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둔감추진기관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4초

추진기관 둔감 시험평가 및 반응등급 판정 (IM Test and Evaluation of Reaction Level for Solid Rocker Motor)

  • 유지창;김창기;민병선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04-108
    • /
    • 2011
  • 선진국에서 1982년 제정된 비핵무기 위험성 평가시험(MIL-STD-2105(NAVY) 이후에 2011년 4월에 개정된 MIL-STD-2105D의 로켓 모타의 둔감화를 위한 추진기관 둔감 시험 규정과 각 둔감시험별 통과기준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추진기관의 시험평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추진기관 둔감시험 기법은 정립하였으나 국내의 추진기관 둔감시험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한 관계로 반응등급결정을 위한 각 시험별 통과기준이 정립이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둔감시험방법과 각 시험별 통과기준을 조사 분석하여 국내의 추진기관 둔감화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고체추진기관 둔감화 개발동향 (An Overview of IM Technology Development for Solid Rocket Motor)

  • 유지창;김창기;민병선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9-1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로 선진국에서 수행되고 있는 고체 로켓 모타의 둔감화를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에 관한 노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추진제와 연소관 등 둔감화에 필요한 추진기관 각 부품별 개발 방향을 정리하였고 실제 시스템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추진기관 둔감화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고체추진기관 둔감화 기술 개발동향 (A Development of Insensitive Munitions Technologies for Tactical Rocket Motors)

  • 유지창;김창기;황갑성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13-216
    • /
    • 2008
  • 예기치 않은 외적인 자극에 의한 사고를 막기 위하여 에너지 물질을 함유한 전술 유도무기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증대되어, 유도무기 둔감화에 대한 연구가 미국과 나토에서 1980년대 후반부터 활발히 시작되었다. 로켓모터의 둔감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추진제를 비롯하여 로켓모터의 모든 부품들이 적절한 조합으로 각각의 특성을 살려 둔감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각각의 부품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여야 한다. 고체 추진기관 둔감화에 필요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추진제, 연소관, 점화기 및 완화장치 등이 있다.

  • PDF

HTPE 둔감 추진기관의 급속가열 시험 및 평가 (Fast Cook-Off Test and Evaluation for HTPE IM Rocket Motor)

  • 이도형;김창기;연정모;정정용;유지창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7-17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추진기관 급속가열시험을 실시하여 그 특성을 분석 평가 하였다. 연소관은 카본 에폭시 복합재를 사용하였고 추진제는 둔감 특성을 향상 시켜주기 위해 HTPE 추진제를 사용하였다. 반응 형태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음압 및 열유속 센서를 사용하였다. 급속가열 시험한 HTPE 모타들의 반응형태는 Type V 인 연소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HTPE 둔감 추진기관의 충격 시험 및 평가 (Impact Test and Evaluation for HTPE IM Rocket Motor)

  • 김창기;이도형;연정모;유지창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3-16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추진기관 탄자 및 파편 충격시험을 실시하여 그 특성을 분석 평가 하였다. 연소관은 카본 에폭시 복합재를 사용하였고 추진제는 둔감 특성을 향상 시켜주기 위해 HTPE 추진제를 사용하였다. 반응 형태를 정량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음압 및 열유속 센서를 사용하였다. 탄자 및 파편 시험한 HTPE 모타들의 반응형태는 Type V 인 연소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고체추진기관 둔감시험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ensitive Munition Test and Evaluation for Solid Rocket Motor)

  • 이도형;김창기;이환규;유지창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9-132
    • /
    • 2010
  • 둔감추진기관 개발은 돌발적인 기폭 가능성과 이에 따른 막대한 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사고로부터 인명과 장비의 생존성보장을 규정짓는데 중요한 목적이 있다. 열이나 기계적 충격으로 인한 격렬한 반응과 이어지는 반응의 확률을 최소로 줄이고 적재탄, 양산중이나 수송 저장중인 추진기관의 동조폭발로 주위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는 격렬한 연쇄반응을 줄여야 한다. 이에 따라 반응형태도 과압, 파편비산, 열유속과 같은 결과에 평가의 기초를 두고 있다.

