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정익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3초

대두에서 발생한 알파파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분류동정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Alfalfa Mosaic Virus from Soybean)

  • 이순형;최용문;김정수;정봉조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3-37
    • /
    • 1985
  • 황록색줄무늬모자익과 줄기 정단부가 구부러지는 증상을 보이는 대두 이병주를 채집하여 지표식물검정, 충매전염, 물리적 성질 조사, 항혈청검정 및 전자현미경검경을 하였다. 지표식물검정결과 T. expansa와 Scotia에 국부병반반응, 동부, 완두, 명아주 등에 전신감염 증상을 일으켰다.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한 전염율은 $90\%$였다.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이 $60^{\circ}C$, 내희석성이 1,000배였고, 내보존성이 2일이었다. 바이러스를 순화하여 항혈청제조결과 1:1024의 역가를 보였으며 일본 바이러스연구소에서 분양 받고 AMV 항혈청과 양성반응을 보였다. 전자현미경검경 결과 대부분 길이가 60nm인 박테리아 모양의 바이러스 입자가 검경되었다.

  • PDF

개와 보호자에서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유전자를 획득한 다약제내성 Klebsiella pneumoniae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Genes Acquired Multidrug-Resistant Klebsiella pneumoniae in a Dog and Its Owner)

  • 한재익;장혜진;김근형;장동우;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5-129
    • /
    • 2010
  • 2년령 암컷 포메라니안이 교통사고로 인한 골반골절로 내원하여 골절 교정수술을 받았다. 그러나 수술 후 술부에서 감염으로 인한 화농성 삼출물이 발생하였고, 분리한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penicillins, cephalosporins, aminoglycosides, quinolones, 그리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내성이 관찰되었다. 분리한 세균의 동정 및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ESBL) 확진시험을 통해 ESBL 생성 Klebsiella pneumoniae임을 확인하였다. 치료를 위한 Carbapenem계 항생제의 감수성 시험 결과에 따라 meropenem을 선택하여 치료에 이용하였다. 분리된 세균에서 ESBL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검사 결과 TEM-1 ESBL 유전자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보호자의 손바닥에서 분리된 세균에서도 TEM-1, SHV-1 ESBL 유전자가 검출되었다.

유산균의 분리와 동정 및 제제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nd its Utilization for Pharmaceutical Preparation)

  • 김성웅;김원배;박무영;양중익;민신홍;이상희;김용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71-175
    • /
    • 1977
  • 분리된 미생물은 pH 4.5내지 pH 8.0에서 100% 안정성을 나타내며 에너지원이 전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37$^{\circ}C$의 용액중에서 48시간 이고 경과시도 8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다. 생리식염수에서는 4$0^{\circ}C$에서 한 시간 방치하는 경우도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조건들을 검토해볼 때 생장내 조건에서 상당히 안정하며 경구투여제로 투여하기에 충분히 적당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겠다. 특히 포만시에 투여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므로 소화제등과 혼용한 약제로 축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기대된다.

  • PDF

안면부 동정맥 기형의 수술적 제거 후 흉배동맥 천공지유리피판을 이용한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Face Using Thoracodorsal Artery Perforator Free Flap after Resection of Arteriovenous Malformation)

  • 박범진;임소영;변재경;문구현;방사익;오갑성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4-48
    • /
    • 2009
  • Purpose: The treatment of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of the face remains a difficult challenge in plastic surgery. Incomplete resection resulting in uncontrolled bleeding, postoperative enlargement of the remaining malformation, and a poor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 could be the problems confronted by the surgeons. Methods: A 37 year-old male with large arteriovenous malformation in face treated with preoperative superselective transarterial embolization and free flap transfer. The size of the defect was $13{\times}9cm$. Sclerotheraphy without resection were performed several times but the results were unsatisfactory. Resection was performed the next day of embolization. We were able to repair with the thoracodorsal artery perforator free flap. And facial muscle reconstruction performed by simultaneous muscle and nerve transfer.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8 months the patient regained an acceptable cosmetic appearance. And he has shown no reexpansion of the malformation. Conclusion: The thoracodorsal artery perforator free flap could be a good choice for the reconstruction for massive defects of the face. A huge arteriovenous malformation could be safely removed and successfully reconstructed by the complete embolization, wide excision and coverage with a well vascularized tissue.

