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물소재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3초

솔잎(Pinus densiflora leaf) 추출물의 항비만효과 (Anti-Obesity Effect of Pinus densiflora Leaf Extracts)

  • 최민영;신별;유주형;여주호;이재원;금나경;안미연;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85-38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솔잎 추출물(PDL)의 항비만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PDL이 3T3-L1에서 DMI/insulin에 의해 유도되는 과도한 지질 형성을 억제하는지 평가하였다. 본 결과를 미루어 볼 때, PDL은 지방세포의 adipogenesis과 관련된 PPARγ, CEBPα 그리고 perilipin-1의 발현을 억제하여 과도한 지질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PDL은 향후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잠재적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PDL이 항비만 활성이 있는지 검증한 초기 단계 연구로 추가적인 기전연구와 동물기반 전임상 항비만활성 검증이 필요하다.

감귤피 효소적 추출물의 지방세포에서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an enzymatic extract of mandarin (Citrus unshiu) peel in 3T3-L1 adipocytes)

  • 장예빈;강희주;김주상;이승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9-153
    • /
    • 2021
  • 본 연구는 감귤 가공공정 중에 발생하는 가공부산물인 감귤피의 산업적 이용성 및 유용성을 증대시키고자 효소적 추출법을 적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항비만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귤피 효소적 추출물(MPCE)의 폴리페놀 함량은 이전의 연구에서 보고한 유기용매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MPCE의 항비만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방세포 분화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MPCE는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세포독성에 의한 것이 아님을 세포생존율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MPCE는 adipogenesis 관련 전사인자인 C/EBPα, SREBP-1, PPARγ, FABP4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MPCE는 adipogenesis 관련 전사인자의 단백질 발현 억제하여 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MPCE는 비만 예방 효능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보다 명확한 항비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추후 동물 실험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령멍게(Ciona intestinalis)와 노랑꼭지유령멍게(Ciona savignyi)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Ciona intestinalis and Ciona savignyi)

  • 이정은;강상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6-193
    • /
    • 2021
  • 유령멍게와 노랑꼭지유령멍게는 국내의 경우, 항만, 선박의 바닥, 양식장에 대량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혀, 위해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이용하는 측면에서 화장품 원료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유령멍게와 노랑꼭지유령멍게를 70% 에탄올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능을 측성하였다. 유령멍게와 노랑꼭지유령멍게 추출물 20 mg/mL에서 DPPH는 각각 71.80%, 21.40%를 보였고, ABTS는 각각 95.47%, 27.53%, nitric oxide 생성 억제능은 각각 97.47%, 88.90%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유령멍게와 노랑꼭지유령멍게에서 각각 0.081, 0.041 mg gallic acid/mg extract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노랑꼭지유령멍게보다 유령멍게에서 다소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들은 추출물은 동물성 유래 항산화물질들로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블랙 초크베리가 HepG2세포에서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lack chokeberry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HepG2 cells)

  • 이상길;김보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98-4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폴리페놀 함유 블랙 초크베리가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HepG2 세포에서 콜레스테롤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을 측정함에 따라 조사하였다. 블랙 초크베리는 콜레스테롤 대사와 관련하여 콜레스테롤 흡수, 생합성, 유출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블랙 초크베리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콜레스테롤 및 담즙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블랙 초크베리 내 어떠한 생리활성물질이 콜레스테롤 대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블랙 초크베리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동물 및 임상에서 기전 연구를 진행하여 천연 유래 기능성 소재로서의 블랙 초크베리의 중요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광어껍질을 활용한 펩신가수분해물 제조공정 최적화와 피부건강 기능성 (Optimal Processing for Peptic Hydrolysate from Flounder Skin and Its Skincare Function)

