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돌보는 가족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정신분열병환자 가족 주보호자의 부담에 관한 연구 (The Burden of Main Caregivers in the Family with Schizophrenic Patient)

  • 허복심;류소연;박종;김기순;김양옥;김학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2호
    • /
    • pp.351-368
    • /
    • 1999
  • 정신분열병환자의 주보호자가 경험하고 있는 객관적, 주관적 부담의 내용과 정도를 파악하고, 주보호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광주 전남 지역에 소재한 K병원, Y병원, S병원의 협조를 얻어 정신과에 입원하고 있거나,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분열병환자의 주보호자 115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보호자의 부담감과 관련 있는 변수는 주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학력, 종교, 직업, 월수입, 의료보장형태, 건강인식 정도이었으며(P<0.05), 정신분열병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학력, 종교, 과거직업, 의료보장형태와 가족지지도 등이었다(P<0.05). 2.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보호자의 부담감의 항목별 분석 결과 4점 만점에 최소 평균점수 0.67에서 최고 평균점수 2.73이었으며 객관적 부담감은 전체항목 평균 1.5점, 주관적 부담감은 전체항목 평균 1.6점이었다. 3. 주보호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객관적 부담감에서는 종교, 직업, 가족지지가(P<0.05), 주관적 부담감에서는 총수입, 가족지지가 (P<0.05), 전체부담감에서는 종교, 가족지지가(P<0.05)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정신분열병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주보호자의 종교, 직업, 총수입, 가족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시사되어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서 가족의 부담을 줄이는데 이러한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중·고령 초기 유방암 생존자를 돌보는 가족의 경험 (Family Members' Caregiving Experience for Middle-aged and Elderly Breast Cancer Survivors at Early Stages)

  • 박소영;박향경;구향나;백정연;노은정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111-130
    • /
    • 2020
  • 본 연구는 중·고령 초기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가족들의 돌봄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총 4명의 유방암 생존자 가족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고 추가로 1명의 가족에 대해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접과 개별심층면접 내용을 주제 분석한 결과, 다음 4가지 주제가 나타났다: 첫째, 살얼음 위를 걷는 듯한 일상의 감정들 (치료시기마다 서로 뒤얽히는 감정들, 생존자의 고통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안타까움, 암 재발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 관계 변화에 대한 걱정, 딸로서 겪는 다양한 감정), 둘째, 생활의 중심이 된 돌봄 (낯설고 서툴렀던 돌봄, 내 생활을 잃어감), 셋째, 회복의 시작, 생존자와 가족이 느끼는 온도 차이 (생존자가 느끼는 심연의 고통을 헤아리지 못함, 생존자가 아직 환자라는 사실을 잊고 소홀히 대함), 넷째, 앞으로 나아가기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 지치지 않기 위한 나를 위한 돌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방암 생존자 가족의 심리사회적 욕구를 반영하고 돌봄 과정에서 가족 지지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정책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과 우울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rdens and Depressive Reactions on Families who Cared for Patients Suffering from Senile Dementia)

  • 김영자;이평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66-77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n families who live with an elderly person suffering from senile dementia, and the degree of their depression. There were 400 participants in this study, staying in the Seoul and Kyonggi areas from August 1, 1997 to February 28, 1998. Among the group, 100 participants took care of their patient at home, and another 300 participants left 100 patient at a day-care center, 100 sanatorium for senile dementia(asylum for helpless elderly people), 100 an infirmary for elderly people. Eventually 242 subjects out of the 400 were selec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Zarit (1980) tool was employed to measure the degree of burden and Zung's(1965) “Self-Rating Depression Scale” was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and the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degree of burden that care-giving families felt was 49.13, which is somewhat high. 2. The average degree of depression that care -giving families felt was 51.95, which is relatively high. 3. The degree of burden was directly affected by the relation with the patient(F=2.48, P<.05),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F=5.17, P<.05). Its also affected by the patient's educational status(F=2.17, P<.05). 4. The degree of depression of the family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sex(t=-2.05, P<.05), age (F=2.99, P<.05),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F=3.65, P<.01), socio-economic status (F=7.74, P<.001), occupation(t=2.82, P<.01), health status(F=4.42, P<.01), and the place of residence(F=4.30, P<.01), The patient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his/her educational status(F=3.85, P<.01), the period of suffering from senile dementia(F=2.47, P<.05), and smoking habit(F=6.17, P<.001).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burden and that of depression reads r=0.43, which is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the high significant level. Upon analyzing the entire summation, most care-givers for elderly patients suffering from senile dementia lack time in caring for themselves. They also experience chronic fatigue and mental discomfort caused by the isolation from society, curtailment of certain activitie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patients, and limits of their endurance in taking care of their patients over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the following propositions : 1. In order to measure the degree of burden that Korean care-giving families undergo, a new tool must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culture. 2. An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demands that care-giving families undergo must be developed, and its clinical effect also has to be examined.

