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기제어

Search Result 1,712,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비동기 디지털 시스템의 고장 진단 및 극복 기술 동향

  • Gwak, Seong-U;Yang, Jeong-Min
    • ICROS
    • /
    • v.17 no.4
    • /
    • pp.35-41
    • /
    • 2011
  • 비동기적으로 동작하는 디지털 회로는 동기 순차 회로에 비해서 고속, 저전력 소비 등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기 때문에 현대 디지털 시스템에서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비동기 순차 회로에서 발생하는 고장을 진단하고 극복하는 최신 기술을 소개한다. 본 기고에서 주로 다루는 기술은 '교정 제어'로서 피드백 제어의 원리를 이용하여 비동기 순차 회로의 안정 상태를 바꾸는 기법이다. 크리티컬 레이스(critical race), 무한 순환 등 비동기 회로 설계상의 오류를 포함하여 SEU(Single Event Upset), 총이론화선량(TID)에 의한 고장 등 외부 환경에 의해서 발생하는 비동기 회로의 고장을 교정 제어를 이용하여 진단하고 극복하는 기술에 대해서 알아본다.

Wind Generator Exciter Controller Design (풍력 발전기 여자 제어기 설계)

  • Hong, Hyun-M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31-1732
    • /
    • 2005
  • 본 논문은 풍력발전기 안정된 출력발전을 위하여 풍력 동기발전기 여자기 설계에 중점을 두었다. 풍력발전기 최대 발전을 얻기 위해 동기발전기 속도제어와 여자제어가 필요하다. 속도제어에서 AC/DC 정류기는 전력 다이오드로 구성하고 DC/AC 인버터는 IGBT로 구성하였다. 여자제어 구성은 AC/DC는 전력 다이오드로 구성하고 DC단은 DC/DC 부스트로 구성하였다. 또한, 동기발전기 여자 제어기 제어신호에 동기발전기 출력 AC/DC의 전력과 동기발전기 속도로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서 안정되고 최대 출력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제안된 제어기가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시뮬레이션으로 증명하였다.

  • PDF

Deriving a Distributed Asynchronous Control Unit through Automatic Derivation of Asynchronous Finite State Machines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Method (프로세스 중심방식에 기반한 비동기식 유한상태기의 자동생성을 통한 분산 비동기식 제어부의 유도)

  • Kim, Ui-Seok;Lee, Jeong-Geun;Lee, Dong-Ik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8 no.7
    • /
    • pp.356-37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비동기식 상위수준합성기 제작의 일환으로 효율적인 비동기식 제어부의 자동생성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목적시스템의 사양으로써 주어진 제어데이터흐름그래프로부터 일련의 체계적인 변환과정을 통하여, 제어부를 구성할 제어회로들에 대응하는 계층적으로 분할된 비동기식 유한상태기들의 집합을 유도한다. 유도된 비동기식 유한상태기들은 현존하는 비동기식 제어회로 합성기를 통하여 해저드 없는 비동기식 제어회로들로 합성되며, 이들은 상호간에 4단계 핸드셰이킹에 기반한 신호교환을 통하여 동작하면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계층적으로 분할된 비동기식 제어부를 구성한다. 획득한 제어부는 계층.분산적이며, 면적, 성능 및 합성시간의 측면에서 기존방식을 통하여 생성한 제어부에 비해 우월하다.

  • PDF

Implementation of Synchronization Algorithm for Networked Multi-Motors (네트워크기반 복수전동기의 동기제어알고리즘 구현)

  • Lee Hong-Hee;Jung Eui-Heon;Kim Jung-He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2.07a
    • /
    • pp.270-273
    • /
    • 2002
  • 복수구동장치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동기화를 위해 기계적인 제한조건을 두고 운용하는 경우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요구되고 작업 정밀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별적인 구동장치의 제어루프 외부에 동기화를 위한 제어루프를 추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으로 연결된 두 대의 서보앰프를 구동하여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외란과 내부 파라미터 변동에 강인한 $H^{\infty}$ 제어기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기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하고자한다.

  • PDF

A Study on the Fuzzy Load Angle Control System for the Stable Drive of Synchronous Motor (퍼지 제어기에 의한 동기전동기의 부하각 제어 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Kwan-Tae;Kim, Tae-Woo;Kim, Ho-Sin;Lee, Oh-Keol;Youn, Ji-Na;Lee, John-T.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838-1839
    • /
    • 2007
  • 동기기가 전동기의 모드로 운전하고 있을 때, 동기속도로 안정된 운전을 하는 중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인가되게 되면 이로 인해 동기 이탈 현상이 발생한다. 동기속도로 운전 중인 동기전동기가 동기이탈을 하게 되면 계통의 역률, 안정도 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여러 가지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동기전동기가 안정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 가지 요인인 부하각을 제어하게 되면 앞에서 말한 위험한 상황을 예방 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기전동기의 부하각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퍼지 부하각 제어 기법을 적용하여 동기전동기의 안정된 운전을 행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ynchronous Control of Dual Electric Propulsion System Based on the Coupling Structure (커플링구조에 기초한 전기추진시스템의 동기제어에 관한 연구)