  • 강유안;진상근;고종현;최영준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24
    • /
    • 2022
  •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derived from fish collagen exhibit several bio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wrinkle, antimicrobial, antidiabetic, and antihypertension effects. These peptides are also involved in triglyceride suppression and memory improve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 for preparing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from flounder skin, and the properties of the hydrolysate.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for peptic hydrolysis were as follows: a ratio of pepsin to dried skin powder of 2% (w/w), pH of 2.0, and a temperature of 50℃. Peptic hydrolysate contains several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below 300 Da. Gly-Pro-Hyp(GPHyp) peptide, a process control index, was detected only in peptic hydrolysate on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of-flight(MALDI-TOF) spectrum. 2,2'-azinobis-(3-3-ethylbenzothiazolline-6- sulfonic acid(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eptic hydrolysate was comparable to that of 1 mM ascorbic acid,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t pH 5.5, whereas collagenase inhibition was five times higher with the peptic hydrolysate than with 1 mM ascorbic acid at pH 7.5. However, the tyrosinase inhibition ability of the peptic hydrolysate was lower than that of arbutin,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peptic hydrolysate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 was not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ptic hydrolysate derived from a flounder skin is a promising antiwrinkle agent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ood and cosmetic products to prevent wrinkles caused by ultraviolet radiations.

제브라피쉬 배아를 이용한 천연부산물의 미백 효능평가 (Evaluation of Whitening Efficacy of Natural Product Residue Using Zebrafish Embryos)

  • 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70-578
    • /
    • 2023
  • 커피 부산물을 이용하여 대체실험동물 모델인 제브라피쉬 배아 독성 및 미백 효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커피 부산물 추출물을 처리한 배아 독성 실험의 결과 24, 48, 72hpf에서 125ppm 농도에서는 각각 3, 3, 5%로 응고율을 나타냈다. 배아의 부화율은 최고 농도인 125ppm에서 73%를 나타냈다. 제브라피쉬 치어의 심장 박동수 실험에서 72hpf 후 심박수가 125ppm 농도에서 153회/60s'로 확인되었다. 음성대조군은 148회/60s'으로 대조군의 비해 심박수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낮은 독성을 나타냈다. 또한 미백효능을 평가한 결과 커피 부산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 형성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천연 유래 부산물 소재가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하며, 천연 부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연구 예시로서 화장품 산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논문철회]Tertomotide 유래 옥타펩타이드의 항염증 활성 ([Retracted]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octapeptides derived from tertomotide)

  • 이효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11-316
    • /
    • 2022
  • Tertomotide는 hTert의 일부분이며 항암 백신으로 개발된 펩타이드이나 임상시험과 동물실험에서 염증성 질환을 개선하는 활성이 다수 보고된 바 있다. 다양한 연구에서 발견된 항염활성에도 불구하고 약물성이 높지 않아 일반적인 항염약물로의 개발이 어렵다. 다양한 부위에서 일어나는 염증성 증상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항염활성과 약물성이 동반되어야 하므로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tertomotide의 구조를 기반으로 12 종의 옥타펩타이드를 설계하고 항염증 활성을 측정하여 약물성이 개선된 tertomotide 유래의 항염 펩타이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활성화된 단핵구에서 염증성 cytokine인 TNF-α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각 펩타이드의 항염 활성을 평가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비교한 estradiol이나 tertomotide 이상의 항염활성을 가진 펩타이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tertotmotide 유래 펩타이드들을 활용한 신규 항염증 소재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항염증 활성 등의 생리활성이 있으나 약물성이 낮은 펩타이드에 대해 계산화학적 접근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기능적 잠재력 있는 신규활성물질을 도출하는 융합연구의 좋은 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明岩池의 Copepoda 및 Branchiopoda의 分布와 季節的 變動에 關한 硏究 (Distribu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Copepods and Branchiopods in the Myeongam Lake)

  • 김춘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7-75
    • /
    • 1978
  • 忠淸北道 淸州市에 소재한 明岩池에 棲息하는 Copepoda와 Branchiopoda의 分布相을 硏究하기 위해 1977년 7월 29일부터 11월 5일 사이에 11회에 걸쳐 Copepoda와 Branchiopoda를 採集하였고 또한 環境要因으로 氣溫, 水溫, pH, 溶酸存素量을 測定하여 얻은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調査期間동안의 平均 氣溫과 水溫은 $25.0^{\circ}C, $23.7^{\circ}C 였으며 pH는 6.86, 溶酸存素量은 10.75 ppm이였다. 2. 採集된 Copepoda와 Branchiopoda는 총 2亞目 4科 9屬 13種이였다. 3. 13種中에서 Thermocyclops taihokuensis와 Diaphanosoma brachyurum, Mesocyclops leuckarti, Daphnia longispina의 4種은 거의 全調査期間을 통해 採集되었다. 4. 全調査期間中 量的으로 가장 풍부한 우점종은 Diaphanosoma brachyurum이였다.

