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두리틀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두리틀(Dolittle)'의 수학 교육-학습 활용 방안

  • Hwang, U-Hyeong;Kim, Gyeong-M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215-240
    • /
    • 2005
  • 본 논문은 최근 일본에서 개발된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두리틀(Dolittle)'을 소개하고, 두리틀을 수학 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최초의 연구이다. 두리틀은 LOGO의 거북 그래픽스(Turtle Graphics)와 인크리멘탈(Incremental) 프로그래밍 방식, 즉각적인 피드백 등 많은 교육적 이점을 수용하고, 현대 프로그래밍의 고급 기능들을 프로토타입(Prototype) 방식을 통해 어린 학생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 텍스트기반의 한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LOGO와 두리틀의 활용 비교를 통하여 두리틀을 소개하고, 두리틀을 이용한 기하와 함수의 교수-학습을 위하여 연구자가 고안한 기하판과 좌표판, 삼각함수판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그 교수-학습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Unifing Robot Control Programming Language And Dolittle Using Robot Objects (두리틀 로봇 프로그래밍 일원화를 위한 로봇 객체 설계)

  • Kwon, Dai-Young;Yeum, Yong-Cheul;Yoo, Seoung-Wook;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6
    • /
    • pp.23-32
    • /
    • 2005
  • Dolittle is a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that helps students learning principles and concepts of computer science with programming. Learning programming with robot improve learning achievements robot motivate to be interest with programming. However, Dolittle robot programming is a different from Dolittle programming in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execution mechanism. Therefore, students have virtually to learn two languages to control robot and it would reduce the worth of Dolittle as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tried to Unify Dolittle and robot control language using parser that Dolittle program with turtle object convert robot program. But this try couldn't overcome completely this problem because attributes of turtle object is different from robot. In this research we unified Dolittle programming and Dolittle robot programming as a way of adding new robot object in dolittle standard object group. it would improve educational effect of learning programming with robot in Dolittle.

  • PDF

두리틀(Dolittle) 프로그래밍 활동을 통한 함수 개념 형성에 관한 사례 연구

  • Jo, Yeong-Ju;Kim, Gyeong-Mi;Hwang, U-H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363-378
    • /
    • 2005
  • 본 연구는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Dolittlee)을 수학교수-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7차 교육과정상의 중등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두리틀 프로그래밍 활동을 안내적 교수법으로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두리틀 프로그래밍 활동이 함수의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컴퓨터 친밀도와 수학적 성향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두리틀을 이용한 함수의 그래프 그리기 활동은 학생들에게 함수의 기본 개념과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두리틀 프로그래밍 탐구 활동에 있어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보다는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성향과 컴퓨터와의 높은 친밀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Learning Motivation Induction Effects for Depressed Students in Elementary Figure Domain Mathematics Courses using the Dolittle Education Programming Language (두리틀 EPL을 이용한 수학 도형 영역 학습 부진학생의 학습동기 유발 효과분석)

  • Park, Sang-Seon;Hur, Ky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93-98
    • /
    • 2009
  • 본 논문은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을 수학 교과 수업과 연계 적용하여, 수학 도형 영역에 학습부진 요소를 가지고 있는 기초학습 부진학생과 교과학습 부진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동기 유발에 있어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두리틀 프로그래밍 교육이 수학과 수업과 연계한 재량 활동 교육 내용으로 적합한 교육 내용임을 검증한다.

  • PDF

Development and Analysis of Elementary Dolittle Programming Problems using Algorithmic Thinking-based Problem Model (알고리즘적 사고 문제 모델을 이용한 두리틀 프로그래밍 문제 개발 및 적용)

  • Hur, Kyeo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3 no.2
    • /
    • pp.69-74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elementary Dolittle programming problems using the algorithmic thinking-based problem model with material factors in the elementary Dolittle programming. And this paper proves the validity of developed Dolittle programming problems in defining them as algorithmic thinking-based problems through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nalyzed in views of variety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answer algorithms and suitability of allocating degrees of difficulties to the developed Dolittle programming problems.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Dolittle Education and Robot Program Education on Creativity (두리틀 교육과 로봇 프로그램 교육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 Park, Kyoung-Jae;Lee, Soo-J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89-9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식 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두리틀 교육과 로봇교육을 각각 10차시 분량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창의성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을 창의성 수업 모형에 따라 적용하였다. 또한 창의성 구성요소를 창의적 사고능력, 창의성 성격면으로 나누어 검사하였으며, 창의적 사고능력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면을 측정하였으며, 창의적 성격은 호기심, 민감성, 집착력 면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비교반(일반수업) 보다 실험반(두리틀 교육, 로봇교육)의 창의성이 신장되었으며, 두리틀 교육보다 로봇교육이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들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Comparison on How Much Dolittle and Squeak Languages Influence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Logical Thinking Capability (두리틀과 스퀵 언어가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비교)

  • Kim, Young-Ae;Lee, Bong-Kyoo;Kim, Byung-So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0 no.3
    • /
    • pp.375-380
    • /
    • 2009
  •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can improve students' log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ol to improve algorithmic thinking ability. We study how much Dolittle and Squeak influences improving elementary students' logical thinking ability. Thus, we divide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to two classes and then taught Dorittle and Squeak programming languages for 6 weeks, respectively. We compare and analyze each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its sub-classific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Dorritle affects significant improvement, but not Squeak.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Dolittle and Robot Programming Education on Creativity (두리틀과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 Park, Kyoung-Jae;Lee, So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4 no.4
    • /
    • pp.619-626
    • /
    • 2010
  • In this study, we performed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 of Dolittle and Robot to compare and analyze their effect on improving creativity. We formed three sixth grade classes, totaling 99 students, into a Robot class, a Dolittle class, and a general class that served as a neutral. The Dolittle class and the Robot class took ten programming lessons with specific hand-in operations, as well as feedback and discussion, during ten weeks.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student creativity in the two programming classes improved more than that of students in the general class. Especially creativity of the students in the Robot class improved the most. Moreover, the mean creativity of the lower academic achievement group was slightly better than that of the higher group. This implies that there is no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ity.

  • PDF

Multi-reserved Words Supporting System for Object-Orient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Dolittle" (객체지향형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 두리틀의 다중 예약어 지원 체계)

  • Choe, Hae-Sim;Kwon, Dae-Yong;Kim, Hyung-Shin;Yeum, Yong-Cheul;Yoo, Seoung-Wook;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2
    • /
    • pp.23-32
    • /
    • 2005
  •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EPL) should be learner-friendly and easy to use. Dolittle, an object-oriented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EPL), offers programming environment which can be programmed in Korean(Hangul). However, since some Dolittle commands are not appropriate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t shows limitations for learners to express programming proces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et of 1:n multi-reserved words which are able to program with Korean linguist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considering learners' differences, preferences, and applicable areas. The conclusion in the paper showed that programming with this 1:n multi-reserved words helped learners concentrate on problem solving regardless of the reserved words.

  • PDF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D instructional model using dolittle (두리틀을 활용한 STAD 학습 모형의 구현)

  • Kim, Hyun-Seok;Hong, Myung-Hu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3-29
    • /
    • 2010
  • 본 논문은 객체지향형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Dolittle)'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을 STAD 학습 모형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두리틀의 네트워크 기능은 다른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와 구분되는 특징으로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하여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여 의사소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TAD 학습 모형이 갖는 특징을 알아보고,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핵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래밍 학습을 STAD 학습 모형에 적용하는 수업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은 상호 협동적인 프로그래밍 학습과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를 통한 의사소통에 그 의미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