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위원소 희석법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9초

셀레늄강화 사료를 먹인 모돈 혈청에서의 셀레노아미노산 및 셀레노단백질 분석 (Analysis of selenoaminoacids and selenoproteins in blood serum of sows fed by selenium fortified feed)

  • 박명순;이성훈;박용남
    • 분석과학
    • /
    • 제28권3호
    • /
    • pp.196-203
    • /
    • 2015
  • 셀레늄 강화 사료를 먹인 모돈에 대하여 혈청에서의 셀레늄 화학종들 즉, 무기셀레늄, 셀레노아미노산 및 셀레노단백질들을 음이온 교환과 친화 크로마토 그라피를 ICP/MS에 연결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무기 셀레늄(Se4+와 Se6+)과 셀레노 아미노산들은 PRP X-100 음이온 교환 컬럼을 사용하였고 셀레노 단백질들의 경우에는 HEP 컬럼을 사용하여 SelP을 GPx+SeAlb로 부터 분리하였다. 정량분석은 후 컬럼 동위원소 희석법을 사용하여 이 들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모돈 실험군을 3 그룹으로 나누고 셀레늄이 강화된 사료(유기셀레늄 0.3 mg/kg, 0.6 mg/kg 및 무기셀레늄 0.6 mg/kg)를 4주 동안 먹였을 때 셀레늄 화학종들의 변화 및 사료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셀레노 아미노산의 경우, 실험군들은 무기셀레늄 강화사료를 제외하고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보여주었다. 유기셀레늄 강화사료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셀레노 단백질의 경우는 실험군 모두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를 보여주었는데 특히 SelP가 다른 단백질에 비하여 1.5 배 정도 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HPLC와 중수소 충돌기체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한 셀레노단백질과 한국인 직장암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for the Relation Between Selenoproteins and Korean Rectal Cancer Using Deuterium Collision Gas HPLC-ICP/MS)

  • 이서영;박용남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6호
    • /
    • pp.420-42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중수소를 충돌기체로 사용한 ICP-MS와 ammonium formate를 용리액으로 사용한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혈청에서의 셀레노단백질 GPx, SelP 및 SeAlb을 분리하고 후 칼럼 동위원소 희석법으로 정확히 정량하였다. 인증기준물질인 BCR 639 (133±12 ng g-1)에 대하여 측정한 셀레늄 총량값은 130±6 ng g-1으로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인의 직장암 그룹 25명과 통제군 30명의 혈청 속 셀레노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셀레늄 총량에 대하여 직장암 그룹이 84±27 ng g-1, 통제군이 119±28 ng g-1으로 직장암 그룹이 통제군 보다 95%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더 작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즉 t 계산값은 4.93으로 95% 신뢰수준의 2.04보다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60대 이상의 고 연령층일 수록 더욱 뚜렷하였다. 각 셀레노단백질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두 그룹은 서로 비슷하였고 각 셀레노단백질과 직장암에 따른 특별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직장암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셀레노단백질 중 GPx의 농도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셀레늄 총량의 경우 2기에서 약간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식품 중 총 PCBs의 분석 및 노출량 평가 (Analysis and exposure assessment of the total PCBs in foods)

  • 오금순;서정혁;백옥진;김동술
    • 분석과학
    • /
    • 제22권6호
    • /
    • pp.449-457
    • /
    • 2009
  • 국내에 유통 중인 식품을 대상으로 PCBs 62종 동족체를 동위원소희석법으로 분석하고 노출평가를 실시하였다. 시료에 $^{13}C$-labeled된 회수율 측정용 표준용액을 가하여 추출하고 다층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HRGC/MSD로 분석하였다. 식품 중 평균 검출량(ng/g)은 쌀 0.13, 육류 1.8~3.4, 우유 및 유가공품 0.3~3.7, 계란 10.0, 수산물 0.8~34.4 이었다. 식품군별 검출분포는 수산물(94.4%) >육류 (2.3%) >알류(1.7%) > 우유 및 유가공품(1.3%) >쌀(0.3%) 순이었다. 식품을 통한 총 PCBs의 1일 노출량은 14.5 ng/kg bw/day로 건강상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해원소 측정용 토양 인증표준물질 개발 (Development of soil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for determination of the hazardous elements)