  • PDF

천연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한우 기능성 사료소재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Feed Additive to Hanwoo Muscle Growth based on Natural Plant Byproducts)

  • 정기용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4
    • /
    • 2023
  • 다국적 제약회사에서 생산되는 제약화합물은 인간의 질병치료 뿐만 아니라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으로도 활발하게 생산되는데 육우의 성장을 촉진하는 기능성 화합물들도 많이 있다. 북미에서 생산되는 소고기의 약 80%가 1번 이상의 성장촉진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고 보고된다. 고기소로 생산되는 비육우에 적용되는 방법은 크게 피하 이식에 의해 혈류를 타고 성장을 촉진하는 17β-Estradiol과 합성 남성호르몬제인 Trenbolone acetate가 주로 활용되고, 비육후기 사료에 섞어서 급여하는 사료첨가제 형태인 β2-adrenergic agonist 같은 형태로 적용하게 된다. 근육을 성장하는 기술의 작용기전은 많은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져 있는 반면 천연 알칼로이드 성분들의 기전은 밝혀진 것이 많지 않다. 한방제재들에서 많이 발견되는 알칼로이드 성분들은 생리활성 기능들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생산, 수거, 가공, 추출 등의 공정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므로 비육우의 사료화 가능성은 아주 희박하다. 따라서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후보재료를 검색중에 감자부산물을 확보하였고 기능성 물질의 추출과 사료첨가제 화 하여 비육우에 급여시험을 실시하였다. α-solanine과 α-chaconine은 감자의 잎, 과일 및 괴경에서 발견되는 글리코알칼로이드 화합물로, 쥐, 토끼, 닭과 같은 다양한 동물 모델에서 중독성을 가진 물질로 보고 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비육우의 성능을 유도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송아지 3마리의 사태(Semimembranosus)와 등심(Longissimus Dorci)근육에서 추출된 근육위성 세포(BSC)에 다양한 수준의 α-solanine(control, 0.001, 0.01, 0.1, 1, 10μM)으로 처리해본 결과 근육관련 지표인 MHC2X과 β2-AR의 발현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사료급여실험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급여군의 등심단면적과 도체중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감자유래 농산부산물은 한우 비육우의 근육의 성장을 증가시키고, 그 작용기전은 β2-수용체에 작용하여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켜 근육을 축적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사료개발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축산분야 탄소저감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로 축산의 업사이클링 기술로 활용 가능하다.

  • PDF

식이유도 비만 동물모델에서 마르멜로추출물의 항비만 효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nti-Obesity Efficacy of Cydonia oblonga Miller Fruit Extract in Diet-Induced Obesity Animal Models)

  • 황정순;황명오;권기성;김은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4
    • /
    • 2024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nti-obesity effect of Cydonia oblonga Miller fruit extract (COME) and to compare its anti-obesity efficacy with Garcinia cambogia extract (GCE) in diet-induced obese mice. Methods: Five-week-old male C57BL/6 were allocated into four groups: control diet (CD), high-fat diet (HFD), HFD + 400 mg/kg body weight (BW)/day COME (H+C), or HFD + 400 mg/kg BW/day GCE (H+G) groups. COME or GCE was administered once a day by oral gavage for eight weeks.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fat weight,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serum were measured. The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their target genes in epididymal adipose tissues were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COME reduced body weight, weight gain, body fat percentage, total white adipose tissue weight, adipocyte size, and serum levels of insulin and leptin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 mice. COME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s of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sterol-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fatty acid synthase, and adipocyte protein 2 and increased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 mRNA expression in epidydimal adipose tissues. The anti-obesity efficacy of COME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GCE at the same dose. However, COME more effectively decreased adipose tissue weights, epididymal adipocyte size, serum insulin and leptin compared to GCE.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ME is not toxic and exhibits anti-obesity efficacy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GCE, suggesting that COME may be applicable as an anti-obesity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