new problems.

Trends in Logistics Delivery Services Using UAV (드론 물류 배송 서비스 동향)

  • Han, K.S.;Jung, 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5 no.1
    • /
    • pp.71-79
    • /
    • 2020
  • Since Amazon announced plans to deliver goods to customers using drones, many countries and companies have become interested in drone logistics delivery services and have begun testing drone delivery for various goods based on service scenarios. Whenever there is news of a successful drone delivery anywhere in the world, people increasingly expect the delivery of goods through drones. Although delivery services using drones are currently in a trial-and-error stage, given technical limitations and institutional and social constraints, a complete shift to drone logistics delivery is not yet possible. In anticipation of the drone logistics delivery service, recent drone delivery tests, current service trends, and requirements for drone delivery service will be examined.

Study on measures to introduce Drone Delivery Service for domestic logistics (국내 물류기업의 드론배송서비스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Yoo, Hyun Tae;You, Hak Soo;Jeong, Yoon Say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5
    • /
    • pp.243-249
    • /
    • 2018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ccommodation attitudes and intention of use of the end-users to use the drone distribution delivery service that is to be introduced in Korea. For a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in this study have been set based on by using the SPSS 22.0. Upon these,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as been used to verify the correlation service of new technology, and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 user of drone distribution delivery service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individual innovation and that the accommodation behavior and intention of use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economic efficiency and convenience. However, there was no causal relation from a perceived risk. Hence,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about accommodation behaviors and intention of use of the end users of drone distribution delivery service, the marketing implications have been provided for commercialization of drone delivery service.

Vulnerability Analysis and Demonstration of a GPS Spoofing Attack in Drone Environment: Based on Product G (드론 환경에서의 GPS 스푸핑 취약점 분석 및 실증: G 제품을 대상으로)

  • Sejun Hong;Suwan Ko;Kyungroul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15-216
    • /
    • 2023
  • 군사 목적으로 사용되던 드론이 일반 사용자를 위한 범용 드론으로 활용 분야가 확장됨에 따라, 국방 및 운송, 물류, 농업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실정이며, 이와 관련된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드론의 안전성은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이 존재하였고, 이는 드론에서의 다양한 보안위협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인 드론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드론의 신규 취약점을 발굴하고 실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최근 출시된 G 제품을 대상으로, 드론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취약점 중 하나인 GPS 스푸핑 공격을 시도하였으며, 실험 결과, GPS 좌표를 변조함으로써, 비행이 가능한 구역에서 비행 금지 구역으로 인식하도록 좌표를 조작하였으며, 비행 금지 구역으로 인식한 드론은 준비된 동작에 따라, 강제로 착륙시키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의 결과는 드론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ispute Resolution and Policy Problem in the Drone Logistics Industry (드론 물류산업의 분쟁해결과 정책적 과제)

  • Park, Jong-Sam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 /
    • v.26 no.4
    • /
    • pp.151-179
    • /
    • 2016
  • Emerging as a strategic domain of the service industry, the drone logistics industry is evolving into a zero effort industry, which realizes smart device service ranging from corporate services to daily customer services. The role of the drone industr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as well as corporate competitiveness, beyond the strengthening of product competitiveness. Although drones have various strengths and weaknesses for industries, there are plenty of possibilities for diverse disputes and conflicts due to lack of related laws, regulations, and institutional norms, as well as unsolved problems related to technologies and operations; that is, there are still policy tasks and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unauthorized seizure of drones, hacking, protection of personal privacy, safety concerns, regulation and limitation of flying areas, damage relief, and dispute settlements. Thus, in order to vitalize the drone industry as a future growth engine while responding to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drone industry in Korea and overseas and to strengthen national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by harmonizing with advanced management innovations,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discussions and review policy issues related to the vitalization of the drone indust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omestic and overseas realities and statuses of the drone logistics industry and application cases, analyze policies regarding the drone logistics industry of each country, review general theories on the solution of disputes arising out of the transactions in the drone logistics industry, and, as a conclusion, suggest desirable policy issues for the vitalization of the dron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A Survey on Hardware Characteristic-based Dron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Technology (하드웨어적 고유 특성 기반 드론 식별 및 인증 기술 연구 동향 분석)

