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경부악성종양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32초

두피에 발생한 악성흑색종 2례 (Two Cases of Malignant Melanoma at Scalp)

  • 박대환;황정욱;장경수;한동길;안기영;오훈규;김용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8-184
    • /
    • 1995
  • Melanoma of the scalp is rare condition and seems to be to have a poor prognosis than melanoma of other portion of the body. We had 2 patients suffering from malignant melanoma of scalp. Their charts were reviewed for epidemiologic data, location, Breslow thickness, lymph node involvement and outcome. The therapeutic treatment was wide excision and skin grafting or free flap reconstruction. The early recognition of all the nevi at scalp and proper follow-up of the lesion are key stones to eradicating the changing mole and to preventing this thread to life.

  • PDF

상악동내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 (A Case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Maxillary Sinus)

  • 김성동;박일석;이원종;정인교;노영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0-233
    • /
    • 2001
  •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MFH) is a sarcoma that occurs principally in soft tissue and typically involved the skeletal muscle and deep fascia. Although it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soft tissue sarcoma in late adult life, the involvement of the head and neck area is relatively rare. MFH shows variable histologic appearance, and may be classified into several subtypes(storiform-pleomorphic, myxoid, giant cell, inflammatory, angiomatoid) and the storiform-pleomorphic type is the most common type. The authors hav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MFH in the right maxillary sinus, and report it with a brief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 PDF

후두에 원발한 악성 흑색종 1례 (Primary Laryngeal Malignant Melanoma: Report of a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 김은서;이용희;심정연;유영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0-223
    • /
    • 2000
  • Mucosal melanoma of the head and neck is a rare and usually lethal disease. Primary laryngeal malignant melanoma(LMM) are exceedingly rare tumors that morphologically are readily confused with more common types of laryngeal cancer. Treatment of choice for LMM is complete surgical excision and elective lymph node dissection is usually not recommended. The use of radiation or chemotherapy is generally thought to have no effect on local or distant disease and currently used as adjuvant therapy. The prognosis is extremely poor. We have experienced a 61 year old male patient with symptoms of foreign body and lump sense in throat. A dark pigmented polypoid mass was found on the right aryepiglottic folds with normal mobility of vocal cord. Total laryngectomy was performed under the diagnosis of malignant melanoma. Bone scan revealed multiple bony metastasis on ribs and lumbar vertebrae after 5 months of operation. There have been no evidence of recurrence at primary area. The patient died after 8 months of operation.

  • PDF

갑상선에 생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1예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of Thyroid Gland : A Case Report)

  • 장철순;연제엽;박수경;이동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8-21
    • /
    • 2013
  •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은 골수에서 유래하는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의 이상 증식에 의해 발병하는 희귀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모든 장기에서 발생 할 수 있으나 갑상선을 침범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18세 남자가 5달전부터 점점 커지는 갑상선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여 세침흡인 세포검사, 총샘검,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세침흡인 세포검사에서 악성신생물이 의심되었고, 총생검에서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으로 나타났다.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는 우측 갑상선에서 윤곽이 잘 구분되는 저음영의 종괴와 우측 기관 주위 림프절의 종대가 관찰되었다. 갑상선 전절제술과 우측 중앙 선택적 경부 림프절 청소술이 시행되었다.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이 갑상선을 침범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갑상선 비대가 있는 환자가 뇌하수체 기능부전의 증상이나 뼈와 폐의 침범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한다면 갑상선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침범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다른 장기의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치료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는 갑상선 종괴를 감별 진단하는데 있어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을 고려해야 한다.

