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작감지 센서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 Position-based Virtual Multi-Percussion using Inertial Sensors (관성 센서를 이용한 위치기반 가상 멀티 타악기)

  • Choi, Eun-Seok;Sohn, Jun-Il;Bang, Won-Chul;Kim, Yeun-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79-385
    • /
    • 2007
  • 관성 센서는 외부 장치의 도움 없이 3차원 공간상에서 움직임 측정이 가능하다. 최근 MEMS 기술의 발달로 소형 저가 관성 센서(가속도 센서 혹은 각속도 센서) 제작이 가능해져 관성 센서를 소형 휴대 기기에 내장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의도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성 센서가 내장된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6가지 위치에 따라서 각기 다른 6가지 소리를 발생하는 가상의 멀티 타악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즉, 휴대 기기를 상/하로 흔들면 가상 타악기의 타점 위치에 왔을 때 비트 음을 발생하고, 6개의 다른 위치를 구분하여 다른 타점의 위치에서 휴대 기기를 흔들면 각각 그 위치와 미리 지정된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가상의 멀티 타악기 시스템을 위해서 3차원 공간상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휴대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가의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 기기를 움직이는 동작이 있는 상황에서 실시간으로 휴대 기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움직임 동작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가상의 멀티 타악기를 상/하로 흔드는 동작을 감지하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구분하였다. 개발된 동작 감지 알고리즘과 위치 구분 알고리즘을 휴대 기기에 적용되어 실제로 가상의 타악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Thermal Analysis of Highly Integrated Gas Sensor Array with Advanced Thermal Stability Properties (안정성이 개선된 고집적 가스센서 어레이 열해석)

  • 정완영;임준우;이덕동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0 no.12
    • /
    • pp.17-23
    • /
    • 2003
  • A sensor array (3${\times}$5$\textrm{mm}^2$ in diaphragm dimension) of 12 sensing clements with different operating temperatures was optimized with respect to thermal operation. This sensor array with single heater on a glass diaphragm over back-etched silicon bulk realizes a novel concept of a sensor array: an array of sensor clements opera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can yield more information than single measurement. The proposed micro sensor array could provide well-integrated array structure because it had only single heater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and used the various sensing properties of two kinds of metal oxide layers with various operating temperatures.

Touch Play Pool: A Mobile User Interface Using Capacitive Touch Sensors (Touch Play Pool: 정전용량형 터치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 Chang, Wook;Cho, Seong-Il;Soh, Byeong-Seok;Lee, Hyeon-Jeong;Park, Joon-A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73-577
    • /
    • 2007
  • 터치 센서를 이용한 휴대단말용 인터페이스가 다양하게 개발되면서 차세대 인터랙션 수단으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지만, 버튼 인터페이스에 비해 오동작에 취약하고 터치 인터페이스만의 차별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터치 드래그 동작을 주요 인터랙션 수단으로 활용한 모바일 기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오동작을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조작할 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UI 요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터치 인터페이스는 기기의 내부/외부 방향의 스크롤 동작을 각각 drag-in/drag-out 동작으로 칭하고 이러한 드래그 동작을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과 종료에 할당하였으며 터치 센서를 따라 움직이는 스크를 동작은 기존과 동일하게 일반적인 스크롤 행위를 지시하는데 적용하였다. 제안한 인터랙션 방법은 터치 센서의 형태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기기 스크린 외곽에 터치 센서를 이열(二列) 배치하여,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크린 주변의 터치 센서를 활용한 drag-in/out 동작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 구현 방법은 정전용량형 터치 센서 IC를 활용해 터치 스크린 기능과 함께 스크린 주변의 기기 케이스의 일부까지도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 저항 방식 터치 스크린과 달리 본 논문에서 활용한 방식은 스크린과 케이스에서 동시에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다접점 감지 알고리즘의 개발로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한 다양한 터치 인터랙션으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EF Sensor-Based Hand Motion Detection and Automatic Frame Extraction (EF 센서기반 손동작 신호 감지 및 자동 프레임 추출)

  • Lee, Hummin;Jung, Sunil;Kim, Youngchul
    • Smart Media Journal
    • /
    • v.9 no.4
    • /
    • pp.102-108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method of detecting hand motions and extracting the signal frame induced by EF(Electric Field) sensors. The signal induced by hand motion includes not only noises caused by various environmental sources as well as sensor's physical placement, but also different initial off-set conditions. Thus, it has been considered as a challenging problem to detect the motion signal and extract the motion frame automatically in real-time. In this study, we remove the PLN(Power Line Noise) using LPF with 10Hz cut-off and successively apply MA(Moving Average) filter to obtain clean and smooth input motion signals. To sense a hand motion, we use two thresholds(positive and negative thresholds) with offset value to detect a starting as well as an ending moment of the motion. Using this approach, we can achieve the correct motion detection rate over 98%. Once the final motion frame is determined, the motion signals are normalized to be used in next process of classification or recognition stage such as LSTN deep neural networks. Our experiment and analysi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s produce better than 98% performance in correct motion detection rate as well as in frame-matching rate.