  • 김인중;민형식;서정기;한명섭;임명철;김영희;신선경;조경행
    • 분석과학
    • /
    • 제23권5호
    • /
    • pp.485-491
    • /
    • 2010
  • 토양 중 유해원소 분석용 인증표준물질 KRISS CRM 109-03-SSD를 개발하였다. 인증 대상 원소는 현행 토양환경보전법에서 규제하고 있는 비소, 카드뮴, 크로뮴, 구리, 수은, 니켈, 납, 아연이다. 인증표준물질 제조를 위한 출발물질은 강원도 상동의 텅그스텐 폐광 광미 더미에서 채취하였다. 출발물질은 선별, 건조, 분쇄, 체거름, 혼합, 병입, 살균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제조한 다음 ISO Guide 35의 절차를 준용하여 인증하였다. 측정에는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ID-ICP/MS) 및 기기중성자방사화분석법(INAA)을 이용하였다. 균질도 평가는 ISO 13528의 부속서 B를 준용하여 실시하였다. 인증값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측정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 또는 동일한 방법이지만 독립적으로 2회 반복 시행된 분석의 결과로부터 결정하였다. 최종으로 비소, 카드뮴, 크로뮴, 구리, 납, 니켈, 아연 7개 원소에 대한 인증값을 결정하였다. 수은은 낮은 농도로 인해 균질도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해 철, 텅그스텐과 함께 참고값으로 제공된다. 환경감시목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ISO 11466에 따른 왕수에 의한 용출시험 또한 실시하였다. 용출시험은 공립시험소 및 대학 시험소 등 6개 기관의 공동분석으로 수행되었다. 용출시험의 실험실간 편차는 인증값의 불확도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용출시험에 대한 공동분석 결과는 참고값으로 제공된다.

해산물 시료에서 solid-phase extraction 및 HPLC-ICP/MS를 이용한 셀레늄 화학종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selenium species in sea food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and HPLC-ICP/MS)

  • 김은주;주민규;권효식;박용남
    • 분석과학
    • /
    • 제26권5호
    • /
    • pp.307-314
    • /
    • 2013
  • 셀레늄은 다양한 화학종으로 존재하며 그 농도와 형태에 따라 활성도나 생물학적 이용도가 달라지므로 식품에 대한 셀레늄 화학종의 정확한 분리 및 정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역상 (RP; reversed phase)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와 유도결합 플라즈마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질량분석법 (MS; mass spectrometry)을 사용하여 해산물 시료 중 셀레늄 화학종을 분리 검출 한 뒤에 후 컬럼 동위원소희석법 (post column isotope dilution)으로 정확히 정량 하였다. 시료 중 $^{80}Se$의 간섭요인인 $^{79}Br$을 제거하기 위해 고체상 추출법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79}Br$을 제거하였고 남아있는 $^{79}Br$은 수학적 보정식을 이용하여 보정해주었다. CRM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DOLT-4를 사용하여 셀레늄의 총량을 분석한 결과는 인증치와 잘 일치하였지만 각 화학종에 대한 정보는 비교할 수 없었다. 한국인 식탁에 오르는 대표적인 해산물 시료인 갈치, 삼치, 오징어, 등을 분석한 결과, 주된 셀레늄 화학종은 SeCys (selenocysteine)와 SeMet (selenomethionine)이었으며 각각은 0-661.6 mg/kg and 137.3-462.7 mg/kg의 농도로 존재함 을 알 수 있었다.