  • PDF

노인의 가족결속력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f Family Cohesion on Self-Regulation Ability of the Elderly)

  • 정명희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51-60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노인의 가족결속력과 가정 만족도, 종교 사회활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노인들이 가정을 이용하는데 가족결속력과 자기 조절능력의 영향에 대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의 가족결속력의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가족결속력 하위변인인 가족 응집성, 가족 화합성, 가족 적응성이 높아지면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자기 조절능력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이 높아지면 여가 사회활동,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여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여가 사회활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의 가족결속력 요인이 종교 사회활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자기 조절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족결속력이 강해지면, 자기 조절능력도 좋아지고, 종교 사회활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노인들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이용 중요 전체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후에 노인의 사회활동에 필요한 요인들로서 활동가능하다.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사회활동의 범위를 세분화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조사를 토대로 앞으로의 본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첫째, 점차 고령화 사회가 되어가는 현실에서 노인 삶의 질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가족결속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자녀와의 가족결속력에 심리적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노인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녀와의 진실한 대화를 통한 유대를 형성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노부모와 자녀들 간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상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이 생각하는 생활만족,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에만 치우쳐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자료수집과 분석에 어려움이 다소 예상되나 노부모와 자녀 모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특성을 각각 파악하고 노부모가 느끼는 자녀와의 결속과 자녀가 느끼는 노부모와의 결속에 어떤 일치와 차이점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의 가족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녀의 노부모 부담 및 돌봄의 짐을 덜어주기 위한 현실적 정책제안이 필요하다. 즉, 노인을 돌보는 자녀들에 대한 지원 정책뿐만 아니라 장기요양서비스가 필요한 노인들이 언제든 자녀와의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시군구의 직영 요양시설의 증가가 필요하다. 또한 거주지의 주소지 소속에 대한 혜택을 전국 어디서든지 자녀들의 주소지의 요양시설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국가가 책임지고 재정적, 행정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야 하며,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과 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본 연구의 표집대상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7개의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경로대학에 출석하는 대상자만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를 지닌다. 둘째, 설문조사과정에 있어서 응답자의 개인변인 등을 고려하여할 때 향후에는 표본 대상을 세분화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Impact Factors for Health of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 정복례;박현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2호
    • /
    • pp.75-84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수면의 질, 불안, 희망 및 건강상태의 관계를 확인하여 이들의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3개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 11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환자의 가족돌봄제공자는 각각 4점 만점인 척도로 측정한 결과 수면의 질은 평균평점 2.55, 불안은 1.91, 희망은 2.78, 건강상태는 2.68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수면의 질(${\beta}=0.526$), 성별(${\beta}=-0.195$), 불안(${\beta}=-0.232$) 및 희망(${\beta}=0.169$)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59.8% (F=44.510, P<0.001)이었고, 그 중에서 수면의 질이 47.3%를 차지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고 있는 가족의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사는 수면의 질을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키고, 희망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한국 노인가족부양자의 '부양긍정감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aregiving Affirmation Scale' for Korean Caregivers for the Aged)

  • 장영신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415-42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부양에 대한 긍정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된 "부양긍정감척도"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방법으로는 믹스법을 사용하여 질적 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부양긍정감"의 척도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1) 질적 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한 문항개발, (2) 1차 설문조사를 통한 문항내용 확인 및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3) 2차 설문조사를 통한 부양긍정감의 구성요인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노인가족부양자의 "부양긍정감척도"는 총 16문항으로서 '부양기술 충족감', '사회공헌감', '노인에 대한 친근감', '자아존중감'의 네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부양긍정감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0.89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과 문항 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부양긍정감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구성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척도는 생활만족도와 0.68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서 동시타당도도 입증되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시된 부양긍정감척도는 노인복지에 관한 연구와 실천현장에서 노인가족부양자의 경험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사회측정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대처유형 (The Types of Coping Strageties in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Elderly)