이하선에 발생한 악성 타액선 호산성 과립세포종 1례 (A Case of Malignant Oncocytoma of the Parotid Gland)

  • 박용진;서영표;김민식;조승호;서병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4-119
    • /
    • 1991
  • Malignant oncocytoma(oxyphil cell adenoma) is a extremely rare malignant tumor of the salivary glands and almost occurs in the parotid gland. A case of malignant oncocytoma of the parotid gland occurring in a 63 year old man is reported. Establishing a diagnosis of malignant oncocytoma essentially requires the application of two sets of criteria to the tumor under examination. First, the tumor cells must be identified as oncocyte and second, malignancy must be determined. Histochemical stains are not as useful as generally believed. Electron microscopy confirms the diagnosis by demonstrating an abundance of mitochondria. The diagnosis of malignant oncocytoma depends on several additional criteria in addition to cellular and nuclear pleomorphism, including lack of encapsulation, local infiltration, perineural and intravascular growth, and regional and/or distant metastasis. Satisfactory results from surgical re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our patient serve as additional experience in the treatment of this rare malignancy.

  • PDF

다발성 캐슬만병과 공존한 경부 악성 림프종 1례 (A Case of Cervical Malignant Lymphoma Coexisted with Multicentric Castleman's Disease)

  • 장규호;정영도;서윤태;김정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5-39
    • /
    • 2016
  • Castleman's disease (CD) is an uncommon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The disease entity is classified into 2 clinical subtypes, unicentric and multicentric type. Prevalence of lymphoid malignancy in multicentric CD (MCD) is very low. In this case, we report a case of 77 years old woman who developed high fever and swelling in both side of her neck. Neck lymph node biopsy revealed plasma cell hyperplasia. Patient's symptom was subsided after treatment with Dexamethasone. Three months later, multiple lymph node enlargement was developed in abdomen and neck area again. Repeated neck lymph node biopsy confirmed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The patient started chemotherapy.

방사선 치료가 두경부 악성종양 환자의 말초혈액 림프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on Peripheral Lymphocytes in Head and Neck Cancers)

  • 김상윤;김효준;최은경;조영주;추광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2-92
    • /
    • 1993
  • 방사선 치료가 인체의 세포면역 기능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방사선 치료에 의한 정확한 변화양상과 이러한 변화가 치료후 언제까지 지속되는지에 관하여서는 잘 모르는 실정이다. 방사선이 말초혈액 림프구 아집단 분포양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결과는 이전에 보고하였으나 저자들의 결과는 단순히 치료 후 일정 시점에서 림프구 아집단의 분포양상을 알아보는데 그쳤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치료 후 두경부 악성종양 환자의 림프구 아집단의 분포 분율뿐 아니라 아집단 림프구 수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수들이 치료 후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총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 전, 치료 후, 치료 후 3개월, 6개월, 1년에 각각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단핵구층을 분리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림프구 아집단의 분포양상을 분석하였고 또한 각 환자군에서 전체 림프구의 수를 산출하여 각 군의 아집단 수를 산출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자연살세포를 제외한 모든 림프구 아집단의 분포양상과 수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치료 후 6개월간 지속된 후 점차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고 자연살세포는 치료 후 림프구내의 분포 분율은 증가하였으나 수의 변화는 없었다.

  • PDF

방사선치료시 두경부 림파절 종양내 간질액 압력의 변화 양상 (The Change of Tumor Interstitial Fluid Pressure by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Lymph Node in Head and Neck Area)

