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선

Search Result 1,169,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Wave-resistanc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win Hull for a Type of the Asymmetric and Symmetric Mono Hull (비대칭과 대칭 단동선형을 가진 쌍동선의 조파저항성능 분석)

  • Choi, Hee-Jong;Park, D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1
    • /
    • pp.78-84
    • /
    • 2013
  •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current work is to develop efficient numerical code to assess th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twin hull form. Resistance performance for the two different twin hull forms with asymmetric and symmetric mono hull using developed code are evaluated. Numerical calculations and model tests have been compared to validate a developed code used in the current work. Comparison were carried out through sinkages of the bow and stern, trim angle and wave-making resistance. Comparative analysis regarding hydrodynamic characteristic of different twin hull forms is worthy of application in the hull form development stage.

The Effective Third Circulation Plan Based on Elevator and Escalator Users Surveys in Mixed-Use Buildings (복합건축의 수직동선 이용자별 효율적인 제3동선의 설정)

  • Lee, Jin-Kyoung;Kim, Chan-Ju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5 no.2
    • /
    • pp.3-10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ive methodology of composition and connection for the third pedestrian routes in mixed-use building by case studies. The study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of all, pedestrian routes are classified into malling route, evacuation route, and the Third route. Secondly, case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irdly, it is investigated about the composition and connection of the malling and the Third pedestrian route. The investigation is focused on gate, path, central area, vertical circulation(EV and escalator) and the four circulation elements. Finally, the effective methodology is extracted for setting the Third route in mixed-use building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enhancement of consistency and connection between the main route and the Third route is important for providing convenient paths especially to users who needs shortcut, EV/ES users. Additionally, the connections between EV and gate, between shortcut and EV/ES should be increased to enable users choosing their path as needed.

The Pedestrian Integrated Circulation System in Mixed-use Building based on User Behavior (이용자 행태 기반 복합건축 보행자 통합동선계획)

  • Lee, Jin-Kyoung;Kim, Chan-Ju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5 no.12
    • /
    • pp.21-29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be the pedestrian integrated circulation system of malling route and the third route in Mixed-use Building based on User Behavior. The study has performed by the following approaches: Initially, literature reviews are performed related to a pedestrian route by user in mixed-use building. Second, general and stroller users moving route are analyzed based on the outcome of the case study. Finally, the study develops the efficient pedestrian integrated circulation system of malling route and the third route in Mixed-use Building. According to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An integrated plan for escalators and EVs, which are accessible to both users and strollers, is needed. Second, The entrance automatic door and circulation elements should be connected for continuous move by the stroller users. Finally, The circulation system of complex buildings should be a simple spatial structure and route plan that users can easily recognize.

A development of the dynamic positioning(DP) system and model testing for performance estimation on katamaran type unmanned surface vehicle(USV) at open sea (무인쌍동선의 실해역 DP 성능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모형시험 검증 기법 개발)

  • Hyung-Do Song;Seok-Kyu Cho;Nam-Sun S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88-188
    • /
    • 2022
  • 선박의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인 무인 운용체계는 근래에 많은 관심을 받고 연구되어 왔다. 특히 무인수상선과 무인수중체의(USV-AUV)의 복합 운용 분야는 그 동안 어려움이 있었던 심해저 탐사 및 특수 임무 활용에 용이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쌍동선 형태인 무인수상선이 모선이 되고 무인수중체가 결합하여 충전하고 다시 진수하여 원거리 및 심해저 조건에서 무인수중체가 운용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일부인 USV-AUV의 docking을 위한 DP 시스템을 개발하고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학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제작된 무인쌍동선과 추진 시스템을 활용하여 모형시험을 통해 검증한 D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화성 제부도 앞바다에서 실선 D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 해역에서의 DP 시스템 테스트는 정확한 환경 조건의 계측 및 구현이 어려워 모형시험과 같은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지만, 정성적으로 DP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ambiguity of information on Covid-19 patients' contact trace on intention to visit the commercial district: Comparison of residents in Gangnam-gu and Seocho-gu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정보의 모호성 차이가 유관 상권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남구민과 서초구민의 비교)