논토양에서 중질소(N-15)를 이용한 표면시용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질소의 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Surface-Applied Urea with $^{15}N$ Isotope Dilution Technique in Paddy Soil)

  • 이상모;류순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4호
    • /
    • pp.277-286
    • /
    • 1994
  • 중질소(N-15)를 추적자로 사용하는 동위원소 희석법(isotope dilu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수도를 pot 재배하면서 중질소로 표지된 요소를 15kg N/10a(관행구)와 30kg N/10a(배비구) 수준으로 사용한 후 토양과 수도체의 중질소함량을 안정동위원소비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사용한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질소의 수지(balance)를 계산하였다. 수도체 중 시용한 요소로부터 유래하는 질소가 차지하는 비율(NDFF)은 관행구에서 평균 64%, 배비구에서 평균 89%로서 배비구가 높았으나, 수도체에 의한 시용된 요소의 회수율은 관행구와 배비구가 각각 65.5와 54.2%로서 시용된 요소의 효율은 관행구가 높았다. 시용된 요소 중 토양에 무기태 질소의 형태로 남아있는 잔류율은 관행구과 배비구에서 수도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 각각 $13.5%(NH_4-N\;5.53%,\;NO_3-N\;7.99%)$$16.5%(NH_4-N\;7.49%,\;NO_3-N\;8.98%)$이고, 수도를 재배한 경우 각각 $2.0%(NH_4-N\;0.63%,\;NO_3-N\;1.32%)$$2.3%(NH_4-N\;0.87%,\;NO_3-N\;1.40%)$로서 수도를 수확한 직후의 토양에서 관행구와 배비구 모두 시용된 요소는 $NH_4-N$의 형태보다는 $NO_3-N$의 형태로서의 잔류율이 높았다. 시용된 요소 중 토양에 유기태 질소의 형태로 남아있는 잔류율은 수도를 재배한 경우에는 관행구와 배비구가 각각 23.65와 26.93%로서 비슷하였으나, 수도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 64.98과 41.83%로서 큰 차이가 있었다. 수도체와 토양에 의한 시용된 요소의 전체 회수율은 수도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 관행구 78.5%, 배비구 58.3%이고, 수도를 재배한 경우 관행구 91.1%, 배비구 83.4%로서 시용된 요소의 전체 회수율은 관행구가 높았다.

  • PDF

HRGC/HRMS를 이용한 국내유통 육류 중 다이옥신류 분석 (Analysis of Dioxins in Meat by HRGC/HRMS)

  • 최동미;허수정;정지윤;원경풍
    • 분석과학
    • /
    • 제14권1호
    • /
    • pp.88-93
    • /
    • 2001
  • 식품 중에 미량 존재하는 다이옥신류를 분석하기 위하여 육류인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를 서울 춘천 대전 광주 부산의 5대 도시 시장 등에서 채취하여 HRGC/HRMS를 이용한 동위원소희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료를 균질화하여 Soxhlet 추출 후 지방함량을 측정하고 정제를 하여 dioxin 7종, furan 10종 및 co-planar PCB 3종에 대하여 HRGC/HRMS로 분리능 10,000에서 분석하였다. 각각의 congener에 대한 회수율은 80-153%이었으며, 검출한계는 congener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S/N>3에서 0,01ppt 수준이었다. 대상시료의 검출량을 WHO-TEF에 의한 TEQ로 산출한 결과 다이옥신의 평균잔류수준은 소고기 0.018, 돼지고기 0.008, 닭고기 <0.001 pgTEQ/g이었으며, non-ortho co-planar PCBs의 평균잔류수준은 소고기 0.008, 돼지고기 0.002, 닭고기 0.001 pgTEQ/g으로 닭고기의 오염수준이 제일 낮게 나타났다. 또한 분석시료에서 다이옥신류의 분포패턴을 살펴보면 OCDD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o-planar PCBs의 경우는 77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손톱과 모발에서의 셀레노 화합물의 화학종 분석 (Speciation Analysis of Seleno-Compounds in Hair and Finger Nails)