  • 조문준;김재성;이인태;김준상;김기환;장지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27-132
    • /
    • 2000
  • 목적 : 두경부 악성 림파절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중 종양내 간질액 압력을 측정하여 종양내 간질액 압력 및 이의 변화가 갖는 임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26명의 전이성 두경부 악성 림파절 환자를 대상으로 육안적으로 확인 가능하며 접근이 가능한 부위에 위치하고 주사침 끝이 적절히 위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cm 이상의 충분한 두께를 갖는 경부 림프절에서 방사선치료 직전 및 방사선치료 중에 종양내 간질액 압력을 측정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촉지하여 임상적으로 측정하고 방사선과적 검사로 측정을 확인하였다. 결과 : 방사선치료 전 TIFP는 25명에서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평균치는 24.7 mmHg였다. 방사선치료 전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치료 전 TIFP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marginal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0.06), 치료 전 종양 크기가 크면 치료 후 TIFP의 감소가 큰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43). 방사선치료 중 9명에서 TIFP의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이들의 방사선치료 전과 치료 후 TIFP변화는 평균 12.5 mmHg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9). 치료 전 TIFP가 평균치 이상인 환자군과 이하인 환자군 사이에 방사선치료 결과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229). 방사선 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과 부분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군 사이에 치료 전 TIFP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75). 방사선치료 후 완전 관해를 보인 환자군의 TIFP의 치료 전과 치료 중 비교시 평균 36 mmHg 감소하였으며 부분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군은 29.7 mmHg 감소하여 현재까지는 두 환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75) 결론 : 방사선치료 전 TIFP의 평균치는 24.7 mmHg였으며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치료 전 TIFP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marginal하게 유의하였다(p=0.06). 방사선치료 후 부분 관해 이하의 치료 결과를 보인 환자군의 치료 전과 치료 중 TIFP를 비교시 평균 29.7 mmHg로 감소하였으나 완전관해를 보인 군은 36mmHg의 더 큰 감소를 보였으나 현재까지는 두 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는 않았다.(p=0.75)

  • PDF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 예측인자 및 영상 소견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from Head and Neck Cancer: Predictive Factors and Imaging Features)

  • 고일권;윤대영;백소라;홍지현;윤은주;이인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246-1257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예측인자와 영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두경부암 환자 중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그룹과 비전이 그룹 사이의 임상 소견 및 질병의 특성(성별, 연령, 원발성 종양 부위, 조직학적 유형, 악성종양에 대한 이전 치료이력, T-, N- 및 M- 단계, 경부 림프절 전이) 들을 비교하였다. 또한 저자들은 전이그룹에서 종격동 림프절 분류에 따라 림프절 전이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전이분포와 림프절 최대직경) 및 양전자방출단층촬영/전산화단층촬영(최대 표준섭취계수)의 소견을 평가하였다. 결과 두경부암 환자 470명 중 55명(11.7%)에서 150개의 종격동 station을 포함하는 종격동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었다. 하인두암, 재발한 종양, T4, N2/N3, 및 M1 단계는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의미 있는 예측인자로 평가되었다.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가장 흔한 위치는 일측 station 2 (상부기관주위 림프절, 36.4%), 일측 station 11 (엽간 림프절, 27.3%), 일측 station 10(폐문 림프절, 25.5%) 순이었다. 결론 하인두암, 재발성 종양 및 높은 TNM 단계인 경우, 두경부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타액선 악성종양의 경부 림프절 전이의 위험 요소 (Risk Factors of Nodal Metastasis in Salivary Gland Cancer)

  • 이시형;남순열;최승호;박정제;김찬종;강우석;김상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6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Nodal metastasis is one of the prognostic factors in salivary gland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 factors of nodal metastasis considered as a predictor of po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cancer. Material and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studied 82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cancer who underwent surgery from 1992 to 2002. We analyzed age, sex, tumor size, histologic type and 5-year survival rate to compare patients with and without nodal metastasis. Results: Mean age was 55.4 years, with a male-female ratio of 1 : 1.28.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85.5%. Among the 82 patients, 14 patients had nodal metastasis. There was no nodal metastasis in low grade malignancy. In patients without nodal metastasis, mean age was 52.5 years and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94.2%. In patients with nodal metastasis, mean age was 69.4 years and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42.9%. In patients with less advanced cancer (T1-T2 stage), the nodal metastasis was 7.5% and with advanced cancer (T3-T4 stage), 33.3%. Conclusion: Nodal metastasis significantly decreases survival in patients with salivary gland malignancy. High grade malignancy, large tumor size and old age are important risk factors of nodal metastasis. Nodal metastasis is more common in submandibular gland cancer compared with parotid gland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