  • Yang, Kyong-Uk;Byun, J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2
    • /
    • pp.349-356
    • /
    • 2018
  • In this study, the synchronous control system is designed to restrain the speed difference generated between two propellers, namely, synchronous error in a dual electric propulsion system of unmanned surface vehicle, fish finder boat, etc. The control system based on coupling structure is composed of pre-filters and speed controllers for each propulsion system and a synchronous controller cross-coupled between two propulsion systems. The pre-filter and speed controller are designed in order that the propulsion system may follow the speed reference without overshoot and input saturation. And the synchronous controller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amping and quickness of the synchronous controller system after analyzing effect of the skew disturbance and mismatched dynamic characteristics on synchronous error. Finall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designed control system is effective for elimination of synchronous err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Vector Control Using Linear Hall Sensors (리니어 홀 센서를 이용한 영구자석형 동기모터의 벡터제어)

  • Zun, Chan-Yong;Mok, Hyung-Soo;park, gwan gy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103-104
    • /
    • 2016
  • 차량용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는 벡터제어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 되는 벡터제어는 3상의 전류를 2상으로 변경 후 정지좌표계의 값을 동기좌표계로 변환 시켜줌으로써 순시제어를 실시한다. 이때 벡터제어 정지/동기 좌표계의 변환 시 위치 정보 ${\theta}$는 정지/동기 좌표계 변환의 기준으로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정확한 제어를 위한 위치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되는 센서로 엔코더, 레졸버, 레치형 홀센서 등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낮은 가격의 BLDC 모터의 경우 레치형 홀센서가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레치형 홀센서의 경우 위치 정확도가 $60^{\circ}^C$로 한정되어 정확한 전기각을 추출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BLDC 모터의 레치형 홀센서를 대신하여 리니어 홀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신호의 불균형 및 옵셋 등 문제를 보안, 이전의 시스템보다 더욱 정확한 전기각을 추출하여 벡터제어를 실시한다. 검증방법으로는 700[W]급 범용 영구자석형동기전동기를 이용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검증하였다.

  • PDF

편대비행 위성의 자세 동기화를 위한 SDRE 추적 제어기와 Hardware-In-the-Loop 시뮬레이션

  • Jeong, Jun-O;Park, Sang-Yeo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1.2-31.2
    • /
    • 2010
  • 편대비행 위성이 공동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편대를 이루는 위성의 각기 다른 초기 오차와 다양한 외란 환경에서도 자세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편대비행위성의 자세 동기화를 위하여 비선형 시스템에 대한 준최적 제어기법인 SDRE(State-Dependent Riccati Equation)에 기반한 추적 제어기가 사용되었다. 반작용 휠이 포함된 위성의 자세 동역학이 SDRE 추적 제어기를 구성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Leader/Follower 편대비행 시스템에 적용하며, 기준 자세를 추적하는 Leader 위성의 자세를 Follower 위성이 추적하여 자세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MATLAB과 SIMULINK를 이용한 수치해석적 시뮬레이션으로 추적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시간 HIL(Hardware-In-the-Loop)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무중력 환경을 모사하는 에어베어링시스템과 세 개의 반작용 휠을 장착한 자세제어 HILS(Hardware-In-the-Loop Simulator)는 PC104 타입의 임베디드 컴퓨터에서 SIMULINK의 xPC Target을 이용한 실시간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며, 이에 적용되는 SDRE 추적 제어기는 이산화되어 설계되었다. 또한 SDRE 추적 제어기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는 영역이 추정되어 위 추적 제어기가 위성 편대비행에 적합한 자세 동기화 기법임을 보였다.

  • PDF

The Synchronous Control System Design for Four Electric Cylinders (4축 전동실린더의 동기제어시스템 설계)

  • Yang, Kyong-Uk;Byun, J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12
    • /
    • pp.1209-1218
    • /
    • 2016
  • In order to safely and speedily transport a load such as a large glass plate using four electric cylinders, the synchronous error outside the permitted range should not be continuously generated between the cylinders. In this study, a methodology of synchronous control which can be applied to synchronization of four or more cylinders is developed. The synchronous control system based on the decoupling structure is composed of a reference model, position and synchronous controllers in the respective cylinders. The reference model is used for calculating the decoupled synchronous error and control input for the each cylinder. The position controller of I-PD type is designed in order that the cylinder may follow the reference signal without overshoot and input saturation. And the synchronous controller of lead compensator is designed to achieve stable and accurate synchronization through loop shaping approach. Finall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four cylinders can be quickly and stably while each cylinder rod is transferred to the target point under torque disturbance.

Stationary Frame Control based Grid Synchronization Improvement with Voltage Reference Modification Method (전압지령수정 방식을 활용한 고정자 좌표계 제어 기반의 계통 동기화 개선)

  • Lim, Kyungbae;Song, Injong;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11a
    • /
    • pp.93-94
    • /
    • 2017
  • 본 논문은 quasi P+MR 전압 제어를 활용한 삼상 인버터의 계통 동기화 방식을 제안한다. 계통동기화 과정 시 시스템이 고정자 좌표계하에서 제어 또는 모델링된다면 독립운전에서의 정전압 및 정주파수를 갖는 교류 지령 전압은 교류 계통 전압으로 즉각 대체되며 이때 인버터의 실제 전압과 계통 전압 간의 위상차에 기인하여 상당한 제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심각한 전압 동특성 저하를 야기하기도 한다. 게다가 인버터 출력단에 비선형 부하가 연결될 경우 부하로부터 발생하는 고조파로 인해 이러한 전압 품질에 대한 문제가 더욱 증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독립 운전 모드에서의 전압제어를 위하여 이러한 비선형 부하의 고조파 영향을 고려한 고정자 좌표계 기반의 PR 제어를 사용한 매끄러운 계통 동기화 방식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매끄러운 계통 동기화 방식의 타당성은 기존의 고정자 좌표계 기반의 계통 동기화 방식과의 비교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한 실험을 통해 입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