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작 평가

검색결과 1,579건 처리시간 0.044초

다-방향 동작인식에 대한 알고리즘 연구 (The Study on Algorithm for Multidirectional motion recognition.)

  • 박수진;이은옥;이병권;조현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791-1793
    • /
    • 2015
  • 현재, 동작 인식 센서를 이용한 동작 평가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정확한 평가시스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제스처 인식 장비에서 정보를 받아, 여러 개의 센서가 겹쳤을 때 효율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에 대한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 오진욱;박종현;조장현;이철;윤명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인체 다물체 동역학 모델을 이용한 생체역학 분석 및 평가 기술 (Biomechanical Analysis and Evaluation Technology Using Human Multi-Body Dynamic Model)

  • 김윤혁;신준호;철먼바타르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94-499
    • /
    • 2011
  • 인체 근골격 시스템에 대한 다물체 동역학 모델을 이용한 동작중의 인체 내부의 생체역학 분석 및 평가 기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의료영상과 사체실험 결과를 기본으로 하는 인체 다물체 동역학 모델과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인체 동작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생체내 발생하는 관절기구학, 관절모멘트 관절접촉력 및 근력을 예측하는 기술을 보행과 팔굽혀펴기 두 동작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체 다물체 동역학 모델링 기술과 3차원 동작분석기술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생체의 분석 및 평가 기술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 관찰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연구 (The Effect of Gradually Observation-Reduction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Study)

  • 한민;박주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29-238
    • /
    • 2020
  • 본 연구는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 관찰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만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 관찰훈련을 하는 실험군 4명과 기존의 동작 관찰 훈련을 받는 3명의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주 6회, 회당 30분씩, 총 2주간 실시하였다. 상지 기능 평가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BT)와 푸글 마이어 상지 운동기능평가 (FMA)를,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 평가는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와 운동 활동 지표 (MAL)를 사용하였다. 그룹 별 중재 전·후 차이의 비교 결과와 두 그룹 간의 비교 결과는 BBT, FMA, K-MBI, MAL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평균 점수 측면에서 더 큰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 관찰훈련은 기존의 동작관찰훈련 보다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전용 진공 차단기의 건전성 평가 및 전단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liability & Diagnostic Method of Vacuum Circuit Breaker for Distribution System)

  • 박성태;김철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전문위원
    • /
    • pp.72-7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배전용 진공차단기를 계통 내에서 설치, 사용되는 과정에서 기기의 신뢰성 및 계통안전도 향상을 위해 필요한 유지 보수 방법과 측정된 결과 값을 통한 건전성 평가에 대한 방안을 IEC 및 IEEE와 같은 차단기 국제 규격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동작횟수 증가에 따른 동작커브(travel curve)변화를 분석하여 차단성능 변화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생체신호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연구 -심전도 센싱 의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 -Based on ECG Sensing Clothing-)

  • 조하경;조현승;구수민;송하영;강다혜;이주현;이정환;이영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09
  • 최근 생체 신호 센싱 기능의 의류가 연구 개발되어 왔으나, 생체 신호 측정 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치명적인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심전도 센싱 의류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심전도 센싱 스마트 의류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자형 절개 타입', '십자형 절개 타입', '엑스형 절개 타입', '곡선 엑스형 절개 타입'의 총 네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시안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디자인 시안은 민소매 형태의 남성용 티셔츠로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인체 굴곡을 따라 의복과 전극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메인 컴퓨터로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4 가지 의류 타임을 기반으로 인체의 정지 및 동작 상태에서의 심전도 센싱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작에 따른 전극의 변위를 측정하고, 심전도 측정 평가를 실시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곁과를 반영하여 의류 디자인 시안의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동작 잡음을 최소화하는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 디자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SDR 시스템의 운용소프트웨어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Quality Evaluation for SDR System Operating Software)

  • 김민수;이건준;하성재;조상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57-664
    • /
    • 2014
  • 본 논문은 SDR(Software-Defined Radio) 송수신기의 운용 소프트웨어 품질평가를 위한 평가 척도를 제시하고 평가를 자동화할 수 있는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 설명한다. SDR 운용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에 종속적인 동작을 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평가 척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동작 환경 및 운영 분야와 동작 방식에 근거한 품질평가 요구사항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평가 척도를 이용한 품질평가의 자동화를 위하여 평가 소프트웨어를 C#언어와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평가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평가 요소를 입력 또는 갱신할 수 있으며 스크립트를 이용한 자동 평가 기능이 있으며 평가 결과의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도출된 평가 척도와 평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파악된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점은 고품질 SDR 운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저전력 센서를 위한 무선 전력 수신 모듈 소형화 설계 (Compact Desig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for Low-Power Sensor Applications)

  • 이용완;최태민;이석재;임종식;안달;한상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79-1280
    • /
    • 2015
  • 본 논문은 저전력 센서를 위한 무선 전력 수신 시스템을 설계하여 Wake-up 회로에 응용함으로써, 유효 신호의 입사 시에만 동작되는 수신기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 된 시스템은 기존 여파기를 DGS(Defected Ground Structure) 형태로 설계하여 소형화에 기여하였으며 여파기는 다이오드에 의해 생성되는 고조파 신호의 제거와 DC 통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설계된 Rectenna의 변활 전력을 이용하여 수신기 시스템 스위치의 온, 오프를 조절함으로써 저전력 센서 수신 시스템의 동작 여부를 평가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신호 수신 여부에 따른 저 잡음 증폭기와 데이터 복조의 동작 여부로 성능이 평가되었으며 우수한 동작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저압 차단기에서의 고조파 및 파형왜곡 (Harmonics and Waveform Distortion in Low Voltage Circuit Breakers)

  • 전정채;이상익;유재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48-251
    • /
    • 2006
  • 최근 사무용 빌딩에서 비선형 부하에 기인한 전압 및 전류파형의 왜곡 및 고조파로 인해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 불필요 동작 또는 오동작이 발생하고 그로 인한 피해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나 어느 정도의 고조파양과 차수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수용가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양과 차수의 측정과 분석을 통한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 동작특성의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조파로 인해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 불필요 동작이 발생하는 사무용 빌딩에서의 전압 및 전류 고조파의 크기, 전압 및 전류 파고율 등을 측정 및 분석하여 향후 고조파에 의한 배선용 및 누전차단기 동작특성 평가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퍼지 집합과 신경망을 이용한 동작 인식 (Motion Recognition using Fuzzy Sets and Neural-nets)

  • 남성현;김광용;김현숙;황종선;양영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10호
    • /
    • pp.1028-1037
    • /
    • 2000
  • 비디오 영상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객체에 대한 인식방법을 제안한다. 이 객체는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움직임의 방향을 예측하기 어렵고 빠르게 움직인다. 객체의 동작은 그 객체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움직임의 특성과 객체의 주변상황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논문은 자연스럽고 동적인 상황에서 객체의 동작을 분석하고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객체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 동작을 구분하고 분석하여 동작의 대표특징을 추출한다. 그리고, 하나의 객체 주위에 다가오는 다른 객체와의 상관관계를 표현한다. 또한, 동작인식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즉, 구간별 포아송(Poisson) 넌-제로(Non-zero)확률 분포를 통한 방법과 퍼지와 신경망의 결합에 의한 인식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들로 구현된 인식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평가한다. 우리의 알고리즘은 축구영역에서 시험된다. 우리는 동작인식의 성공뿐 아니라 실패의 경우도 설명하며 미래의 연구할 과제를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