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료압력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nfluence of 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by Peer Pressure among Hotel Chefs (호텔조리사 간의 동료압력에 의한 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성과의 영향관계)

  • Jeon, Sang-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8
    • /
    • pp.542-55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difference of hotel chef's peer pressure on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6 hotels in Seoul and Busan, and 285 valid copi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collective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peer pressure among collective efficacy and self-efficacy. And it was found that among self-efficacy, self-efficacy had a greater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is was collective efficacy due to peer pressure. It is judged that this is due to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ef, where individual work and skills are important. Also,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these two dimensions of efficacy should be studied together and used in human care programs.

Effects of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on Color Make-up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여중고생의 혁신과 또래압력이 색조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 Nam, Hun-Ihl;Song, Kie-You;Lee, Jay
    • CRM연구
    • /
    • v.3 no.2
    • /
    • pp.1-20
    • /
    • 2010
  • Due to the nature of teenage students' common tendency of being drawn to consumption conformity engendered by popular trends, and further expanding their unique collectivist culture, this study presumes that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as well have an influential factor that creates their distinctive trait.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social reference groups, and further scrutinize how these influences transcends to deviant make-up behaviors. A total of 297 subjects,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focused primarily on the degrees of color makeup and the influences imposed by classmat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makeup behavior displayed by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ocial self-esteem had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Second, perceived visibility conversely had negative impacts on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This indicates that if perceived visibility is at a salient level, this already signifies lack of innovation. Third, makeup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demonstra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l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ir makeup behaviors. Additionally, peer pressure, in comparison to innovation, had greater influence on makeup behaviors, which indicates that peer pressure play a great role in makeup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urth, makeup behaviors showed strong impacts on makeup satisfaction and rendering deviant behaviors, which indicates that a new direction and perspective regard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keup behavior is critical.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Alcohol Education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Alcohol Problems (음주문제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보건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 Lee, Young-Sook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12 no.2
    • /
    • pp.139-145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문제의 현황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음주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문화적 행위로서의 음주행동의 특징을 파악하고 음주로 인한 위해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음주행동은 한 사람이 속한 사회의 문화와 관습이 허용하는 범위에 따라 그 사회가 공유하는 음주에 대한 태도나 가치의 영향을 받아 학습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 음주는 사망률, 이환율, 유산율, 범죄율 등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생명손실은 엄청난 것이다. 매스미디어를 통한 음주교육은 다른법적 제재와 병행될 때 효과적이다. 음주연령이나 세금부과 등을 통해 음주행위를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주교육의 주기능은 법령과 처벌에 대한 두려움(perceived fear)를 높이는 것이다. 음주행위에 관용적인 사회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것이 법령이나 처벌보다 더 효과적이다. 과도한 음주행위에 대한 비판적인 사회적 분위기와 같은 비공식적인 사회적인 제재가 음주문제의 예방에 더욱 중요하다. 청소년의 음주행위는 부모와 동료집단과의 관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모와 동료집단의 참여하에 객관적인 태도를 통해 자율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음주교육에 대해 지식과 경험을 갖춘 교사가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소그룹 활동을 통해 음주문제에 대한 이해와 바람직한 태도를 습득하게 하고 동료집단의 압력을 거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는 편견이 없는 객관적인 태도를 갖추어야 하고 최종적 결정은 지식에 근거하여 청소년이 하도록 하여야 한다. 음주는 가정불화, 좌절감, 실업, 이혼 둥의 부정적 감정과 연관되어 있으며 깊은 인간관계를 통한 상담이 효과적이다. 단주친목과 같은 자발적인 민간단체는 알코올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 서로 모여 친목하는 가운데 도움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이러한 단체의 활용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병원에서의 음주교육은 노조의 참여하에 전문적인 의료인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전에 알코올중독에서 회복된 사람을 동료교육가(peer educator)로 활용하는 것도 효율적인 교육방법중의 하나이다. 의과대학의 교과과정에 음주교육에 대한 내용을 더욱 확대하여야 한다. 음주교육은 음주라는 행위의 저변에 깔린 문화적 심리적 요인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토대로 계획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음주교육은 지역사회 전체의 참여를 통해 부모, 학생, 정부, 민간단체, 매스미디어의 공동참여를 통한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the Persuasive Strategies of Persuasive Technology (설득 테크놀로지의 설득 전략에 관한 연구 - 셀프 모니터링의 동기 유발 요인 중심으로)

  • Han, Ji-Youn;Jeen, Young-Ho;Kim, Hyo-Dong;Lee, Kyu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45-152
    • /
    • 2007
  • 설득 테크놀로지(persuasive technology)란 컴퓨터화된 다양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 양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상호작용 기술을 의미한다. 설득 테크놀로지는 사람들의 태도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미리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설계된다. 즉 어떠한 목적을 가진 설득 테크놀로지냐에 따라서 설득의 전략이 달라지는 것이다. 설득에 영향을 주는 수많은 요인들 중에서 어떤 것을 적절히 활용하느냐가 설득 전략의 기초가 된다. 설득 테크놀로지는 광고, 교육, 안전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이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식생활 및 다이어트에 관한 셀프 모니터링(self-monitoring) 설득 테크놀로지를 설계할 때 어떠한 설득 전략을 세워야 하는지 연구해 보았다. 다이어트를 위한 식생활 변화를 위해서는 사람들의 자발적인 행동과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용자 동기 유발 전략을 필요로 한다. 인간의 동기 유발을 위한 설득 전략으로 동료 압력(peer-pressure), 정보원의 공신력(information source public trust), 피드백(feedback) 방법을 다이어트 설득 테크놀로지에 적용 시켜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요인들을 적용한 다이어트에 대한 동기유발 실험을 통해 각 요인들간의 설득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이어트, 금연 등의 생활패턴의 개선 이외에도 의료, 교육,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가 스스로를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게 동기화 시키는 컴퓨터화 된 기술을 개발하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Descriptive Study Of School Childre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Regarding Smoking (중학생들의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그리고 행동에 관한 기술적 연구)

  • Park, In-Hyae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7 no.2
    • /
    • pp.420-436
    • /
    • 199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t risk factors for smoking and look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regarding smoking among schoolchildren, in order to reduce teenage smoking. To achieve this goal a self-administered questionaire regarding smoking was provided to schoolchildren in the 7th and 8th grades in one junior high school in Jerusalem. The schoolchildren were exposed to 10-12 hours of a smoking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 The questionaire focused primarily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environment, knowledge, attitudes, practic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the children. Crosstabs were performed on each variable to determine if significant associations exist among the different variables. The statistical computer, package, SPSS PC, was used to manipulate the data along with Chi-square te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About 11% of the children aged 12-14 have ever smoked or are smoking currently, and about 24.0% of those who ever smoked started smoking at the age of 10. Boys smoke more(p<.01), poorer students(by self-perception of school performance) smoke more, and those who had peers who were smokers were more likely to smoke(p<.05). The percentage of the children who reported that either father or mother smoked was about 30%, but no statistical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parental smoking and children's smoking, although trends were noted in the expected direction, i.e. more smokers among children of smokers. Only 1.1% of the children intended to smoke in the future, and 98.0% of the children indicated that they can or they might be able to withstand social pressure. Seventy percent of the children demonstrated medium to high knowledge about smoking, Males, 8th graders, better students, and those without friends who smoke had higher social pressure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p<.01). Those with non-smoking siblings showed more negative behavioral intentions regarding smoking(p<.01), and better students showed more negative behavioral intentions. Those who had higher knowledge score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s smoking, but not significantly so. Those who had very negative behavioral intentions showed highly significant negative attitudes towards smoking(p<.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