슬로우로리스에서 Streptococcus gordonii에 의한 치수염 및 안면부 염증 증례 (Pulpitis and Odontogenic Facial Inflammation with Streptococcus gordonii in a Slow Loris (Nycticebus coucang))

  • 강효민;손진나;장혜진;한재익;한태성;이영선;이영재;김근형;장동우;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5-277
    • /
    • 2015
  • 안면부 부종으로 내원한 1년령의 암컷 슬로우로리스의 신체검사에서 좌측 상악 견치의 골절이 확인되었다. 세포검사 및 방사선상에서 세균감염과 치수염이 각각 확인되었다. 세균은 배양 및 분자진단을 통해 Streptococcus gordonii로 동정되었다. 손상된 치아의 발치 및 항생제 투여 후 병변은 소실되었다.

장염을 나타낸 bearded dragon의 분변에서 Pichia burtonii의 분리 (Isolation of Pichia burtonii from the Feces of an Enteritis Bearded Dragon (Pogona vitticeps))

  • 강효민;한재익;이숙진;장해진;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4-257
    • /
    • 2011
  • 2년령 bearded dragon이 활력 감소 및 식욕 부진으로 충북대학교 동물의료센터에 내원하였다. 분변 검사 결과 다수의 세균과 함께 효모의 증식이 관찰되어 장염으로 진단되었다. 진균 배양 및 분자생물학적 진균 동정 결과 증식된 효모는 Pichia (P.) burtonii로 확인되었다. 치료는 ketoconazole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3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치료 3일 후 분변 내 효모는 사라졌으며, 이후 환자는 회복되었다. 본 증례와 사람에서의 보고를 종합하면 P. burtonii 는 장염이 있는 bearded dragon의 기회성 병원체로 추정된다. 또한 본 증례는 bearded dragon에서의 P. burtonill의 과증식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재배한 무순의 향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ultiv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 송미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0-27
    • /
    • 2001
  • 십자화과 식물인 무(Raphanus sativus L.)의 어린싹(무순)이 독특한 향과 맛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바 그 향기성분을 SDE(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extraction) 법과 P&T(purge and cryogenic trapping)법으로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향기성분 포집시 SDE법에서는 diethyl ether 및 diethyl ether-pentane mixture(2:1, v/v)를 용매로 사용하고 P&T법에서는 diethyl ether를 사용하였다. GC와 GC-MS를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diethyl ether로 추출한 SDE법에서는 함황화합물(19종, 76.6%)이 주성분이었고, diethyl ether-pentane mixture로 추출한 경우 함황화합물(15종, 44.0%)과 탄화수소류(23종, 23.8%)가 주성분이었으며, P&T법으로 추출할 경우는 탄화수소류(25종, 84.1%)가 주성분이었다. 또한 신선한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hydrocarbon류인 n-heptane, methyl pentane이었으며, 익은 무순의 주 향기성분은 sulfur compound에 속하며 무의 주성분이기도 한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 methyl mercaptane, 2,3-dimethyl disulfide 등이었다. SDE법 보다 P&T법에 의해 추출할 경우 향기성분의 종류와 상대적인 양은 적어 분리능은 떨어지는 편이나 저분자 휘발성 물질은 오히려 더 많이 검출되어 추출방법에 따라 포집되는 향기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었다.

  • PDF

효모표면표출(YSD) 기법을 이용한 참돔 이리도바이러스(RSIV) 외피단백질의 발현 (Expression of the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capsid protein using a yeast surface display method)

