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적 균형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36초

수치해석을 통한 자기보상 동적균형기의 작동성 검토 (Numerical Simulation of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in a Rotating Mechanism)

  • 이종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42-151
    • /
    • 1995
  • 회전체의 자동밸런싱을 위하여 고안된 자기보상 동적균형기는 홈이파인 원판에 강구와 저점성유체를 지닌 구조체이다. 유도된 운동방정식으로 부터 자기보상 동적균형기의 작동조건을 조사하기 우하여 수치해석을 통한 동 특성을 검토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에 근거하여 임계속도보다 높은 범위에서는 자기보상 동적균형기는 정상작동을 보여주었다. 임계속도에서는 회전계의 균형이 강구와 점성유체와의 감쇠계수에 의존하였으나 임계속도보다 낮은 범위에서는 어떠한 조건에 대해서도 작동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동차 및 항공기에도 응용가은한 자기보상 동적균형기의 작동조건들을 본 논문에서 예시하였다.

  • PDF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 대학생의 발목관절 변위와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stable plate on the ankle joint displacement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aring high-heeled shoes)

  • 남택길;이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1-38
    • /
    • 2017
  • 본 연구는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대학생의 발목관절의 변위와 동적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생 18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굽 높이가 9cm인 신발을 착용 한 후 3D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5m 보행 시의 발뒤꿈치와 발목의 변위를 검사하고, 동적 균형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4주 동안 주 3회, 불안정 판을 이용한 균형 훈련을 실시하고, 대조군에게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의 발목관절의 변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동적균형능력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대조군은 발목관절의 변위, 동적균형능력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대상자들의 발목관절을 안정화 시켜주고 동적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딴지근 길이가 동적 균형 및 발바닥의 앞뒤 압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strocnemius Muscle Length on the Dynamic Balance and Antero-posterior Pressure Distribution of Foot)

  • 이원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50-15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장딴지근 길이가 동적 균형과 발의 앞뒤 압력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8년 12월 3일부터 21일까지로 30명의 연구대상자를 장딴지근 길이 검사를 통해 장딴지근의 정상길이를 가진 대조군과 장딴지근 길이의 단축이 있는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동적 균형과 발의 앞뒤 압력분포는 Biorescue장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동적 균형을 평가하기 위해 앞쪽과 뒤쪽 방향의 안정성 한계를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군간 동적 균형과 발의 앞뒤 압력분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 t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군간 동적 균형과 발의 앞뒤 압력분포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장딴지근 길이의 단축은 앞쪽으로 동적 균형 및 발의 앞쪽 압력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안하고 그러므로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정상적인 균형능력을 위해 장딴지근의 적절한 길이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동적체계기반 확률적 사용자균형 통행배정모형 (Elastic Demand Stochastic User Equilibrium Assignment Based on a Dynamic System)

  • 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9-10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가변수요를 고려한 확률적 사용자균형 통행배정모형을 제시한다. 교통망에서 수요와 공급간의 균형을 가정할 경우, 통행비용의 함수인 가변수요는 통행저항함수(공급함수)와 함께 균형상태로 수렴하며, 이때 확률적 통행배정모형은 통행자들간의 경로인지 통행비용이 동일해지는 확률적 사용자균형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확률적 사용자균형모형은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동적체계(dynamic system)를 기초로 개발된다. 동적체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하나의 상태가 다음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표현하는 수리적인 방법으로 시간의 변화에 따라 그 상태가 변하는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데, 주로 제어공학(control engineering)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동적 체계의 개념을 도입하면, 기존 모형들과는 달리 쉽게 모형화(formulation)할 수 있으며 풀이과정(solution algorithm)도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도 동적체계를 이용하여 확률적 사용자균형 통행배정(user equilibrium traffic assignment)모형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형이 안정적인 해(stable solution)로 수렴한다는 것을 Lyapunov함수를 통하여 증명한다. 또한, 예제 교통망을 통하여 여러가지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한다.

