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시흡착

Search Result 26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Efficient PCB Assembly Method by Multiple Adsorption with Gantry Type SMD using Simulation (갠트리 타입 SMD에서 동시 흡착에 의한 효율적 PCB 조립 방안의 시뮬레이션 연구)

  • Moon, Gee-Ju;Kim, Gwang-Pi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5 no.4
    • /
    • pp.59-67
    • /
    • 2006
  • An efficient PCB assembly method with Gantry type machine is developed and proposed in this paper to improve system productivity. Nozzle changes at Gantry type machine is the major reason causing lower system performance instead of header and slot movements on the other type machines. The problem is attacked by maximizing multiple adsorptions to reduce the number of necessary nozzle changes with Gantry type machine. It is designed to reduce the assembly time per PCB with multiple adsorptions based upon the positions of feeders and nozzles. A simulation model is construct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heuristic and necessarily a comparison study is followed with different methods on selection of next assembly feeder and nozzle with various cases.

  • PDF

Novel Sorption Enhanced Reaction Process for Direct Production of Fuel-Cell Grade $H_2$ from Synthesis Gas (합성가스로부터 연료전지급 수소의 직접 생산을 위한 흡착분리 반응 동시 공정)

  • Lee, Ki-Bong;Jeon, Sang-Goo;Na, Jeong-Geol;Ryu, Ho-J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745-748
    • /
    • 2009
  • 수소는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원소로 최근 수소경제시대에 대한 기대와 함께 청정 에너지 carrier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순도 수소 생산을 위해 water gas shift (WGS) 반응과 $CO_2$의 분리를 하나의 unit operation의 형태로 수행하는 신개념의 thermal swing sorption enhanced reaction (TSSER) 공정의 타당성을 테스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Le Chatelier 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흡착분리 동시 반응 (sorption enhanced reaction, SER)에서는 수소생산 반응의 열역학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정반응의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_2CO_3$가 첨가된 hydrotalcite에 대한 고온에서의 $CO_2$ 화학흡착 평형 및 거동 데이터를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WGS 상용촉매와 화학 흡착제를 이용하여 흡착분리 동시 반응을 실험과 수치해석 시뮬레이션으로 수행하였고, 연구결과로부터 연료전지에 사용할 수 있는 고순도의 수소 (~10 ppm CO)를 직접 생산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고압상태의 $CO_2$를 고순도로 포집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압, 고순도의 $CO_2$ 포집은 이후 $CO_2$ 저장에 용이하게 이용되어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adsorptions of Carbon Monoxide and Oxygen on Polycrystalline Nickel Surface (다결정 니켈 표면에서의 CO 와 $O_2$의 공동흡착)

  • Soon Bo Lee;Jin Hyo Boo;Woo Sub Kim;Woon Sun Ah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7 no.12
    • /
    • pp.1019-1024
    • /
    • 1993
  • The coadsorption of carbon monoxide and oxygen on polycrystalline nickel surface has been studied using XPS at the room temperaure. The adsorption of CO on the nickel surface precovered partially with oxygen is found to take place by the following steps: The CO molecules react with the preadsorbed oxygen atoms to liberate $CO_2$ gas at the initial stage of low CO exposures, and they are coadsorbed gradually with the increasing CO exposures. The extent of coadsorption at the higher CO exposures is found to decrease with the increasing degree of oxygen preadsorption. This finding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reduced adsorption site for CO as a consequence of oxygen preadsorption. The CO molecules preadsorbed on the nickel surface inhibited the adsorption of $O_2$ molecules. The increase of oxygen exposure led to the dissociation of preadsorbed CO, and the NiO layers were formed concurrently. The dissociation was rendered to arise from an oxygen-to-CO energy transfer.

  • PDF

Selective Adsorption of a Symmetrie Theophylline Imprinted Membrane Prepare by a Wet Phase Inversion Method (습식 상 전이법으로 제조된 Theophylline 각인 대칭 막의 선택적 흡착)

  • 박중곤;오창엽;서정일
    • KSBB Journal
    • /
    • v.17 no.2
    • /
    • pp.207-211
    • /
    • 2002
  • The theophylline imprinted membrane was prepared by a wet phase inversion method. Theophylline was implanted during copolymerization of acrylonitrile with acrylic acid or implanted in the dimethyl sulfoxide solution containing10 wt% copolymer, p(AN-co-AA). Rolling the glass plate, on which the copolymer solution was cast, in water removed the sponge layer and thus made the membrane symmetric. The adsorption selectivity of the membrane toward template molecule was increased with the coagulation temperature of the membrane and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theophylline and caffeine mixture.

