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독서후 활동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독서캠프 활동이 대학생 중심의 독서회 운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Effects of Reading Circle Management with College Students on the Reading Camp Activity)

  • 김승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45
    • /
    • 2002
  • 대학생 중심의 독서회 회원들이 독서캠프 활동에 참여한 결과 독서캠프 활동에 경험이 있는 졸업생들과도 연관되어 독서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원들 간의 독서회 운영에 대한 격려는 독서캠프 후 뿐만 아니라 졸업 후에게도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나 독서회 활성화를 위해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회원으로 하여 조직된 독서회는 학기 중에는 캠퍼스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방학중에는 독서활동을 멀리 하게 되는데, 독서캠프 프로그램은 이러한 공백을 메워주는 중요한 프로그램이 된다.

  • PDF

독서자료 분석제공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독서캠프 프로그램의 독서후 독서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ffects of Reading Activity with Information Guide on the Analytical Reading Material)

  • 김승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9-112
    • /
    • 2003
  • 독서후의 독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2학년까지 4개 학년을 대상으로 과제도서를 각 학년별로 한 권씩 선정하여 읽히면서 독서활동을 전개하였다. 독서활동은 4박5일 동안 독서캠프 활동을 할 때 과제도서에 대한 분석식 독서자료를 작성 제공하여 활용하는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독서감상문 쓰기, 독서발표, 독서토론, 독서감상 만화 그리기 4분야 영역의 결과는 독서감상문 쓰기가 가장 도움이 컸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독서토론 활동 분야가 높았다. 그리고 독서발표 분야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으나, 독서감상 만화 그리기 분야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 기반의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Web-Based Reading Instruction System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26
    • /
    • 2003
  • 지금까지의 독서교육은 교수-학습 활동과 연계되지 못한 채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독서의 본질적인 측면보다는 독서자료의 제공이나 책을 다 읽고 난 후의 표현 활동에 치중하여 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과학습과 독서 활동을 연계하고, 독서자료의 접근은 물론 실제 책을 읽는 인지적 활동 그리고 책을 읽고 난 다음의 표현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웹 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을 설계, 제안하였다. 북어드벤처, 썬링크등 기존의 독서교육 시스템을 분석하여 웹 기반독서교육시스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을 설계, 제안하였다. 제안한 웹 기반의 독서교육시스템은 독서안내, 나의 독서수준, 책 고르기, 독서 전략, 독서표현, 독서토론 등 6개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 PDF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Elderly Reading Education Activity in Local Child Care Center)

  • 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95-214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아동을 위한 노인의 독서교육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 효과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N지역에 위치한 14개 지역아동센터에서 노인독서도우미의 독서교육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노인독서도우미 활동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종사자들과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독서수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독서교육에 참여한 후에 아동의 독서흥미가 향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노인독서도우미의 활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독서토론의 활성화를 위한 독서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ading Material Use on the Reading Discussion)

  • 김승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22
    • /
    • 2004
  • 독서후의 활동으로 독서토론을 실시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터득하도록 하기 위해 독서토론 도서를 <분석식 독서법>으로 읽으면서 토론 자료를 준비하도록 하여, 진행된 독서토론에 대한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독서토론을 진행한 결과 <분석식 독서법>으로 토론도서를 읽지 않고 독서토론을 진행할 때 보다 토론도서에 대해 줄거리와 내용을 잘 파악하고, 전체적인 주제 파악과 토론할 주제를 적절하게 선정하여 토론에 참여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독서토론을 진행하면서 자신들의 의견을 전달하는데는 전체적으로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활용한 당시는 아주 높게 나타났다.

  • PDF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 박미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5-3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를 위해서 기존의 독서 교육이나 독서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자관만의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공공도서관의 기능에서 확대된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필요성. 프로그램 개발과 구축에 관하여 살펴본 후,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의 독서 관련 활동, 한 도서관 한 책읽기 행사 현황과 미국 공공도서관의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또한, 독서 관련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축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동시감상 지원 시스템 (Children's verse appreciation supporting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 박현숙;김갑수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54-161
    • /
    • 2004
  • 지식 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독서 교육은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웹을 활용한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많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지만 장르 별로 세분화되어 있지 못하다. 동화나 위인전 분야는 웹을 활용한 여러 가지 활동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동시분야는 웹 상에서 감상 활동에 알맞은 활동들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고, 동시 감상 학습은 주로 교사와 텍스트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활동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상상, 연상 등으로 동시를 감상할 수 있도록 웹 기반 동시 감상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전 학년 동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둘째, 동시 감상과 학습활동을 읽기 전과 읽은 후 활동으로 제시하고, 활동이 끝나면 동시 낭독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읽기 전과 읽은 후 활동 등 동시감상 결과가 수행평가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아동들이 동시 짓기 활동에서 쉽게 시상이 떠오르게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

웹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도서실 시스템 설계와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Library System Based on Web Database)

  • 손창익;설문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491-506
    • /
    • 2001
  • 본 시스템에서는 도서의 검색 및 관리, 대출, 반납 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초등학교의 특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독서 교육 활동을 제공하고 독서에 대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 인정을 통하여 접속한 후 교사는 자기 반 학생을 관리하고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서로간의 의사 소통과 도서실 이용에 대한 제반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또한 학생은 자신의 독서활동을 평가받을 수 있으며 건전한 독서생활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PDF

중학생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독서활동 연계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Linked to School Library Reading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노연주;유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39-463
    • /
    • 2024
  • 최근 학교도서관은 교과융합수업을 실행하고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는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교육 플랫폼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학교도서관의 독서 활동과 인공지능 교육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교 수업에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주제와 연관된 독서 활동을 통해서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인공지능 교육용 도구를 활용하여 생활 속 문제 상황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함양을 목표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8차시(6회기)로 개발하였고, 2022학년도 경기도 A중학교의 학교도서관 자유학기 주제선택 수업에 참여하는 1학년 36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사전-사후 차이를 대응표본 t-test로 수행한 결과, 인공지능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습자의 수업 태도와 독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도서관과 연계한 인공지능 융합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한 대안학교 독서교육의 내용과 특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an Alternative School Reading Education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 이세나;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1-14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독서교육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독서교육이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5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학교들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독서교육의 내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해당 학교의 독서교육 담당자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내용은 전사한 후 질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안학교에서는 인문학을 바탕으로 교과수업과 독서교육을 통합하고자 노력하고 있었으며, 도서관 활용수업이 진행되고 있었고, 독서 프로그램 기획, 진행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독서교육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었던 조건들도 드러났다. 우선 교사, 학교, 도서관이 독서교육을 지지하고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독서 프로그램에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가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독서 능력과 필요에 따라 독서교육 내용이 차별화되어 구성되고 있었으며, 독서 후 대화하고 소통하는 활동이 강조되고 있었다.