  • 지영;금대섭;박용남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203-209
    • /
    • 2020
  • 손톱과 모발에서 셀레늄을 추출하고 HPLC-ICP/MS로 셀레늄의 각 화학종을 분리한 뒤 분석하였다. 셀레노 화합물은 주로 SeCys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아내었고 이 들 시료의 분석을 통하여 인체에서의 셀레늄에 농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5명의 참가자들에 대한 손톱을 12개월간 모니터링한 결과, 농도는 평균 858.6 ± 201.2 ng g-1 이었는데 각 개인의 농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가 크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개인간의 평균값차이도 심하지 않았다. 모발의 경우, 평균농도는 205.3 ng g-1으로서 손톱보다는 낮았다. 지원자들에게 셀레늄 보조제 22 ㎍ day-1를 3개월씩 투여하였을 때에 섭취 전후(각 3개월의 기간)의 농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셀레늄보조제의 농도를 300 ㎍ day-1으로 증가시켜 2개월간 투여하였을 때에는 손톱에서의 셀레늄 농도가 1,230 ng g-1으로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손톱은 인체가 장기간(수 개월 이상)동안 노출되었거나 또는 흡수한 셀레늄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여 나타낼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식품 중 indicator PCBs의 분포와 노출평가 (Distribution and exposure assessment of indicator PCBs in Food)

  • 오금순;서정혁;백옥진;박성수;나영준;안영순;김미혜;이광호
    • 분석과학
    • /
    • 제23권3호
    • /
    • pp.312-321
    • /
    • 2010
  • 7개 indicator PCBs (IUPAC nos 28, 52, 101, 118, 138, 153, 180)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인의 대표식품을 중심으로 곡류(백미), 육류, 알류, 우유와 유가공품, 수산물 및 그 가공품을 대상으로 동위원소희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식품들 중 어류(평균 39.8 ng/g)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로 우유 및 유가공품 (1.4 ng/g), 육류 (0.9 ng/g)이였다. 어류 중 갈치 15.4 ng/g, 삼치 5.4 ng/g, 조기 4.5 ng/g 및 고등어 4.4 ng/g가 검출되었다. 모든 식품에서 indicator PCBs의 비율은 PCB-153 35.8%, PCB-138 16.2%, PCB-101 16.1%, PCB-118 13.4%, PCB-180 8.8%, PCB-52 6.9% 및 PCB-28 2.9% 이었다. PCB-153과 138은 hexa-CB로서 분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penta-CB인 PCB-101과 118 이었다. 식품을 통한 indicator PCBs에 의한 인체의 평균 및 극단 노출량은 수산물 및 그 가공품이 50%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이 수준은 한국인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지 않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ABS 중 phthalates 가소제 CRM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hthalate plasticizers CRM in ABS resin)

  • 정정설;박정우;유석;권성일;홍성택;선일식;박천민;최창휴
    • 분석과학
    • /
    • 제25권5호
    • /
    • pp.273-283
    • /
    • 2012
  • 현재 RoHS 및 REACH, CPSC 등에서 phthalates 가소제를 유해물질로 분류하여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phthalates 가소제 정량분석용 ABS 인증표준물질을 개발하였으며 인증 대상물질은 DMP, DEP, DBP, BBP, DEHP, DnOP이다. 후보물질은 전기 전자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ABS 수지에 phthalates 가소제 6가지 물질을 혼합한 후 쌍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압출, 냉각, 펠렛, 건조의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으며 ISO Guide 35의 절차에 따라 인증하였다.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ID-GC/MS)을 이용하여 균질성, 단기안정성 및 장기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소급성 확립을 위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의 일차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인증값을 결정하였다. 향후 인증표준물질로서 인증을 받은 후, 국제 표준물질 데이터베이스(COM AR:code of reference material)에 등록하고 국내 외 산업체 및 시험기관에 보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