대면, 비대면, 자가운동에 따른 체간안정화 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ccording to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self-exercise on balance ability)

  • 이경은;김소은;김현정;전정우;홍지헌;유재호;김진섭;김성길;남연교;이동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65-7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체간 안정화 운동으로 대면, 비대면, 자가로 실시하였을 때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는 건강한 20대 36명을 모집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로 세 그룹으로 나뉘어져 체간 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후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각각 측정하였다. 대면 및 비대면 그룹에서 중재 전, 후 동적 균형 및 정적 균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가운동군은 동적균형 3방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적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대면 및 비대면 운동이 체간 안정화 운동이 정적균형과 동적균형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비대면 운동의 사용 가능성을 지지하며, 균형 능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 능력에 대한 비대면 운동의 효과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동적부하 PEM 연료전지 발전기에 있어서의 수분전달 모델링 (Modeling of Water Transportation in Dynamic Load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Fuel Cell Power Generator)

  • 아궁 박티아르;최광환;김영복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7
    • /
    • 2011
  • PEM 연료전지에 있어서 수분의 균형이 연료전지의 시스템 성능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수분 균형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일부가 되었으며, 이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적절한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멤브레인 수화작용(membrane hydration)이 필요하며, 반대로 촉매층(catalyst layer)에서의 익수(water flooding)현상이 없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적 상태에서 PEM 연료전지 내의 수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동적 수분 조정 기술이 확보되어야 한다. 현재의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PEM 연료전지에서 동적부하 상태에서의 수분 이동에 관한 일차원 해석 모델에 관한 것이다. 금번 모델링의 결과, 양극촉매층(CCL, cathode catalystlayer)에서의 수분 상태는 거의 포화 단계에 이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모델링은 연료전지가 작동되는 동안의 CCL에 나타나는 수분의 양상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분 이동 모델이 국제규격에 따라 다양한 수송기관이 가동될 때, 동적부하 상태에서 서로 다른 차이점을 발견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 수분 포화도가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정적 수분 조절 요소에 따라 최적 상태가 모든 동적 분포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8방향 경사와 회전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8 Direction Incline and Rotation Exercise on Pain and Dynamic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구봉오;박민철;송유익;조예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85-292
    • /
    • 2010
  • 본 연구는 8방향 경사와 회전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명의 만성요통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10명(실험군)은 물리치료기구[온열팩{Hot Pack(H/P), 경피신경자극{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TENS)}, 초음파{Ultra Sound(U/S)}]를 이용한 치료를 받은 후에 8방향 경사와 회전운동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10명(대조군)은 물리치료기구를 이용한 치료만 실시되었다. 치료 중재는 주 3회, 6주 동안 적용되었다. 동적균형과 통증은 Star Excursion Balance Test(SEBT)과 Visual Analog Scale(VA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VAS 점수는 두 그룹 모두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적균형 능력 또한 실험군에서 보다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8방향 경사와 회전운동은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효과가 있었다고 사료된다.

복부 할로잉 운동과 복부 브레이싱 운동이 동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Hollowing Exercise and Abdominal Bracing Exercise on Dynamic Balance)

  • 이정인;최지혜;이예원;김지은;임가영;박종윤;윤병욱;유형균;진민재;형인혁
    • 산업과 과학
    • /
    • 제2권2호
    • /
    • pp.16-24
    • /
    • 2023
  • 목적:본 연구는 복부 할로잉 운동과 복부 브레이싱 운동을 통해 동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를 알아 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성인 남녀 학생 9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Y-균형검사와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그룹 간의 동적 균형 검사에서, 특히 복부 할로잉 운동을 실시한 그룹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대표적인 척추안정화 운동 복부 할로잉 운동과 복부 브레이싱 운동 모두 동적균형의 증가에 있어 유의미하지만, 즉각적 효과라는 측면에서 어떠한 방법이 더 효과적이라고 제시하는 것은 어렵다.

과제 지향 훈련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ask-Oriented Exercise on the Balance in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 지상구;김명권;이동걸;차현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22-232
    • /
    • 2012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난 후 3주 이내의 환자 24명에게 과제 지향 훈련과 체중 이동 훈련이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과제 지향 훈련군(실험군) 12명과 체중 이동 훈련군(대조군) 12명을 2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각 군의 운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aitview 시스템과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통해 정적 균형을 측정하였고, Balance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적 균형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실험 전과 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제 지향 훈련군이 체중 이동 훈련군에 비해 정적, 동적 균형 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조기 환자들에게 과제 지향 훈련이 균형 능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