  • 서승석;박미례;황진익;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412-5418
    • /
    • 2014
  • 참돔 이리도바이러스(RSIV)는 이리도바이러스과에 속하며,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감염성 어류 질병을 유발하여 양식산업에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입히는 바이러스이다. 우리는 최근에 효모표면발현(yeast surface display, YSD)를 사용하여 다양한 해양바이러스를 동정하고 검출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참돔 이리도 바이러스(RSIV)의 외피단백질을 효모표면 발현 기법을 이용하여 발현시켰다. 바이러스 외피단백질 유전자는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합성되었고, 효모발현벡터인 pCTCON2으로 서브클로닝되었다. 이 벡터는 효모 strain EBY100으로 형질전환 되었다. Flow cytometry와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RSIV 외피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beta}$-mercaptoethanol 처리에 의해 발현된 바이러스 외피단백질을 효모 표면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YSD 시스템이 해양바이러스 외피단백질을 획득하기 위한 매우 좋은 발현시스템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서비스 실패 경험 후 레스토랑 브랜드 품질, 귀인 및 감정반응 관계분석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Restaurant Brand Relationship Quality, Attribution, and Emotional Response After Service Failure Experience)

  • 장기화;송수익;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20-113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레스토랑 이용객의 서비스 실패 후 감정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실패 귀인 요소, 그리고 고객의 브랜드 관계 품질이 서비스 실패 귀인 지각에 대한 환원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귀인이론은 귀인이론과 귀인적 이론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한 모형에서 귀인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신념과 귀인 후의 감정반응 간의 영향관계를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연구는 미미하다. 신념(BRQ: Brand Relationship Quality)-귀인-감정 3단계 모형을 구축하고 충돌 감정 반응(분노VS동정)의 독립성을 같이 검증되었다. 먼저, 감성적BRQ(친밀감 및 사랑)은 통제가능성 귀인에 미치는 환원효과가 있는데 행동적BRQ(상호의존)은 통제가능성 귀인에 미치는 확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적 관점에서 레스토랑 관리자는 고객의 서비스 실패의 반복 발생 가능성 지각을 낮추고 고객의 동정을 환기해야 한다. 통합적으로 레스토랑 관리자는 고객의 서비스 실패 귀인 지각을 잘 조절하고 고객의 BRQ이 감정반응에게의 영향효과를 환원시켜야 한다. 여러 가지의 서비스 회복 방안을 수립하고 귀인을 잘 조절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BRQ은 각각 분노 및 동정에 다른 효과(확대VS환충)가 있기 때문에 고객 BRQ의 특성에 따라 다른 서비스 실패 회복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이성적 BRQ 고객에게 금전 보상이나 공정성 거래, 친밀감 및 사랑 고객에게 감정배려, 상호의존 고객에게 호혜성 설득 등 방안을 상황에 맞게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후 귀인의 매개효과를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는데 BRQ-귀인-감정 과정에서의 여러 가지 조절요인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의 연구에서 서비스 실패 강도의 조절효과를 고려해야 하고 더 완전한 모형을 구축해야 한다.

동복호의 식물플랑크톤 출현 패턴 (Seasonality of Phytoplankton in Dongbok Lake, Korea)

  • 정명화;박종환;김상돈;김동호;장남익;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67-376
    • /
    • 2008
  • 동복호의 수중생태계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의 일환으로 상류, 중류, 하류의 식물플랑크톤의 출현패턴을 조사하였다. TN과 TP농도의 조사지점과 조사시기에 따른 변화는 5월을 제외하고는 크지 않았다. 클로로필의 농도는 상류와 중류에서는 8월에 가장 낮고 봄과 가을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류에서는 5월에 최고의 농도를 나타냈다.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상류에서 78종, 중류에서 71종, 그리고 하류에서 63종으로 총 108종이었다. 녹조류가 54종, 규조류가 30종, 그리고 남조류가 12종이 었으며 와편모조류와 그 밖의 조류가 12종이었다. 출현개체수분포는 상류에서는 5월과 8$\sim$9월의 두 번의 Peak를 나타냈고, 중류에서는 5월의 감소를 제외하면 봄과 가을의 높은 현존량과 여름의 낮은 현존량 패턴을 보여주었으며, 하류에서는 5월과 6월 사이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냈다. 최고의 현존량은 하류에서 5월에 7,158 cells mL$^{-1}$의 높은 개체군 밀도를 나타냈는데, 이 시기의 우점종은 Peridinium bipes f. occulatum이었다. 동복호에서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분포양상은 조사수역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규조류-와편모조류/규조류-남조류/녹조류/규조류-규조류가 교대로 우점하는 분류군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