  • 김춘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51-361
    • /
    • 2003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types of coping strategies that family caregivers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caring demented elderly: to grasp the coping strategies used for resolving this problem: and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by analyzing the coping types of the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elderly. Method: The methodology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as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0).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using open-ended and descriptive questions about their coping experiences. All data were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2000 to February, 2001.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7 women. Results: Caregiver's coping types varied according to 'family's support', 'the condition of caregiver's health', 'the relationship with dementia elderly', 'family perception of dementia', 'fixed idea of traditional female role' and 'economic state'. In this study, five types of coping strategies were emerged: active role allotment tyle, meaning grant tyle, devotion tyle, duty defense type, and pessimism type. Among these, those who belong to the types of active role allotment, meaning grant, and devotion, including caregiver's good health were found to adapt themselves to caregiver ro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helpful for developing effective and individualized nursing strategies suitable for individual caregivers coping types. It is suggested to practice nursing mediation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nursing effect and family members' adaptation based on coping types of the well-adapted caregivers as we as on their affirmative coping strategy.

  • PDF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담감 관련요인 (Caregivers' Burden in patients with a cute stroke)

  • 강수진;이희주;최스미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7-37
    • /
    • 2002
  • During acute stages of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family caregivers face many challenges. They often experience emotional distress, social isolation, and financial constraints. However, the burden of caregiving of stroke patients in acute stages has never been studied prop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caregivers' burden with acute stroke. The subjects were 123 acute stroke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ho were admitted to neurology and neurosurgery units at Dan Kook University Hospital in Chung-Nam area. An interview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standardiz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data pertaining to the patients/caregivers characteristics, caregiver burden (Modified Zarit's Burden Scale), and social support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burden score was 3.11, indicating high level of burden. Among the sub-domain scores, financial burden was the highest. In un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related to caregiver burdens were: in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patients and caregiver(p<.001); low cognitive function of the patients(p<.001); low level of ADL(p<.001); the gender of caregiver(p<.001);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of caregivers(p<.01); the presence of social support for caregiver(p<.001); and the availability of alternative caregivers(p<.001).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cial support for family caregivers (87%), low level of patient's cognition (2%), availability of 2nd caregiver (1%), and gender of caregiver (female, 0.4%) were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of overall burden. The caregivers' burden in acute stages during hospitalization following stroke was high. Recognition of high levels of caregivers' burden and those relating factors affecting caregiver burden may allow us to develop different nursing strategies to unload the level of burden for caregivers in acute stages of stroke.

  • PDF

성별에 따른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Hemodialysis Patients by Gender)

  • 조윤희;박연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31-643
    • /
    • 2017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 C도에 소재한 혈액 투석실에서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로 총 168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 20일부터 2015년 9월 5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AS 9.3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검정, t-test와 분산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은 가족지지(t=5.33, p<.001), 자기효능감(t=3.52 p<.001)이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가족지지(t=2.58 p=.012), 자가간호이행(t=4.08, p<.001)이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혈액투석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혈액투석 환자의 성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인식하여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활용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뇌혈관질환 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신체증상과 스트레스 (Actual Physical Symptom and Stress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 김희승;박현애;오미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95-704
    • /
    • 1998
  • This study aims for examines the actual physical symptom and stress 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condu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1997 which included 65 caregivers of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in 4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e caregiver's stress was measured by Choi (1992)'s instrument and the actual physical symptoms were investig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number of caregiver's physical symptom was 3.5.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physical symptom in women, those of who have a religious affiliation, those of who perceive their own health status perceived as bad, and those of who perceived their patients disease condition as serious than in their counterparts. Also, the number of caregiver's physical symptom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regivers whose patients have a paralysis sypmtom and the disease onset as accident than in caregivers whose patients have no paralysis symptom and the disease onset as spontaneous. 2. The average of caregiver's stress was 57.9. The caregiver's stress was the highest in between the ages of 50 and 59. Ther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ress in women, those of who perceived the disease condition of their patients as serious than in their counterparts. 3. The most common caregiver's physical symptom was fatigue(87.7%). This was followed by insomnia(58.5%) and muscle pain(47.7%). 4. Caregiver's physical sypmto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er's str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s activity of daily life. 5. The most important vairable affecting the caregiver's physical symtom was patient's activity of daily life which accounted for 12.7% of the total variance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mportant vairable affecting the caregiver's stress was the patient disease condition perceived by the caregiver that accounted for 12.1% of the total vari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