Hydrogen Adsorption on the Stepped Planes of Tungsten : I. (210) Plane (Stepped 텅스텐 결정면의 수소 흡착에 관한 연구 : I.(210)면)

  • 최대선;한종훈;백선목;박노길;김기석;황정남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4 no.2
    • /
    • pp.142-149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장전자 방출법(DOFEC법)으로 W(210)면의 수소 흡착에 의한 일함수의 변화, heat of desorption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텅스텐(210)면에 수소가 흡착될 때 흡착율에 따라 일함수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데 이것은 수소가 처음에는(210)면의 step((100)면)에 흡착되고 dose를 증가시킴에 따라 terrace((110)면)에 흡착되기 때문임을 알았다. 즉, terrace보다 step의 sticking coefficient가 더 크며 zero coverage에서의 그 비는 2.57이며 이는 타 연구 결과와 잘 일치한다. (210)면의 step과 terrace의 수소 흡착에 대한 일함수의 정량적인 변화량 그리고 수소 dose량에 대한 각각의 면에 대한 상대적인 흡착율을 얻었으며, 이 결과는 독립된(110)면 또는 (100)면의 결과와 잘 일치됨을 알았다. 또한 이 결과는 흡착 실험에 있어서 dose량을 흡착률로 환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텅스텐(210)면에는 4개의 흡착 site가 존재하며 이 site들 중 $\beta$2과 $\beta$4 state는 second order 탈착 과정을 따르며 $\beta$1과 $\beta$3 state는 first order 탈착과정을 따른다. 따라서 텅스텐(210)면에는 수소가 해리적 흡착을 함과 동시에 비해리적 흡착도 함을 알았으며(210)면의 각 흡착 site를 이에 대응되는 (100)면과 (110)면의 흡착 site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ree-components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Activated Carbonaceous Adsorbents (탄소흡착제에 의한 삼성분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특성)

  • Son, Mi Sook;Kim, Sang Do;Woo, Kwang Jae;Park, Hee jae;Seo, Man cheol;Lee, Si hun;Ryu, Seung Ko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4 no.6
    • /
    • pp.669-675
    • /
    • 2006
  • Toluene of aromatic compounds, MEK of ketones and IPA of alcohols were extremely used as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the getting into step with industrial process.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ree component solvent vapors (Toluene-MEK-IPA) on the activated carbonaceous adsorbents such as AC, ACF and AC+ACF were investigated in a stainless steel fixed bed adsorption experimental apparatus in order to identify those carbons for eliminating and recovering solvent vapors from industrial emission sources. The used activated carbonaceous adsorbents were pelletized commercial activated carbon and activated carbon fiber. The breakthrough curves and adsorption capacity have been obtained at atmospheric pressure in a adsorption fixed bed. It has been found that non-polar and larger molecules have been adsorbed better than polar and smaller molecules. Especially, alcohols and ketones were poorly adsorbed due to competitive adsorbability in ternary mixture system. However, it could be overcome by employment of activated carbonaceous adsorbent which have different porosity distribution appropriately.

Dynamic Characteristics and PSA process in Compact H2 adsorption bed (Compact형 수소 PSA 흡착탑의 동특성 및 공정 실험)

  • Lee, Jang-Jae;Lee, Sang-Jin;Kim, Myung-Jun;Lee, Chang-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384-387
    • /
    • 2006
  • 수소 스테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mpact 형 수소 PSA를 연구하였다. 기존의 수소 PSA 가 수소 스테이션에서 공간적 제약이 있기 때문에 그 부피를 줄이면서, 또한 효율을 높이기 위해 Compact형 수소 PSA를 고안하였다. Compact형 수소 PSA는 하나의 bed안에 다른 하나의 bed를 넣음으로써 시스템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는 한 건, inner bed와 outer bed 사이의 열교환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그 효율을 높일 수 가 있다. 흡착탑의 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4성분 (H2/CO2/CH4/CO, 69:26:3:2 vol. %)의 가스를 Feed rate 7LPM, Adsorption Pressure 9atm의 조건으로 실험을 하였다. Inner bed와 outer bed의 흡착 동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PSA 공정을 가상으로 하여 각각의 탑에서 흡착과 탈착이 동시에 일어날 때의 동특성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AD step time을 달리 하면서 PSA 공정에 알맞은 Sequence을 알아보았다.

