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역학 모델링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n Dynamics Modeling and Depth Control for a Supercavitating Underwater Vehicle in Transition Phase (초공동 수중운동체의 천이구간 특성을 고려한 동역학 모델링 및 심도제어 연구)

  • Kim, Seon Hong;Kim, Nak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51 no.1
    • /
    • pp.88-98
    • /
    • 2014
  • A supercavitation is modern technology that can be used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underwater vehicle.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supercavity condition which cavity envelops whole vehicle body, a vehicle passes through transition phase from fully-wetted to supercaviting operation. During this phase of flight, unsteady hydrodynamic forces and moments are created by partial cavity. In this paper, analytic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s into the dynamics of supercavitating vehicle in transition phase are presented. The ventilated cavity model is used to lead rapid supercavity condition, when the cavitation number is relatively high. Immersion depth of fins and body, which is decided by the cavity profile, is calculated to determine hydrodynamical effects on the body. Additionally, the frictional drag reduction associated by the downstream flow is considered. Numerical simulation for depth tracking control is performed to verify modeling quality using PID controller. Depth command is transformed to attitude control using double loop control structure.

Development of RecurDyn Module for Wind Turbine Analysis Applying BEM Theory (BEM 이론을 적용한 풍력발전기 해석용 RecurDyn 모듈 개발)

  • Lim, Dae Guen;Yoo, Wan Su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2
    • /
    • pp.115-120
    • /
    • 2014
  • In this study, a module is developed for modeling and analyzing dynamic behavior of a wind turbine using RecurDyn, which is a commercial multi-body dynamics software developed by FunctionBay, Inc. The wind turbine consists of tower, nacelle, hub and blades. Tower and blades are regarded as flexible bodies for considering elastic effect using beam theory and spring force. In this paper, a constant speed wind was assumed and aerodynamic force is modeled using BEM theory. Dynamic analysis applying this aerodynamic force is carried out. To verify the validity of analysis results, these results are compared to those of GH-Bladed which is a commercial software for analyzing wind turbine system distributed by Garrad Hassan.

Animating Human-like Figures Using Dynamics Simulation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인간형 관절체 애니메이션)

  • Park, Min-Je;Kim, Soo-Hwan;Jeong, Il-K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75-108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영화나 게임 등에서 사용되는 인간형 관절체의 움직임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동역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동역학을 이용하여 동작을 생성하는 방법은 실제 배우가 연기하기 힘들어서 동작 포착을 활용할 수 없는 경우, 키프레임 방식에 비해 보다 사실적이고 효과적으로 동작을 만들어 내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결과 동작을 예측하거나 제어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금까지 활용도가 낮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복잡한 최적화나 컨트롤러 모델링과정 없이 동작 포착 데이터를 이용한 비례 미분 제어기를 통해서 포착된 동작과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관절 제어기를 만들어낸다. 특히, 내부 관절 제어기뿐만 아니라 최상위 관절에 작용하는 가장제어기를 생성하여 포착된 동작의 관절 궤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흉내 낼 수 있게 한다. 생성된 제어기의 매개변수를 조정함으로써 여러 가지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동시에 다양한 동작 패턴도 적용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제어기를 통해 시뮬레이션 되는 동작과 원래 동작 포착된 결과를 혼합하거나 보간함으로써 최종 동작을 생성한다.

  • PDF

Bond Graph Modeling and LQG/LTR Controller Design of Magnetically Levitation Systems (자기부상 시스템의 본드선도 모델링 및 LQG/LTR 제어기 설계)

  • 김종식;박전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620-1634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기 및 기계적 요소들이 복합되어 이루어진 자기부상 시 스템의 설현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제어동역학(controlled dynamics) 측면에 입각한 모 델식을 본드선도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조직적으로 유도한다. 우선, 자속흐름 확장 및 자속 유출량을 고려하여 부상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차량/레일 및 2차 현가(second ary suspension)장치를 포함한 자기부상 시스템을 모델링한다. 다음, 지지 및 안내 방향의 동역학을 동시에 고려한 2차원 자기부상 시스템을 본드선도의 다접점 필드(mu- ltiport field) 개념을 이용하여 모델링한다. 끝으로, 본드선도 기법으로 모델링된 2차원 자기부상 시스템의 안정도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LOG/LTR(linear quadra- tic Gaussian control with loop transfer recovery) 제어시스템을 설계한다. LQG/ LTR 제어방법은 Doyle과 Stein에 의해 인성(stability-robustness) 문제와 주파수역 성능을 설계시에 직접 고려할 수 있는 강력한 선형 다변수 제어시스템 설곕방법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Experimental Modeling of MR Damper for Cruise Bus (우등버스용 MR 댐퍼의 실험적 모델링)

  • Sohn, Jeong-Hyun;Jun, Chul-Wo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8
    • /
    • pp.863-867
    • /
    • 2011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 test results of an MR damper for a cruise bus, and we model the nonlinear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the damper using arctangent and polynomial functions. We establish an experimental model of the MR damper according to the input current, and we set the model parameters using the MATLAB Optimization Toolbox. The model is verified via a computer simulation of a full-car model.

