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피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4초

뇌파(electroencephalogram:EEG)의 전기적 모형

  • 이배환;박형준;박용구;손진훈
    • 전기의세계
    • /
    • 제46권5호
    • /
    • pp.3-10
    • /
    • 1997
  • 뇌파, 즉 뇌전도는 뇌에서 일어나는 전위의 변화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는 두개골의 두피에 전극을 부착하거나 뇌 표면 또는 뇌속에 전극을 삽입하여 기록할 수 있다. 종래에는 뇌파는 활동전위의 동기화와 통합의 결과로서, 어떤 피질 영역에서의 뉴론의 활동을 직접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EEG 활동에서 상당한 부분은 뉴론의 막전위에 기인하며, 특히 느린 시냅스 후 전위의 가중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활동전위가 EEG에 전혀 공헌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EEG는 그 파형에 따라 동기화 또는 비동기화로 나눌 수 있는데, 그 근간을 이루는 뇌 구조물은 상이하다. 그리고 피질의 활동에서 유래한 EEG는 피질하 구조물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EEG를 활용한 연구는 인간 정신 과정을 이해하는데 이바지하는 바가 클 것이다.

  • PDF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나타난 뇌파의 비동기화와 상관계수 (Desyncronization And Correlation Coefficient of Brain Wave on Scientific Reasoning)

  • 이조옥;신애경;최병순;박국태;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6-233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뇌 신경세포 활동의 비동기화 정도는 두피에서 측정된 뇌파의 전극전위간의 상관계수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 그 가설을 이용하여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파의 특성을 기술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 설계, 인지갈등, 연계, 초인지등의 4단계의 과학적인 사고과정으로 이루어진 구슬굴리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파와 안정상태의 뇌파를 19개의 두피전극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전극전위간 상관계수가 작아질수록 뇌 신경세포의 비동기화 정도가 커졌으며, 안정상태에 비해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전극전위간 상관계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뇌세포가 가장 많이 활성화되었다. 뇌파를 이용한 과학적 사고과정의 연구에서 뇌파의 주파수 특성뿐만 아니라 전극전위간 상관계수를 분석함으로써 좀 더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시각 자극의 집중에 따른 뇌유발전위의 공간-주파수 상관 분석 (Spatio-Spectral Coherence Analysis of ERP signals for Attentional Visual Stimulus)

  • 이벽진;유선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217-22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각집중에 따른 뇌기능을 코히어런스와 바이코히어런스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집중에 관련된 시각자극 실험을 통하여 유발된 뇌유발전위 데이터와 합성한 모의실험 데이터를 통하여, 바이코히어런스는 고정된 두피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의 위상 동조를 보이는데, 코히어런스는 고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두피 위치간의 위상동조를 나타내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두 방법 모두 자극시점과 첨가된 백색잡음의 크기에 영향을 받았다. 집중관련 자극수행에 대하여 바이코히어런스는 ${\Theta}$, ${\delta}$, ${\alpha}$ 대역간의 위상동조를, 코히어런스는 뇌의 전두엽과 두정엽 간의 위상동조를 보였으며, 비집중 자극 수행에 대해서는 위상동조 현상이 두드러지지 않게 관측됨으로써, 인간의 집중과 관련하여 뇌의 기능적인 공간-주파수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뇌파기반 집중도 전송 및 BCI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EG based Concentration transmission and Brain Computer Interface Application)

  • 이충헌;권장우;김규동;이준오;홍준의;이동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55-156
    • /
    • 2008
  • 본 연구는 두피에서 발생하는 EEG(electroencephalog ram)신호를 측정한 후 두뇌활동과 관련된 지표 중 집중도를 추출하여 집중도의 크기에 따라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집중도 무선전송 시스템을 구연하고자 하였다. 뇌파신호를 측정하여 집중도를 추출하기 위해 두피의 좌, 우 두 채널을 사용하였으며 Biopac의 MP-100과 EEG100C을 이용하여 뇌파신호 계측, 증폭 및 필터링을 하였다. 계측된 EEG 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 및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해서 LabVIEW 8.5를 이용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 처리를 하였다. 이를 통해 ${\alpha}$파, ${\beta}$파, ${\theta}$파, ${\delta}$파 주파수영역으로 분류한 후 집중도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집중도 지표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집중도 신호를 무선전송하여 BCI(Brain Computer Interface) 기술에 응용하고자 레고 자동차에 적응하여 보았다.