차량용 강우센서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강우관측 기술 개발

  • Lee, Suk Ho;Lee, Byung Hyu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78-178
    • /
    • 2018
  • 차량용 강우센서는 강우에 따라 와이퍼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강수의 크고 적음을 대략적으로 판단하여 와이퍼의 속도단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량용 강우 센서는 동작원리는 송수신되는 광신호에 기반한다. 일반적인 강우관측기와 달리 물 입자가 커질수록 빛의 산란이 크게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다. 산란이 크게 일어나면 강우 센서에 수광부의 광신호 값이 줄고 이는 강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센서의 감지신호(Signal)와 실제강우(R)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강우량으로 환산할 수 있는 R-S관계식을 개발하였다. 센서의 감지 신호(Signal)를 강우량으로 환산하기 위하여 실내 강우발생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강우(R)를 증가시키고 그때 발생된 센서 감지량(S)의 관계를 수치적으로 분석하여 상관식을 만들었으며 실제 AWS, 자기우량계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Energy Saving of Monitor For Using PIR Sensor (동작 감지 센서를 이용한 모니터 절전 시스템)

  • Moon, Seong-Cheol;Kim, Ji-Won;Jeong, Yu-Jeong;Lee, Hae-Ye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745-1747
    • /
    • 2015
  • 에너지 절약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절전 기능을 갖춘 모니터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몇 분간 컴퓨터 동작이 없을 시 절전 모드가 되는 등 획일화된 기능들이 주를 이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작 감시 센서를 이용하여 실사용자가 모니터 앞에 없을 시 전원을 꺼주는 절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동작 감시 센서를 이용하여 모니터 앞에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며, 3분 이상 동작이 없을 시 윈도우 API를 통해 모니터 화면 만을 꺼주도록 한다. 동작 감시 센서의 사각지대 존재, 사용자 동작이 멈추는 특수한 상황 등의 보완점이 존재하지만, 모니터 앞에 있는 실사용자를 인식하여 절전 기능에 활용한다는 점에서 실사용자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방향으로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 and Fabrication of A Doppler Radar for Motion Detector Using Frequency Tunable Hairpin Resonator (주파수 가변형 헤어핀공진기를 이용한 동작감지용 도플러 레이더센서의 제작 및 설계)

  • Kim, Eun-Su;Kim, Gue-Chol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5
    • /
    • pp.931-936
    • /
    • 2018
  • We designed an x-band radar for motion detector using a frequency tunable hairpin ring resonator. The proposed doppler radar sensor can vary the oscillation frequency by applying a hairpin resonator using a varactor diode to the oscillator, and this can also reduce the size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rom Tx/Rx dual antenna. The fabricated doppler radar sensor was fabricated in $30{\times}24m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ulse width difference occur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The measurement results showed oscillation at 10.525GHz. We confirmed that it is enough to use as radar for motion detection from the measured results.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of Optic Temperature Sensor for Overheat Detection in Panel Board (분전함에서 이상발열 감지를 위한 광온도센서의 동작특성 분석)

  • Moon, Hyun-Wook;Kim, Dong-Woo;Gil, Hyung-Jun;Kim, Dong-Ook;Lee, Ki-Yeon;Kim, Hyang-K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3 no.10
    • /
    • pp.100-106
    • /
    • 2009
  • In this study, methods of overheat detection at the coupling or wire in electrical facility are investigated, operating characteristic about the optic temperature sensor for continuous on-line temperature monitoring in diagnostics system of electrical facility is analyzed. Heating sources in the experiment for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optic temperature sensor use black body and hot plate, output voltage of optic temperature sensor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variation is analyzed. Overheat generation due to poor contact at the circuit breaker in panel board detects using a thermocouple, infrared thermal camera and optic temperature sensor, and experiment results are analyzed. The effect of optic temperature sensor is the same that of other methods. These results expect to use basic research material for adjusting field of electrical diagnostics system using RFID type optic temperature sensor in the near future.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Model Based on USN for Landslide Detection (산사태 감지를 위한 USN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Cheon, Dong-Jn;Kim, Jeong-Sub;Lee, Seung-Ho;Kwak, Dong-Kurl;Coi, Shin-Hyung;Lee, Bong-Sub;Jung, Do-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12-816
    • /
    • 2012
  • 본 논문은 산사태 감지 및 붕괴예측을 위한 현장에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적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USN기반의 상시모니터링시스템모델을 제작하고 실험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능평가는 지표변위 센서모듈 동작특성 실험적 평가, USN은 Data 수집 전송 효율성 실험적 평가, 개발한 상시감시모니터링 프로그램 동작성능 실험적 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지표변위 측정센서모듈은 변위각도에 일치성을 확인하고, USN은 지표변위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Data를 상시모니터링시스템에 오류 없이 전송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개발한 상시모니터링 프로그램 동작기능은 실시간 모니터링 그래프, 임계동작 알고리즘, 위험성 통보 문자서비스(SMS)기능, 알람서비스기능, 현장 감시카메라 등 동작기능의 우수성을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사태 감지 예측을 위한 USN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은 산사태위험성노출 지역에 원격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ulti-purpose smart mirror including CCTV function (CCTV 기능을 포함한 다용도 스마트 미러)

  • Lee, Tea-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863-865
    • /
    • 2022
  • 본 프로젝트는 시간, 날씨, 미세먼지 농도, 캘린더, 뉴스 등을 포함한 기본적인 생활정보를 스마트 미러에 디스플레이 해주며 추가적으로 구글 어시스턴트를 활용해 음성인식으로 유튜브 재생,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기능을 내재하고 있다. 아울러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해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동작하다 움직임이 감지하면 일반 모드로 동작한다. 마지막으로 CCTV 기능을 내재하고 있어 CCTV 화면을 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하며 사람 얼굴이 감지될 시 화면을 녹화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