  • Min, Dong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8
    • /
    • pp.179-184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at local government's information release range on Covid-19 patients' contact trace on consumer sentiment in the region. One hundred twenty-eight residents of Gangnam-gu and Seocho-gu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ambiguity of information increased perceived anxiety on Covid-19 patients' contact trace, which in turn led lower intention to visit the commercial district near the Covid-19 patients' contact trace.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as proposed for future research, including longitudinal studies covering even the "long-term" changes in consumer sentiment, the effect of implicit anxiety, and the behavioral difference between residence and non-residence.

A Dynamic Model for Local Access Network Evolution Planning (통신사업자의 가입자망 고도화 전략모형)

  • 장석권;이호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12-215
    • /
    • 2000
  • 다수 사업체의 출현과 데이터 통신의 증가로 통신사업자의 사업환경은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사업환경 변화에 비추어 시내전화 사업자는 기존 동선 구조의 가입자망을 초고속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고도화시켜야 하는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동선가입자망을 광가입자망으로 전환하는데 따른 시내전화 사업자의 의사결정문제에 대하여 전략적 의사결정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ADSL 비용 모형을 개발하여 도심지역을 대상으로 현재 동선구조의 가입자망을 고도화시키기 위한 기술적 대안에 대하여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2010년간의 가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통신사업자의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진화방법을 도출하였다.

  • PDF

Trajectory-based Localization to overcome Radio Shadow Area in Port Logistics Environments (항만 환경의 음영지역 극복을 위한 동선 정보 기반의 측위 기법)

  • Jin, Young-Woo;Son, Sang-Hyun;Choi, Hoon;Baek, Y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446-450
    • /
    • 2010
  • 다변측량법은 위치가 알려진 3개 이상의 지점으로부터 대상까지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의 위치를 계산하는 기법이다. Real Time Locating Systems (RTLS) 에서는 대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다변측량 기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리더와 대상과의 거리 정보가 3개 이상 필요하다. 그러나 항만 환경처럼 시설물 설치가 어렵고 장애물도 많은 넓은 지역에서는 음영지역이 다수 존재하여 이러한 조건을 항상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다변측량이 불가능한 적은 수의 거리 정보만으로 대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대상의 동선 정보를 이용하는 동선 정보 기반의 측위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 평가 결과 최소자승법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평균 측위 오차가 약 3m, 표준 편차가 6m 줄었으며, 측위 성공률이 4.6 배 이상 높아졌다.

  • PDF

A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ire Equipment in Multiple Complex Center (다중 복합문화센터에서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 Kim, Kwang-Tae;Kim, S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1-104
    • /
    • 2012
  • 본 연구는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에서 피난설비 및 피난동선의 적합성 여부와 소방시설의 적정 유지관리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다중이 이용하는 복합문화센터와 같은 시설에서 화재나 비상시에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적정성 여부와 소화설비의 적정한 설치 및 유지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조사 결과 피난기구 및 피난동선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면 많은 사람이 일시에 몰려들 경우 노약자와 어린이는 부상의 위험성이 높았고, 소방시설의 유지관리 시스템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전문성과 적정 유지관리시스템이 확보되지 않았으며 지하층에서 지상으로 완전 피난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 PDF

Object boundary tracking using modified boundary tracking algorithm (개선된 체인코드틀 이용한 물체 윤곽선 추척)

  • Kim, Yuk;Kwon, Woo-Hyen;Koo, Bon-Ho;Youn, Kyung-Su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411-41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경계선 추적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인코드를 개선하여 윤곽선 추적 시 시간과 메모리 효율을 개선하였다. 일반적으로 정형화된 물체는 윤곽선의 동선이 대부분 이전 검색동선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기존의 8방향 체인코드에는 같은 동선에 있는 경계선이라도 픽셀하나당 한번 씩 검사를 한다. 개선된 체인코드는 확인된 경계영역에서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으로 한 픽셀씩 더 확인하여 기존 체인코드보다 시간과 메모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