  • PDF

$O_2$-$NH_3$처리한 활성탄의 탈황능 향상에 관한 연구

  • 고윤희;서경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4.11a
    • /
    • pp.90-96
    • /
    • 1994
  • 본 연구는 에너지를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발전소와 대규모 공장 단지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황산화물의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활성탄의 적절한 전처리를 통해 이산화황 흡착능을 향상시켜 머지 않은 장래에 엄격히 적용될 대기오염 기준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오염 물질의 제거 효율이 높고 폐기물 매립의 부담이 없는 건식 탈황 공정의 효율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Activated Char나 활성탄을 이용하여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서는 Carbon 표면을 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활성탄의 촉매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열 및 $O_2$-NH$_3$ 혼합가스로 전처리하여 표면의 특성 변화와 SO$_2$ 흡착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Coconut Shell로부터 제조한 활성탄을 NH$_3$의 농도를 변화시켜가며 $O_2$와의 혼합가스로 973~1173K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에 의해 전처리하여, 이률 고정층 반응기에서 SO$_2$흡착 및 반응실험을 수행하였고, 이 과정 중의 활성탄 표면의 특성변화를 원소분석, TPD(Temperature Programmed Desorption),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cid-Base Titration, SEM(Scanning Electrolic Microscopy)등의 분석 방법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활성탄을 열 및 $O_2$-NH$_3$혼합가스로 처리하여 환원성 분위기 하에서 표면 활성점을 증가시킴으로써 황산화물 흡착제거율이 향상됨을 얻었다.

  • PDF

Development of La(III)-zeolite Composite for the Simultaneous Removal of Ammonium Nitrogen and Phosphate in Confined Water Bodies (호소수내 암모니아성 질소 및 인 동시 제거를 위한 란탄-제올라이트 복합체 개발)

  • Paek, Joo-Heon;Kim, Keum-Yong;Ryu, Hong-Duck;Lee, Sang-Il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8
    • /
    • pp.761-766
    • /
    • 2010
  • This study was aimed to propose La(III)-zeolite composite which can effectively and simultaneously remove ammonia and phosphate in confined water bodies such as lakes and ponds. The optimum ratio of La(III):zeolite for the simultaneous removal of ammonia and phosphate was 0.0048 La(III) g:1 zeolite g. The drying temperature of La(III)-zeolite composite severely affected phosphate adsorption showing optimum condition at room temperature. It was revealed that the optimum dosage of La(III)-zeolite composite was 4.052 g/L at adsorption time of 90 min. The presence of alkalinity in aqueous solution brought positive effect on phosphate adsorption. Detachment of La(III) from La(III)-zeolite composite, which was dried at room temperature, was not observed in aquous solution. It indicates that La(III)-zeolite composite could effectively block phosphate released from sediment.

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Ions on Fly Ash. and Oyster Shell (플라이애쉬와 굴패각을 이용한 중금속 이온의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

  • Kwon, Yong-Sam;Lee, Ki-Ho;Park, Jun-Bo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03a
    • /
    • pp.629-63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산업부산물인 굴패각과 플라이애쉬를 활용한 흡착제를 개발하여 중금속 이온의 제거 기작을 평가하였다. 1차적으로 연구된 중금속 이온은 카드뮴, 납, 구리이며, 산업부산물을 활용하여 흡착특성을 평가하였고, 동시에 현장 적용성을 모사하기 위해 점성토와 화강풍화토에 대한 흡착실험도 함께 수행하여 각각의 흡착특성을 비교ㆍ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등온흡착식으로 분석하여본 결과 굴패각의 경우 카드뮴, 납, 구리이온의 용액 내 제거율이 해성점토나 화강풍화토를 사용한 흡착제에 비해 우수하므로 흡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