  • PDF

여성 암환우들의 탈모용 가발 착용 시 불편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Inconvenience Due to Female Cancer Wearing Alopecia Wigs)

  • 진순호;김영배;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417-422
    • /
    • 2017
  • 본 연구는 암환우들의 탈모용 가발 착용 시 불편 사항에 따른 개선 방안을 분석한 결과로, 60대 전후의 여성 암환우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탈모를 인지하게 된 시기는 항암제 또는 방사선 치료 1회 직후가 가장 높았고, 두번째로 2회 후부터가 23.9% 순으로 나타났으며, 암환우들의 가발 착용에 따른 불편 수준으로는 대체로 편리한 편이지만 두피트러블, 밀착성, 조화성, 등에 있어 불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환우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발 착용 시의 불편 요소 분석 결과 직업에 따라 편리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요인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졸이나 고졸 혹은 대학원 졸업인 경우 현재 재학 중인 학생에 비해 높은 편리성을 보이며 졸업생과 재학생 간의 연령차에 의한 차이일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불편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가발의 기술 개발과 연구가 끊임없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생아 모발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비늘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Scales Surrounding the Surface of Newborn Hair)

  • 정희중;진현숙;장아영;장은주;장병수;김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16-223
    • /
    • 2020
  • 본 연구는 신생아 두피 모발의 기저부에서부터 말단부위까지의 외부형태와 모발 가로 직경 대비 모발 표면에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 비율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신생아 모발은 두피에 인접한 부위에서 부터 모발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가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발의 두께가 커질수록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모발 표면의 노출된 비늘 장축 직경은 모발의 굵기에 관계없이 비슷한 길이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는 모발이나 굵은 모발 표면에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뇌파기반 집중도 전송 및 BCI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EG based Concentration Transmission and Brain Computer Interface Application)

  • 이충헌;권장우;김규동;홍준의;신대섭;이동훈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2호
    • /
    • pp.41-46
    • /
    • 2009
  • 본 연구는 두피에서 발생하는 EEG(Electroencephalogram)신호를 측정한 후 두뇌활동과 관련된 지표 중 집중도를 추출하여 집중도의 크기에 따라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집중도 무선전송 시스템을 구연하고자 하였다. 뇌파신호를 측정하여 집중도를 추출하기 위해 두피의 좌, 우 두 채널을 사용하였으며 Biopac의 MP100과 EEG100C을 이용하여 뇌파신호 계측 증폭 및 필터링을 하였다. 계측된 EEG 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 및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해서 LabVIEW 8.5를 이용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처리를 하였다. 이를 통해 SMR파, Mid-Bata파, Theta파 주파수영역으로 분류 한 후 집중도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집중도 지표를 추출하였고 추출된 집중도 신호를 무선전송하여 BCI(Brain Computer Interface)기술에 응용하고자 레고 자동차에 적용하여 보았다.

Lactobacillus plantarum 발효 식물추출물질(MBN)의 in vitro 및 in vivo 발모 효과 (In vitro and In vivo Hair Growth Promotion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Fermented Plant Extracts (MBN))

  • 주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81-386
    • /
    • 2011
  • 실험물질은 두피건강 및 발모에 유용한 소재를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후 유산균에 발효시킨 2차 발효물질로서 고기능성이 예상되는 물질이다. C57BL/6 마우스의 등을 제모하고 실험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암 수 모두에서 양성대조군인 minoxidil과 비교하였을 때 동등이상의 우수한 발모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컷의 경우 200 mg/kg 이하의 농도에서 우수한 효과가 관찰되었고 암컷에서는 고용량인 500 mg/kg까지 현저한 발모효과가 관찰되어 성별 처치 용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양성대조군 minoxidil이 신속한 발모효과를 보이는 반면 털의 긁기가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실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는 제모전과 동등이상의 굵기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발모효과를 확인하기위해 모발성장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실험물질이 KGF, VEGF 등의 모발성장촉진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반면 탈모를 유도하는 $TGF{\beta}1$의 발현에는 반응을 하지 않아 유용한 발모제제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더불어 실험물질에 의한 NO 분비가 두피의 혈류개선을 유도하여 탈모억제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사료되어 발효생약추출물인 MBN이 모발성장 및 탈모예방제제로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형냉각재상실사고의 PCT에 대한 ATLAS와 LSTF 장치의 대응 실험 검토 (Investigation of PCT Behavior in IBLOCA Counterpart Tests between the ATLAS and LSTF Facilities)

  • 김연식;강경호
    • 에너지공학
    • /
    • 제28권3호
    • /
    • pp.26-33
    • /
    • 2019
  • ATLAS와 LSTF 장치에서 수행된 저온관(CL) 파단 13% 및 17% IBLOCA 대응실험들을 비교하고 특히, 핵심 관심 인자인 노심 첨두피복온도(PCT)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고 아울러 주요 열수력 현상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비교.검토에서 두 건의 CL 파단 IBLOCA 대응실험들은 PCT 거동에 있어서 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두 장치의 척도 차이로 인한 왜곡현상을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두 장치의 원자로냉각재계통에 대한 자세한 설계 비교를 수행하였다. 이에 두 장치 사이에 핵연료조정판(FAP) 설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IBLOCA 사고시 Reflux 응축수의 노심 유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CFL 관련 무차원직경 값에서도 두 장치에서 매우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CL 파단 IBLOCA 대응실험에서의 PCT 거동의 현격한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원인일 수 있는 인자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향후 관련 설계 차잇점을 근거로 더 자세한 검토와 분석을 통해 관련 현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