  • PDF

고체 추진기관 둔감화를 위한 완화장치의 연구 동향 (The Trend of Mitigation Devices for Insensitive Munition of Solid Rocket Motor)

  • 류병태;윤기은;정진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7-80
    • /
    • 2006
  • 고체 추진기관 둔감화는 고유 성능의 변화 없이 화재, 충격 등에 의한 우발적 사고시 반응의 정도를 최소화하는 기술로 정의된다. 열에 노출된 추진제가 점화되기 전에 연소관에 배기구가 형성되어, 추진기관 반응의 위험도를 낮추는 방법은 추진기관 둔감화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이를 완화장치라 부른다. 본 논문은 완화장치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였다.

  • PDF

고체 추진기관 둔감화 점화 장치의 반응 (Reaction of an Insensitive Munitions(IM) Igniter for Solid Propulsion System)

  • 류병태;이도형;류백능;최홍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52-358
    • /
    • 2011
  • 본 논문은 우발적 화재에 노출되면 이상 온도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반응하여 추진제를 연소시킴으로써, 고체 추진기관의 위험 정도를 완화시키는 둔감 점화 장치의 반응을 연구한 결과이다. Kissinger 식으로 구한 둔감 점화 장치 신호 화약의 자동 점화 온도는 $165.5^{\circ}C$이었지만, 추진기관에 장착하고 MIL-STD-2105D의 규정에 따라 수행한 완속 가열 시험에서는 약 $140^{\circ}C$에서 연소 반응을 하였다.

  • PDF

고체 추진기관 둔감화 점화 장치의 반응 (Reaction of an Insensitive Munitions(IM) Igniter for Solid Propulsion System)

  • 류병태;이도형;류백능;최홍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5-91
    • /
    • 2012
  • 본 논문은 우발적 화재에 노출된 고체 추진기관의 화재 위협이나 폭발을 파이로 센서가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추진기관이 안전하게 연소되게 하는 둔감 점화 장치의 반응을 연구한 결과다. 완속 가열 시험은 HTPB 추진제가 충전된 로켓 모터에 열감지형 점화기를 장착하여 MIL-STD-2105D 규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얻어진 점화 온도는 약 $140^{\circ}C$였으며, 이는 "연소 반응" 등급에 해당되었다. Kissinger 식으로 구한 둔감 점화 장치 신호 화약의 자동 점화 온도는 $165.5^{\circ}C$였다.

고체 추진기관의 둔감탄약 시험 (Insensitive Munitions Test for Solid Rocket Motor)

  • 윤현걸;장승교;차홍석;장석태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29-29
    • /
    • 1998
  • 실전 배치되어 운용 중인 무기체계는 여러 형태의 사고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이중에서도 특히 항공기나 함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그 피해가 막대하게 커질 수도 있어 항공기나 함정 자체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사고위험으로부터 인적, 물적 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둔감탄약(Insensitive Munitions)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무기 체계를 효과적으로 시험 평가하는 규격들이 검토되기 시작하여 1991년에 "Hazards Assesment Tests for Non-Nuclear Ordnance, DoD-STD-2105"를 기초로 한 MIL-STD-2105B가 채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MIL-STD-2105B의 해석과 그에 따른 둔감탄약 시험에 포함되는 Bullet Impact Test, Fast Cookoff Test, Slow Cookoff Test, Fragment Impact Test, Sympathetic Detonation Test 등의 시험들의 세부적인 시험방법과 그 결과에 대한 판정 기준을 서술하였다. 또한 유도무기의 추진기관을 모델로 하여 둔감탄약 시험의 기준을 제시하였고 이 시험을 통과하기 위하여 향후 연구, 개발하여야 할 분야를 서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