The Study of 3-D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ing for Ubiquitous River Management (URM을 위한 3차원 지표수 모델링 기법의 연구)

  • Lee, Tong-Eun;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1-971
    • /
    • 2012
  •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하여 4대강에 대한 전면적인 투자와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4대강 사업이 마치게 되면 전국에 많은 수의 대규모 보가 설치되고 설치되어진 보는 각각의 강의 관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4대강 사업으로 조성되는 13억 톤 수자원을 융 복합기술을 이용하여 감시 및 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실시간 수질 감시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과 그에 따른 센서들의 개발을 통하여 4대강 보 운영관리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개발(Ubiquitous River Management)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그동안 계산 시간의 제약을 받아 오던 3 차원 수리동역학의 모의가 컴퓨터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계속 단축되고 있으며 이를 수질예측에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실시간으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 기법을 통해 예측을 해봄으로써 보 내부에 존재하는 여러 취수원 관리에 적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는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과 수질모델을 결합한 시스템이 저수지 내의 수리특성, 유사이동 및 탁수 현상을 모의하는데 사용이 가능한지를 알아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팔당댐 모의에서는 취수구에 따른 수질변화를 모의하기 위해 3차원모델의 사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모의에서는 미국 환경부에서 WASP에 이용하기 위해 수정한 EFDC1(2009, USEPA에서 입수)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의 2009년의 수위, 수온, 유량 및 농도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수리 모델링을 실시하고, 수위, 유사이동 및 탁도 예측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3차원 수리동역학 모델과 취수원의 적용에 적절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적당한 평면격자의 개수를 선택하여 선택되어진 평면격자에서 수직격자의 층수를 조절하여 매 층마다 DYE TEST를 하였다. 이는 각각의 유입 하천에서 오염물질이라 가정하고 농도가 유입되었을 때 수리특성에 의해서 연구지역에서의 농도 변화를 파악하여 미리 예측을 하여서 그에 따라 취수원에서의 취수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평면격자에 따라서 수직 층의 개수를 5층부터 40층까지 모의를 하여서 시간 및 이동변화에 따라 알맞은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층수마다 Sediment 모의를 통하여 호 내의 SS의 이동을 모의하였다. 이 역시 취수원의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PDF

Dynamic Analysis of Floating Wave Energy Generation System with Mooring System (계류시스템을 가진 부유식 파력발전기의 동적거동 해석)

  • Choi, Gyu Seok;Sohn, Jeong H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7 no.2
    • /
    • pp.257-263
    • /
    • 2013
  • In this study, dynamic behaviors of a wave energy generation system (WEGS) that converts wave energy into electric energy are analyzed using multibody dynamics technique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reducing the effects of a mooring system on the motion of a WEGS. Several kinematic constraints and force elements are employed in the modeling stage. Three-dimensional wave load equations are used to implement wave loads. The dynamic behaviors of a WEGS are analyzed under several wave conditions by using MSC/ADAMS, and the rotating speed of the generating shaft is investigated for predicting the electricity capacity. The dynamic behaviors of a WEGS with a mooring system are compared with those of a WEGS without a mooring system. Stability evaluation of a WEGS is carried out through simulation under extreme wave load.

Modeling of the Maglev Vehicle Running over the Elevated Guideway Using Flexible Multibody Dynamics (유연다물체 동역학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 동역학 모델링 연구)

  • Lee, Jong-Min;Kim, Young-Joong;Kim, Kuk-Jin;Kim, Dong-Sung;Kim, Sook-Hee;Han, Hyu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9 no.6 s.37
    • /
    • pp.792-797
    • /
    • 2006
  • In general, the Maglev vehicle is ran over the elevated guideway consisted of steel or concrete structure. Since the running behaviour of the vehicle is affected by the flexibility of the guideway, the consideration of the flexibility of guideway is needed for evaluation of dynamics of both the vehicle and guideway. A new technique based on flexible multibody dynamics is proposed to model the Maglev vehicle, levitation controller, and guideway into a coupled model. To verify the technique, an urban Maglev vehicle is analyzed using the technique and discussions are carried out.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age-related increase of arterial wall stiffness on the Cross-bridge dynamics of the cardiac myocyte (노화에 따른 동맥벽 탄성도 저하가 심실세포의 Cross-bridge 동역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적 연구)

  • Jun, Hyung-Min;Shim, Eun-Bo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8.11a
    • /
    • pp.1674-167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심장의 세포 변화에서부터 혈류 순환의 시스템 변화까지 일련의 과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통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통합 모델을 이용하여 대동맥의 탄성도 변화 따른 Pulse Wave Velocity를 추정하였으며 심근의 수축 Mechanics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심장은 단순한 구 형상으로 모델링 되었다. 특히 동맥순환의 특성인 Wave propagation 과 Wave deflection의 현상을 모델링하기 위해 기존 모델에서 사용된 동맥계 순환 모델을 수정하였다. 즉 기존의 동맥 모델을 1차원의 운동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Distributed arterial model로 대체하였다. Distributed arterial model은 혈액의 점성에 의한 에너지 손실, 혈관의 점탄성 효과 그리고 분지 되는 혈관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포함하는 정교한 동맥 순환 모델이다. 정교한 동맥계 순환 모델의 동맥 탄성도 값을 조절함으로써 탄성도 변화에 대한 PWV를 계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치적 방법을 사용하여 노화에 따른 동맥벽 탄성도의 저하가 심근세포의 Cross-bridge 동역학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 PDF

Vehicle Dynamics Modeling and Correlation Using the Kinematic and Compliance Test of the Suspension (현가장치 기구정역학 시험에 의한 차량동역학 모델링 및 시험검증)

  • Kim Sangsup;Jung Hongky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3 no.1
    • /
    • pp.109-118
    • /
    • 2005
  • A functional suspension model is proposed as a kinematic describing function of the suspension that represents the relative wheel displacement in polynomial form in terms of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wheel center and steering rack displacement. The relative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the wheel is represented in terms of first and second derivatives of the kinematic describing function. The system equations of motion for the full vehicle dynamic model are systematically derived by using velocity transformation method of multi-body dynamics. The comparison of field test results and simulation results of the ADAMS/Car demonstrate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functional suspension modeling method. This model is suitable for real-time vehicle dynamics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