  • Sungbin Park;Hoon Ji;Yeonjo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81-1184
    • /
    • 2023
  • 최근 드론은 군사 작전, 물류 운송, 인명 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규모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GPS 스푸핑, 조종사 비익명화 등의 드론을 향한 공격 기법들 또한 발달하고 있다. 이런 공격들은 드론에 대한 인증을 도입함으로써 대비할 수 있는 공격들이다. 이에, 학계에서는 강건한 인증을 위해 드론 하드웨어의 고유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 RF 신호, 소리 신호, 드론 내부 센서 신호 등에 기반한 인증 기술들이 연구되어온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드론 인증 기술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Development schemes of operating platform for river management linked with a Drone (드론 연계 하천관리 운영플랫폼 개발 방향)

  • Seong, Hoje;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2-342
    • /
    • 2020
  • 최근 소형 무인비행장치(UAV; unmaned aerial vehicle)인 드론을 이용한 신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국외에서는 이미 드론을 이용한 농업관리와 물류배송, 공공부문 모니터링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드론 이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드론 이용에 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드론 응용 관련 기술 개발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환경모니터링과 시설물 점검 등 일부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4년까지 드론 응용서비스로 확장되는 산업 변화에 대응, DNA(Data, Network, AI)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개방형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기술개발 및 산업 육성을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술 개발 방향에 맞추어 드론과 첨단기술을 이용한 하천조사와 관련해 드론을 연계한 하천관리 플랫폼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기반 하천조사 및 모니터링 수행을 위한 하천관리 운영플랫폼 개발을 목표로 국내외 요소기술을 분석하고 기술수준을 조사했다. 특히, 드론 기반 하천관리에 필요한 임무를 영역별로 분리해 요소기술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를 정의하고 하천관리 부문 개방형 플랫폼 구축을 위한 시스템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요소기술을 선정했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플랫폼 서비스와 요소기술을 기초로 시스템 적용방안을 검토하고 하천관리 운영플랫폼 구축을 위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정의 및 설계했다.

  • PDF

Proposal of LoRa-based Drone Air Collision Avoidance System (드론을 위한 Lora 기반 충돌 위험 감지 및 회피 시스템)

  • Kim, Woo Jae;Yoon, So Yeon;Kim, Min Hyun;Kim, Myung Sup;Jeon, Gwang 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1-123
    • /
    • 2017
  • 드론은 군사목적에서 개발되고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촬영, 물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수많은 드론이 하늘에서 비행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때때로 비슷한 항로를 비행하는 드론간의 충돌 위험 또한 야기될 수 있다. 드론을 안전하게 비행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해되어 왔지만 공중 충돌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려는 연구의 진행은 초기상태에 있다. 본 논문은 민간 항공기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1030/1090MHz 대역의 TCAS 시스템을 433MHz LoRa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충돌 위험을 판단하는 근거는 비행준인 드론의 진행 방향 및 비행 고도를 통하여 산출한다.

Implementation of Delivery Drone Using Aduino (아두이노를 활용한 택배드론의 구현)

  • Park, Myeong-Chul;Kim, Yun-Han;Jo, Dong-K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51-152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드론 산업의 성장속도가 점차 빨라짐에 따라 드론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물류시장의 화두는 신속한 배송이지만 기존 택배 및 우편물 등을 배송하기에는 도로의 교통상황에 따라 시간이 많이 들고 인력비와 수송비등 자원이 많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택배 시스템에서 사람이 직접 이동해서 물건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드론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배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드론을 원하는 목적지까지 보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돌발 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GPS 및 아두이노기반의 여러 센서들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 외 문자알림 서비스를 이용하여 택배의 실시간 위치를 알 수 있게 하고 도착알림 등을 받게 하여 편리성을 높이는데 역점을 두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