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영상 교육

검색결과 541건 처리시간 0.037초

정보활용기술 발전에 따른 효과적 사이버 교육을 위한 설계 및 구현의 차이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Effects of Three Different Designs and Implementations on Cyber Education)

  • 하태현;강정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71-83
    • /
    • 2003
  • 이 연구는 다양한 개발 방법을 통해 효과적인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을 찾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방법'의 접근은 어떤 전달 기술 (Delivery Technology)에 의해서 사이버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는가에 따라서 분류되었다. 제 1 세대에서 사용한 기술로써는 문자, Flash 그리고 애니메이션 이며, 제 2 세대와 제 3 세대에서는 동영상 비디오와 오디오 등 멀티미디어 기술을 사용하였으나 다만 비디오 클립에서 강의 되는 학습전달방법이 다르다. 평가결과 3 세대 기술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 전달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사용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학습 전달 방법은 개발에 드는 많은 비용 뿐만이 아니라 학습자에게도 네트워크의 전송속도가 빠른 최신의 컴퓨터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사이버 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아울러 전송 속도 등과 같은 기술적인 개발도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PDF

트위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육의 성과요인 분석 (Analysis of Performance of Creative Education based on Twitter Big Data Analysis)

  • 주길홍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215-223
    • /
    • 2019
  • 정보화 시대의 물결이 점진적으로 가속화를 이루며 대용량 텍스트 및 음성,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빅데이터가 축적됨에 따라 이러한 지식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융합 분석 솔루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저장 비용의 감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발달 등은 데이터의 양적·질적 팽창을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은 기존에 시도하지 못했던 데이터의 활용을 가능하게 만들고, 데이터의 잠재적 가치와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융합 분석 체계를 교육제도 개선에 응용하여 미래지향적 교육 시스템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트위터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데이터에 대한 자연어 처리 및 단어의 빈도수 분석을 통한 국내의 창의교육에 대한 이슈와 성과에 대한정량적인 척도를 솔루션으로 제시하였다.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개선 (Improving th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to Prepare for the post COVID-19)

  • 김홍선;정영식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283-288
    • /
    • 2021
  • 코로나 19 상황에서 많은 학교에서 사용된 디지털교과서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활용되기 위해서는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 디지털교과서는 전통적인 서책형 교과서에 용어 사전이나 동영상 자료, 평가문항 등을 추가한 것으로 최근에는 AR, VR, 360 이미지와 같은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실습 교육에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디지털교과서의 기능 상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디지털교과서의 레이아웃은 서책형 교과서와 동일한 형태에서 벗어나 반응형 레이아웃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디지털교과서와 학습관리시스템이 통합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용을 개발하여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거나 외부 자료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디지털교과서에 기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 분석이 가능해야 한다. 다섯째,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교과목을 디지털교과서로 개발해야 한다.

  • PDF

공학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의 운영사례 및 교육효과 연구 (A Case Study on Educational Effect and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for Engineering Education)

  • 박형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9-44
    • /
    • 2023
  • 이러닝 교수법의 발전에 따라 대면교육과 이러닝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대면수업을 대체할 만한 학습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공학 교과목은 실습과 같은 다양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기존의 전통적인 블렌디드 러닝으로 운영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공학 교과목에 필요한 학습활동에 따라 기존과는 다른 교수학습설계가 필요로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과목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위해 교수법 설계 및 운영사례를 소개하고 그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을 이론수업, 실습수업, 퀴즈 및 질의응답, 과제수행 및 풀이 등으로 세분화하고 학습활동에 따라 온라인 동영상, LMS 활용, 대면수업의 교수 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조사결과를 보면 공학교과목에서도 블렌디드 러닝은 순수온라인과 대면수업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활동별로 차별화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초등 체육과 외국 민속춤 표현활동 코스웨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urseware for Teaching & Learning Foreign Folk danc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정차송;이재인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17-225
    • /
    • 2004
  • 민속춤은 민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된 것으로, 그 민족의 생활, 풍습, 습관 둥 독특한 특성이 포함되고, 남녀 노소를 막론하고 쉽게 배우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재 7차 교육과정 체육과에는 다른 나라의 민속춤을 10가지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민속춤은 자료의 접근이 용이하나 다른 나라의 민속춤은 자료가 부족하다. 또한 현직 교사들의 사전 연수기회 부족, 국가 수준의 적절한 지도자료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충분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영상을 중심으로 각 나라의 문화, 춤의 기초 동작, 감상하기 등의 자료를 제작하여 다른 나라의 민속춤의 지도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실시간 구름 시뮬레이션 기반 기상 현상 학습용 가상현실 콘텐츠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R Content based on Real-Time Clouds Simulation for Meteorology Learning)

  • 강경규;유동완;박창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65-167
    • /
    • 2018
  •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콘텐츠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고 학습 도구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학습 자료로써 사진이나 동영상과 같은 정적인 콘텐츠의 의존에서 벗어나, 상호작용적인 가상현실 콘텐츠를 학습에 활용하는 연구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학습자가 기상 현상과 같이 입체적이고도 동적으로 변화하는 소재를 가상현실에서 능동적으로 체험한다면, 학습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최신 실시간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과 그래픽스 하드웨어는 기상 현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미 발전해 있다. 이러한 최신 기술이 컴퓨터를 활용한 기상학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볼륨 구름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상용 게임 엔진에 탑재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상학 학습용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한다.

  • PDF

경도정신지체학생 주변 집단의 인식변화를 위한 자기모델링비디오의 효과성 검증 (Self-Modeling Video Effect Verification for Change in Perception of Mildly Mentally Retarded Student Peripheral Groups)

  • 김성현;전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10-17
    • /
    • 2007
  • 중학교 생활에서 경도정신지체학생의 따돌림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동영상콘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일반학생들의 경도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인식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고 특히 동영상콘텐츠의 제작에 직접 출연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많은 인식변화가 있었으며 제작자의 의도가 심도 있게 실린 장면에 대한 연구대상자들의 인지도가 대단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자기모델링비디오를 통한 학생 생활지도는 효과적이며 특히 제작자의 뚜렷한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만든 자기모델링비디오는 학생들의 행동과 인식변화에 효과적이다.

자가동영상을 활용한 디브리핑 학습의 효과: 흡인간호 실습교육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uction Care Self Video-based Debriefing-assisted Learning in the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 김현주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8-9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suction care self video-based debriefing-assisted learning in the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on clinical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problem-solving proces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study was used and included 97 junior nursing students at P University as participants, 48 of who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49 of whom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outcome measurements were clinical performance for suction care, self-efficacy, and the problem-solving process. Results: The scores of clinical performance were 23.75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used the materials and 21.55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 Self-efficacy was 4.3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18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 and the pre-to-post differences of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p<.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to-post differences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p<.802). Conclusions: Self video-based debriefing-assisted learning may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clinical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than that of conventional practice. Whether self-efficacy will contribute to enhanced learning motivation for nursing students needs further examination.

자기주도적 학습환경에 적합한 이러닝 시스템 ECub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 E-Learning System ECube for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 이태원;이혁;이희성;최준형;한재윤;황가영;정영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294-1297
    • /
    • 2012
  • 기존의 이러닝에서는 교수자가 강의동영상을 통하여 주로 단방향으로 지식을 전달하였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논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이러닝시스템인 ECube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교수자에게는 학습자와 실시간 소통을 위한 실시간 강의기능, 전문가의 도움없이 미디어 제작과 편집이 가능한 동영상삼 저작도구인 EMC(Effective Media Contents) 솔루션을 제공한다. ECube 시스템 안의 EMC 솔루션만으로도 자막, 이미지, 퀴즈, 비디오를 합쳐 통합된 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하다. 학습자에게는 실시간 강의를 수강하는 동안에 발표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 자신의 학습에 관한 학습계획부터 학습성과까지의 내용을 문서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기능을 활용하여 학습자는 과목별 포트폴리오 작성이 가능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토픽맵을 이용한 e-Learning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arning Model using TopicMap)

  • 권오상;문석재;엄영현;국윤규;정계동;최영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D)
    • /
    • pp.750-753
    • /
    • 2006
  • e-Learning 분야는 정부, 기업, 학교 등 많은 조직에서 교육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e-Learning은 독립적인 운영플렛폼의 개발부터 웹 기반의 코스웨어(Courseware)까지 발전해왔다. 코스웨어는 컴퓨터 전달 체제를 통하여 교수-학습 과정을 촉진시켜 명시된 교수 목표 하에 학습자의 지식과 기능의 바람직한 변화를 목적으로 설계 및 개발된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언어 및 저작도구(Authoring Tools)를 이용하여 각 과목별 교육내용을 음성, 그림, 애니메이션,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도록 저작된 프로그램으로 주로 눈으로 보고 귀로 들으면서 학습하는 유형이다. 현재 코스웨어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학습에 대한 정보와 교수정보 그리고 Client의 학습 진행 상황 등을 제공한다. 하지만 학습에 연관된 다른 학습이나 학습에 관련된 교수들의 전공정보, 또한 학습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검색하려 할 때는 하나하나 따로 검색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습에 대한 목적과 관련학습, 관련교수, 관련연구,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의 연관성을 토픽맵(TopicMap)을 이용하여 학습에 대한 더 정확한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게 한다. Client가 찾으려는 토픽을 중심으로 연관된 토픽과 카테고리를 나열하여 수작업으로 인한 검색시간과 잘못된 키워드 검색을 해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